인창동성당 게시판

4월15일[이콘]나환자들의 아버지 성 다미안 사제♬Alleluia

인쇄

유화정 [wjyou57] 쪽지 캡슐

2004-04-14 ㅣ No.1713

 

축일:4월15일(5월10일)

나환자들의 목자

몰로카이의 성 다미안 사제

성 다미안 드 베스테르  

 

San Damiano de Veuster Sacerdote

 

Tremenloo (Fiandre, Belgio), 3 gennaio 1840 - Molokai (Isole Hawaii), 15 aprile 1889

Damiano = domatore, o del popolo, dal greco = domatore, or of the people, from the Greek

 

 

 

벨지움의 트레머루에서 태어난 성 다미안 신부는 브렌느-러-꽁트 대학교에서 공부한 후,

1860년에 예수와 마리아 성심회(The Fathers of the Sacred Hearts of Jesus and Mary)에 입회하여 다미안이란 수도명을 받았다.

 

그는 자신이 지원하여 하와이 선교사로 파견되었고(1864년), 같은 해에 호눌루루에서 사제로 서품되었다.

그후 그는 9년 동안 푸노와 코알라 주민들의 복음화를 위하여 헌신하였다.

1873년, 이번에도 자신의 요청에 따라, 그는 몰로카이의 나환자 촌으로 파견되어,

여생을 나환자들과 함께 살며 주님의 말씀을 실행하였다.

 

1885년, 그 자신도 이미 이 가증스런 병에 걸렸지만

1889년 4월 15일에 운명할 때까지 몰로카이에 계속하여 생활하며 나환자들을 돕는데 생명을 다 바친 것이다.

그는 환자들로부터 냉대를 받은 적이 있고 또 중상모략으로 곤경에 처한 경우들이 많았어도,

그의 성덕과 애덕은 수많은 사람 속에서 영원한 살아 있는 것이다.

그는 1977년에 교황 바오로 6세에 의하여 시복되었다.

(성바오로수도회홈에서)

 

 

 

복되신 프란치스코의 유언

 

1) 주님이 나 프란치스꼬 형제에게 이렇게 회개생활을 시작하도록 해 주셨습니다 :

내가 죄중에 있었기에 나병환자들을 보는 것이 나에게는 너무나 역겨운 일이었습니다.

2) 그런데 주님 친히 나를 그들에게 데리고 가셨고 나는 그들 가운데서 자비를 베풀었습니다.  

3) 그래서 내가 그들한테서 떠나올 때에는 역겨웠던 바로 그것이 내게 있어 몸과 마음의 단맛으로 변했습니다.

그리고 그 후 얼마 있다가 나는 세속을 떠났습니다.

(작은형제회홈에서)

 

 

한센병의 정의

한센병은 인간의 가장 오랜 질병의 하나로 만성 감염성 면역질환이며,

1874년 노르웨이의 Hansen 박사에 의해 사람의 병원체로는 최초로 발견된 한센균이 원인균이다.

한센균이 호흡기나 피부를 통해 체내에 감염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한센병에 걸리지 않고 불현성감염 상태로 한센균이 소멸되어 버리나

신체의 면역이 저하되거나 불량한 환경상태에 놓이면 3-7년의 잠복기를 거쳐서 임상적으로 발병하게 된다.

한센균은 1차적으로 표제성 말초신경을 침범하고 2차적으로 피부를 때로는 눈, 상기도점막, 근육, 골 및 고환을 침범하기도 한다.

 

한센환자의 개념

한센환자의 개념은 두 가지로 사용되는데

첫째는 사회적 개념을 무시한 단순 의학적인 개념의 환자와

둘째는 사회, 경제적 측면까지 고려한 개념으로 과거나 현재에 한센병력을 가진 전원을 포함하는 것으로

우리 나라의 통계는 후자의 개념을 사용한다.

