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GOOD NEWS

신정동성당 검색
메뉴

검색

검색 닫기

검색

오늘의미사 (홍) 2024년 5월 3일 (금)성 필립보와 성 야고보 사도 축일내가 이토록 오랫동안 너희와 함께 지냈는데도, 너는 나를 모른다는 말이냐?
신앙관련
교부편(16) 아우구스티노(상)

535 심재엽 [simjy] 2005-03-19

【35】교부편(16) - 아우구스티노(상)

 

  아우구스티노는 「고백록」에서 절망속   에서 진리를 찾고, 참 행복과 사랑을 발   견한 환희를 담고 있다.

깊은 절망서 진리 찾으려 절규

 

동거생활 등 인간적 욕망 추구

하느님 발견으로 참 자아 찾아

 

『주여, 언제까지나? 주여, 끝내 진노하시려나이까? 행여 우리 옛 죄악을 기억치 마옵소서. 언제까지, 언제까지? 내일, 또 내일이옵니까? 지금은 왜 아니랍니까? 어찌하여 내 더러움이 지금 당장 끝나지 않나이까?』(아우구스티노의 고백록 중에서).

죄 많은 인간, 하지만 그리스도교 역사상 가장 위대한 인물의 한 명으로 손꼽히는 성 아우구스티노(354∼430)의 절규이다.

육체적 욕망, 거짓된 사랑, 유한한 「지혜」에 대한 열정으로 젊은 날을 보낸 뒤, 아우구스티노는 막다른 길에서 그렇게 부르짖었다.

하지만 이내 그는 자신이 그렇게 찾아 헤매던 참된 진리를 찾았고, 그 감격과 희열을 또 이렇게 표현했다.

『늦게야 님을 사랑했습니다. 이렇듯 오랜, 이렇듯 새로운 아름다움이시여, 늦게야 당신을 사랑했습니다. 내 안에 님이 계시거늘 나는 밖에서, 나 밖에서 님을 찾아 당신의 아리따운 피조물 속으로 더러운 몸을 쑤셔 넣었사오니! 님은 나와 같이 계시건만 나는 