(산청성심원홈에서)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축일:10월4일.게시판1403번,

*오상 축일:9월17일.인창동성당게시판1369번

 

 

젊은 시절의 다미안(하와이 선교지로 출발할 무렵)

 

버림받은 자들의 아버지, 데미안 신부

 

인간이 체험한 최초의 병이라는 문둥병.

코뼈가 내려앉고 손가락이 잘려나가는 이 병을 앓게 된 하와이의 환자들은

몰로카이의 북쪽 칼라와오(Kalawao)에 격리되어 초기 나환자 수용소로 옮겨졌다.

물살 세기로 유명한 몰로카이 해협과 세계에서 가장 높은 해안 절벽으로 둘러싸여 있다는 이 반도.

세상 어느 누구도 감히 도망칠 수 없는 이곳은 나환자를 수용하기에 최적의 지리적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당시만 해도 불치병으로 치부되던 나병은 죽음 전에 오는 또하나의 죽음이라 할 정도의 몹쓸 병이었고,

그야말로 이 세상에서 버림받은 자들만이 감수해야하는 천벌이었다.

 

나환자촌에 모여든 환자가 700여 명. 그들에게도 돌봐줄 사람이 필요했다.

세상이 등을 돌린 이들을 위해 기꺼이 희생할 것을 자청한 사람은 바로 33세의 청년,

데미안(Joseph Damien de Veuster) 신부였다.

1840년 벨기에에서 태어나 신학공부를 마치고,

24세 되던 해 하와이 호놀루루에서 사제 서품을 받은 그는 마침내 칼라우파파(Kalaupapa) 나환자촌에서 문둥병 환자들의 영혼을 돌보는 사제가 되었다.

 

그는 환자들을 위해 집, 교회, 병원 등을 건축했고 사회적인 질서와 노동을 가르쳤다.

영생을 추구하는 환자들에게 생명의 말씀을 전해주었고 죽어가는 그들의 영혼을 위로하였다.

그리곤 16년만에 그 역시 그가 바라던 대로 그들과 똑같은 나병에 걸려 죽음을 맞이했다.

현재 그의 시신은 벨기에 정부에 의해 본국으로 송환되었지만 하와이인들의 애절한 요청으로 인해 성스러운 오른쪽 팔을 다시 이송,

칼라우파파 묘지에 안치시켜 놓았다

 

 

 

성 요셉 교회, St. Joseph Church

1876년 데미안신부가 지은 교회로 흰 페인트칠이 햇빛을 받아 눈부시게 보인다.

 

사랑의 접촉

나병은 역사상 가장 두렵고 혐오스러운 질병 중의 하나다.

나병에 대한 두려움이 매우 컸기 때문에 감염 경로가 밝혀지지 않은 수십 년 전까지만 해도 나병에 걸린 사람들은 사회에서 추방되는 수밖에 없었다.

그들이 가야 할 곳은 세상과 완전히 단절된 외진 수용소였다. ‘

벤허’라는 영화를 봤다면 추방된 이들의 삶이 어떠했는지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다미안 드 베스테르 신부는 몰로카이 하와이 제도 안에 있는 나병 환자 수용소의 사목을 자원하였다.

다미안 신부는 자신도 나병 환자들과 같은 조건에서 고통을 나눌 수 있기를 간절히 원했고, 마침내 49살의 젊은 나이에 자기도 나병에 걸려 삶을 마감하였다.

오늘날에도 사람들은 나병에 대해 극도의 두려움과 혐오감을 갖고 있다.

그래서 나병 환자라면 신체적 접촉은커녕 한 공간에 있는 것도 피하려 든다.

그러나 그 환자들에게 필요한 것은 손을 잡는다든지 안아 준다든지 등을 두드려 주는 것 같은 사랑의 접촉이다.

암이나 에이즈, 나병처럼 우리가 두려워하는 병들은 접촉만으로 옮지는 않는다.

에이즈 환자와 악수를 했다고 에이즈에 걸리지 않으며 암 환자를 안아 주어도 암이 옮지는 않는 것이다.

그런데 사랑하는 마음으로 상대방을 어루만지면 그의 상처받은 마음을 낫게 할 수도 있다. 당신은 어느 쪽을 택하겠는가?

불치병에 걸린 환자들을 두려워하는가?

병을 무서워할지언정 환자를 무서워하지는 않겠다.

(까리따스수녀회홈에서)

 

 

 

 

몰로카이의 성인

다미안 신부의 생애

THE STORY OF FATHER DAMIEN  

저자. 폴 콕스(Paul Cox)  출판사. 바오로딸.

 

나환자들을 위해 자신의 생을 온전히 불태운 나환자들의 아버지 복자 다미안 신부의 생애를 감동적으로 그린 영화이다.

1872년 하와이! 태평양에 있는 이 아름다운 군도는

정치적으로 점점 영국과 미국의 영향권 안으로 들어가고 개신교와 가톨릭의 세력이 겨루고 있는 상황이었다.

하와이 근해에 있는 불모의 땅 몰로카이 섬!

그곳은 나병이 전염되는 것을 막기위해 환자들을 가차없이 추방하는 곳이다.

그곳에서 그들은 높고 가파른 암벽으로 둘러싸인 팔리 계곡에 갇혀 죽음만을 기다리며 살아간다.

 

33세의 젊은 나이로 그곳에 최초로 파견된 다미안 신부는 영국인 윌리엄슨과의 만남을 시작으로 조금씩 나환자들의 신뢰를 얻어간다.

인간의 생존에 필요한 기본적인 것 조차 없는 몰로카이에서 다미안 신부의 헌신적 노력은 세계적인 호응을 얻게 된다.

마침내 수녀 지원팀이 오게되어 병원도 확장을 하고 다미안 신부도 휴식을 얻게된다.

이렇듯 불모의 땅 몰로카이에 희망이 싹틀 무렵 다미안 신부에게도 나병이 찾아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환자들을 위한 헌신과 투쟁은 계속된다.

 

"나환자, 내 형제들이여~"라는 말로 시작되는 강론을 통해 모든 이들에게

자긍심과 인간으로서의 가치를 되찾아 주는 다미안 신부는

미사도중 쓰러져 병원으로 실려가고 그곳에서 최후를 맞는다.

 

다미안 신부가 이룬 행적과 그의 인간적인 고뇌와 심오한 인간애를

강렬한 사실성에 입각하여 그린 이 영화는 보는 이로 하여금 진솔한 공명을 불러 일으킨다.

또한, 한 인간으로서 엄격한 도덕주의로 무장하고 섬에

그리스도교를 전파하려는 의지만을 지닌 한 사제로 몰로카이에 들어갔던 다미안 신부가

나환자들과 함께 살아가는 여정 안에서 신앙뿐 아니라 인간애의 절대적 필요를 깨닫는다.

 

더불어 오로지 사랑하는 나환자들의 복지 외에는 다른 욕심을 내지 말아야 함을 느끼고

점점 유연하고 인정 넘치는 따스한 아버지로 변모해 가는 과정이 훈훈한 감동으로 전해진다.

 

이 영화를 감독한 폴 콕스는 이렇게 말한다.

"이 영화는 다미안 신부의 정신에 대한 찬양이 될 것이다.

그가 이룬 행적을 표방하는 것으로 볼 때 그는 남성판 마더 데레사 수녀이다.

나는 이 세계가 다미안 신부와 같은 영웅적인 인물의 부활을 필요로 한다고 생각한다."

 

폴 콕스 감독의 말처럼 정치적·경제적·환경적으로 많은 어려움 속에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는

위로를 주고 사랑이신 하느님께로 나아가도록 이끌어 줄 그 누군가가 필요하다.

 

이 영화에서 우리는 한 사제의 헌신적 노력과 봉사의 정신을 통해

신앙인으로서 새롭게 나아갈 이정표를 제시받게 되며,

모든 사람이 인간으로서 자긍심과 존엄성을 갖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게 해 줄 것이다.

 

 

 

 

몰로카이의 성인-다미안 신부의 생애

 

한센씨병 환자들은 “하늘의 벌(천형)을 받은 문둥이”로 멸시를 받곤했다.

이들에게 같은 인간으로부터 천대받고, 버림받고 있다는 박탈감과 두려움은

온 살이 문드러지고 없어지는 고통만큼이나 견디기 어려운 일이었다.

절벽 때문에 해가 뜨고 지는 것마저 보이지않은 태평양의 외딴섬 몰로카이의 나환우들도

다미안 신부가 오기 전까지는 그런 삶 속에 내던져져 있었다.

가톨릭 ’바로오 딸’이 번역해 출시한 비디오물 <몰로카이의 성인-다미안 신부의 생애>는

한 연약한 인간이 얼마나 위대해질 수 있는 지를 보여주는 것 같다.

 

나환우들이 수용돼 있는 몰로카이섬의 가톨릭 신자들이

고백성사조차 받을 수 없다는 사실을 안 33살의 젊은 다이안 신부는 몰로카이행을 자청한다.

그는 “그 누구의 몸에도 절대 손을 대서는 안된다”는 주교의 당부에도 불구하고 그를 비웃던 나환우를 가슴에 껴안는다.

 

그에겐 나환우들의 닫힌 마음을 여는 것보다 나환우에 대한 정책 당국자들의 편견이 더욱 고통스러웠다.

다미안 신부는 결국 자신도 나환우가 되어 죽어간다.

불결한 성적 접촉에 의해 감염돼 매독 4기와 다름없다는 편견과 무지로 나병을 취급하는 의사들에게는 그도 멸시의 대상일 뿐이었다.

 

정부의 격리 정책 때문에 주교와 서로 다른 배에서 고백성사를 주고 받으며

“때론 화도 내고, 때론 왜 이곳에 왔는지 후회도 했다”는 그의 고백이 ’인간 다미안’의 숨결을 느끼게 한다.

 

1940년 치료약이 개발됐지만 아직도 제3세계의 60여 만명이 나병으로 고통받고 있는 세상.

하느님과 그리스도의 사랑이 남성판 마더 데레사 수녀인 그를 통해 지금도 세상 속으로 흐르고 있다.

(가톨릭신문, 2001-12-14)

 

 

 

 성 다미안 드 베스테르(원명은 Joseph de Veuster)는 1840년 벨기에의 한 작은 마을에서 성실하고 신앙심 깊은 아버지 프랑스와 드 베스테르와 어머니 카타리나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부모들처럼 농사를 지을 생각이었으나 수도원에 들어간 큰형의 영향을 받아 수도원에 들어가기를 희망하였다. 어린 시절부터 그리스도에 대한 사랑이 깊어 기도와 고행을 실천하면서 성장하였다.

   일찍이 영성에 눈을 뜬 그는 고향에서 초등 교육과정을 마치고 발론(Vallon) 지방의 르 콩(Brain le Comt) 고등학교에 진학하여 공부하던 중, 하느님의 부르심을 받아 복음적 권고를 통해 완덕의 길을 걷기로 결심하였다. 그래서 그는 1859년 ‘예수와 마리아의 성심 수도회’(The Fathers of the Sacred Hearts of Jesus and Mary, 일명 Picpus 수도회)에 입회하였다. 수도회 회칙에 따라 의사로서 시칠리아 섬의 주민들을 헌신적으로 돕다가 4세기 초에 순교한 다미안으로 세례명을 바꾸었다. 수도회 입회 후 벨기에 루뱅과 프랑스 파리에서 공부하였다.

   해외선교를 주요 목적으로 삼고 있던 예수와 마리아의 성심 수도회는 1825년 이해 수차례에 걸쳐 하와이 군도의 샌드위치 섬에 선교사를 파견하고 있었다. 1863년 하와이 선교사로 선발된 큰형 팜필 신부가 병자들을 돌보다 장티푸스에 걸리자 성 다미안은 형을 대신하여 하와이 선교를 자원하였다. 이듬해 하와이로 간 성 다미안은 호놀룰루 근교의 아피마뉴 대신학교에서 약 2개월 간 공부하고, 그 해 5월 호놀룰루 대성전에서 메그레 주교에 의해 사제로 서품되었다. 이후 푸노(Puno) 지역에서 원주민들을 대상으로 선교활동을 시작한 성 다미안 신부는 1865년에는 코할라(Kohala)로 옮겨 원주민들의 인습과 싸우면서 그리스도를 증거하기 위하여 성당을 짓고 용암으로 덮인 섬을 돌아다니면서 미사를 봉헌하였다.

   1865년 하와이 군도에 나병 환자가 급격히 늘어나자 감염된 환자를 격리 수용하는 법이 제정되었는데, 이에 따라 나환자들은 몰로카이(Molokai) 섬에 격리 수용되었다. 1873년 메그레 주교로부터 몰로카이 섬에 수용된 나환자들의 참상을 전해들은 성 다미안 신부는 33세의 나이로 그곳에 건너가 700여 명이 넘는 나환자들의 집을 지어주고, 의사의 도움 없이 나환자들의 고름을 짜 주고 환부를 씻어 주며 붕대를 갈아주고, 희망을 잃어버린 사람들에게 그리스도의 빛을 밝혀 주었다. 그리고 매일 죽어가는 이들을 위하여 관을 만들고 무덤을 파고 장례를 치러 주었다. 이렇게 어려움 속에서 나환자들을 위해 희생적으로 활동을 전개하자 냉담하던 환자들도 신뢰와 존경심을 가지고 따르게 되었다. 1881년에는 하와이 정부로부터 나환자들을 위해 헌신한 공로로 ‘카라카우아’ 훈장을 받았다.

   성 다미안 신부는 1885년 자신이 나병에 감염된 것을 알았으나 용기를 잃지 않고 나환자들을 위하여 계속 일하였다. 요양하라는 주위의 권고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환자들을 돌보다가 1889년 4월 15일 세상을 떠났다. 성 다미안 신부의 유해는 1936년 몰로카이 섬에서 벨기에로 옮겨 안장되었다. 성 다미안 신부는 1992년 7월 시복 대상자로 확정되었고, 1995년 6월 4일 벨기에 브뤼셀(Brussel)의 퀘켈베르그 대성전 광장에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Joannes Paulus II)에 의해 시복되었다. 그리고 2009년 10월 11일 로마 성 베드로 광장에서 교황 베네딕투스 16세(Benedictus XVI)에 의해 성인품에 올랐다.
 

 참고자료
  오다베 다네아끼 저, 김대신 역, 다미안 신부 - 나환자의 사도, 서울(성바오로), 1970년. 
  한국가톨릭대사전편찬위원회 편, 한국가톨릭대사전 제3권 - '다미안 드 베스테르', 서울(한국교회사연구소), 1996년, 1496-1497쪽. 

(가톨릭홈에서)

 

 

[이콘]모든 고통받는 이들의 기쁨인 성모. 모스크바. 1700년경 31.5 x 28.5cm.저화면(低畵面)

 

이 성화(Icon)의 원상(原像)은 1643년부터 모스크바의 오르딘카(Ordinka) 교회에 있었는데

황후 엘리자벧 페트로브나 (Elisabeth Petrowna)가 나중에 한 교회를 지은 페터스부르그 (Petersburg)로 1711년에 옮겨졌다.

질병과 불구로부터 스스로 보호하기 위하여 사람들은 이와 같은 주제(主題)의 성화를 숭배한다.

 

그림의 중앙에는 성모가 장식적인 구름 위에 서서 왼팔로 아기 예수를 안고 있고 그 오른손에는 봉을 들고 있다.

두 분 모두 관을 쓰고 있고 예수는 축복을 내리고 있다.

 

천사들이 성모의 양쪽으로 병든 자들, 벌거벗은 자들, 배고픈 자들. 불구자들,

그리고 궁핍한 자들을 인도하고 있고, 이들은 천상의 대변자인 성모에게 도움을 구하면서 접근하고 있다.

이 광경의 윗 부분, 그림의 윗쪽 가장자리에 왼손에 지구공을 들고 있는 축복하는 성부가 구름위에 떠 있다.

 

그림의 왼쪽 가장자리에는 성자 니콜라이 (Nikolaus)가 있고 오른 쪽에는 성자 티촌(Tichon)이 그려져 있다.

색깔이 매우 생기 발랄하게 구사된, 보존상태가 양호한 작품이다.  

*유럽 聖畵(ICON)集에서

 

 

 

♬Alleluia

 

 

알렐루야

(히) hallelujah (영) Alleluia

 

어원적으로 히브리어 ’힐렐’(hillel, 찬미하다)이란 동사의 명령형 ’할렐루’(hallelu)와

하느님이란 말의 야훼 (jahve)의 약자 ’야’(jah)의 합성어 즉 야훼 하느님을 찬미하라는 뜻이다.

 

구약성서의 하느님을 찬미하는 시편의 시작과 마지막에 많이 인용되었고(시편 111-117),

유태인의 종교 의식에 있어 성가대의 합창에 신자들이 아멘과 알렐루야로 응답하였다.

알렐루야는 그리스도교의 전례로 넘어와 응답으로서, 환호로서 전례문에 삽입되었으며, 후렴으로도 사용되었다.

 

*2004.4.16.수정(추가)

*update 2004.9.26.

*update 2010.2.28.

 

 

 

 

 

 

 

 

 

 

 

 

 

 

 

 

 

 

 

 

 

 

 

 

 

 

 

 

 

 

 

 

 

 

 

 

 

 

 

 

 

 San Damiano de Veuster Sacerdote
15 aprile 
Tremenloo, Belgio, 3 gennaio 1840 - Molokai, Isole Hawaii, 15 aprile 1889

I coniugi fiamminghi De Veuster hanno otto figli. Due diverranno suore e due preti dei Sacri Cuori di Gesù e Maria, detti anche «Società del Picpus», dalla via di Parigi dove è nata la congregazione. Giuseppe, penultimo degli otto, nato il 3 gennaio 1840, è destinato ad aiutare il padre, ma a 19 anni entra anche lui al Picpus prendendo il nome di fratel Damiano. Nell'istituto c'è anche suo fratello Pamphile: ordinato prete nel 1863, non va in missione perché malato e allora Damiano parte al suo posto anche se non è ancora sacerdote. Destinazione le Isole Sandwich, che più tardi si chiameranno Hawaii. Qui completa gli studi e diventa sacerdote nel 1864 e lavora nell'isola principale, Hawaii. Nel 1873 va nell'isola lazzaretto di Molokai, dove il governo confina i malati di lebbra e vi resterà per sempre. Nel 1885 viene contagiato. Muore dopo un mese e solo nel 1936 il suo corpo verrà riportato in Belgio. Giovanni Paolo II lo beatificò a Bruxelles nel 1995, mentre Benedetto XVI lo ha canonizzato in Piazza San Pietro l'11 ottobre 2009.

Etimologia: Damiano = domatore, o del popolo, dal greco

Martirologio Romano: In località Kalawao sull’isola di Molokai in Oceania, beato Damiano de Veuster, sacerdote della Congregazione dei Missionari dei Sacri Cuori di Gesù e Maria, che attese con tale dedizione all’assistenza dei lebbrosi, da morire colpito anch’egli dalla lebbra.
Ascolta da RadioRai:

I coniugi fiamminghi De Veuster hanno otto figli, da cui escono due suore e due preti dei “Sacri Cuori di Gesù e Maria”, detti anche “Società del Picpus”, dalla via di Parigi dove è nata la congregazione. Giuseppe, penultimo degli otto, è destinato ad aiutare il padre, ma a 19 anni entra anche lui al Picpus prendendo il nome di fratel Damiano. Nell’istituto c’è anche suo fratello Pamphile: ordinato prete nel 1863, Pamphile non va in missione perché malato, e allora Damiano ottiene di partire al posto del fratello, anche se non è ancora stato ordinato sacerdote.
Destinazione della missione: le Isole Sandwich, così chiamate dal loro scopritore James Cook nel 1778 in onore di Lord Sandwich, capo della Marina inglese. Sono un arcipelago indipendente sotto una monarchia locale, e più tardi si chiameranno Isole Hawaii.
Damiano le raggiunge dopo 138 giorni di navigazione, da Brema a Honolulu. Completa gli studi, diventa sacerdote nel 1864 e lavora nell’isola principale, Hawaii. Istruisce la gente nella fede e insegna ad allevare montoni e maiali, come pure a coltivare la terra. Il divario culturale crea ostacoli duri, la solitudine a volte gli pare insopportabile.
Ma è solo un primo collaudo. Nel 1873 il suo vescovo cerca preti volontari per l’isola lazzaretto di Molokai, dove il governo confina tutti i malati di lebbra, togliendoli alle famiglie: si offrono in quattro, per turni di 34 settimane, e tra loro c’è padre Damiano, che va per primo a Molokai e vi resterà per sempre (tranne un breve soggiorno a Honolulu). Ci deve restare, perché il governo teme il contagio e gli proibisce di lasciare l’isola con i suoi 780800 malati ad alta mortalità: 183 decessi nei primi otto mesi.
Ma "tanti ne seppelliamo, altrettanti ne manda il governo". Ora fuma la pipa per difesa contro l’insopportabile odore di carne in disfacimento, che a volte lo fa svenire in chiesa. A Molokai è prete, medico e padre: cura le anime, lava le piaghe, distribuisce medicine, stimola il senso di dignità dei malati, che si organizzano, lavorano la terra, creano orfanotrofi: opera loro, orgoglio loro.
Nel 1885, ecco la scoperta: anche lui è stato contagiato dalla lebbra. Ed è solo, aspettando a lungo un altro prete per confessarsi, fino all’arrivo del padre belga Conrardy, pochi mesi prima della morte. Sopporta incomprensioni, ma è capace di dire: "Sono tranquillo e rassegnato, e anche più felice in questo mio mondo". Fino all’ultimo aiuta gli studi sulla lebbra, sperimentando su di sé nuovi farmaci.
Muore dopo un mese di letto, e mille malati di lebbra lo seppelliscono ai piedi di un albero. Nel 1936 il suo corpo verrà riportato in Belgio, a Lovanio. Giovanni Paolo II lo beatificherà a Bruxelles nel 1995, completando l’iter iniziato da Paolo VI nel 1967, su richiesta di 33 mila lebbrosi.
Autore: Domenico Agasso

 

Beato Damiano de Veuster

 

10 maggio

Tremenloo (Fiandre, Belgio), 3 gennaio 1840 - Molokai (Isole Hawaii), 15 aprile 1889

Etimologia: Damiano = domatore, o del popolo, dal greco

 

I coniugi fiamminghi De Veuster hanno otto figli, da cui escono due suore e due preti dei “Sacri Cuori di Gesu e Maria”, detti anche “Societa del Picpus”, dalla via di Parigi dove e nata la congregazione. Giuseppe, penultimo degli otto, e destinato ad aiutare il padre, ma a 19 anni entra anche lui al Picpus prendendo il nome di fratel Damiano. Nell’istituto c’e anche suo fratello Pamphile: ordinato prete nel 1863, Pamphile non va in missione perche malato, e allora Damiano ottiene di partire al posto del fratello, anche se non e ancora stato ordinato sacerdote.

Destinazione della missione: le Isole Sandwich, cosi chiamate dal loro scopritore James Cook nel 1778 in onore di Lord Sandwich, capo della Marina inglese. Sono un arcipelago indipendente sotto una monarchia locale, e piu tardi si chiameranno Isole Hawaii.

Damiano le raggiunge dopo 138 giorni di navigazione, da Brema a Honolulu. Completa gli studi, diventa sacerdote nel 1864 e lavora nell’isola principale, Hawaii. Istruisce la gente nella fede e insegna ad allevare montoni e maiali, come pure a coltivare la terra. Il divario culturale crea ostacoli duri, la solitudine a volte gli pare insopportabile.

Ma e solo un primo collaudo. Nel 1873 il suo vescovo cerca preti volontari per l’isola lazzaretto di Molokai, dove il governo confina tutti i malati di lebbra, togliendoli alle famiglie: si offrono in quattro, per turni di 34 settimane, e tra loro c’e padre Damiano, che va per primo a Molokai e vi restera per sempre (tranne un breve soggiorno a Honolulu). Ci deve restare, perche il governo teme il contagio e gli proibisce di lasciare l’isola con i suoi 780800 malati ad alta mortalita: 183 decessi nei primi otto mesi.

Ma "tanti ne seppelliamo, altrettanti ne manda il governo". Ora fuma la pipa per difesa contro l’insopportabile odore di carne in disfacimento, che a volte lo fa svenire in chiesa. A Molokai e prete, medico e padre: cura le anime, lava le piaghe, distribuisce medicine, stimola il senso di dignita dei malati, che si organizzano, lavorano la terra, creano orfanotrofi: opera loro, orgoglio loro.

Nel 1885, ecco la scoperta: anche lui e stato contagiato dalla lebbra. Ed e solo, aspettando a lungo un altro prete per confessarsi, fino all’arrivo del padre belga Conrardy, pochi mesi prima della morte. Sopporta incomprensioni, ma e capace di dire: "Sono tranquillo e rassegnato, e anche piu felice in questo mio mondo". Fino all’ultimo aiuta gli studi sulla lebbra, sperimentando su di se nuovi farmaci.

Muore dopo un mese di letto, e mille malati di lebbra lo seppelliscono ai piedi di un albero. Nel 1936 il suo corpo verra riportato in Belgio, a Lovanio. Giovanni Paolo II lo beatifichera a Bruxelles nel 1995, completando l’iter iniziato da Paolo VI nel 1967, su richiesta di 33 mila lebbrosi.

Autore: Domenico Agasso

 

 

 

http://www.bbc.co.uk/dna/getwriting/A437564

Father Damien was a priest for the leper colony on Molokai, near Hawaii, USA. He was born Joseph de Veuster in Tremeloo, Belgium on 3 January, 1840. His father sent him to college at Braine-le-Comte to prepare for a commercial career. However, a mission led by the Redemptorists in 1858 persuaded him to become a priest. He joined the Fathers of the Sacred Heart of Jesus and Mary at Louvain, taking the name Damien, and was admitted to the religious profession on 7 October, 1860.

 

He was sent to Hawaii on 19 March, 1864, and was ordained at Honolulu on the 24 May of that year. He was given charge of a number of districts on the islands and built several chapels in Hawaii and Molokai with his own hands.

 

Lepers

 

On 10 May, 1873 Father Damien requested to be sent to the leper settlement on Molokai as the resident priest. He asked this because the board of health refused to send physicians or nurses to aid the 600 people there.

 

On arrival, he not only served as their priest but provided them with whatever medical assistance he could. He dressed their ulcers, helped them to build houses, dig graves and make coffins.

 

In 1885, after 12 years of service to the lepers of Molokai, he developed the first stages of the disease himself. However, he managed to continue his service for a further three years, aided by two priests and two lay brothers, until he finally passed away on 28 March, 1888.

 

 

 

 

 

 

 

 

 

 

 

 

 

 

 

 

 

 

 

 

 

 

 

 



1,248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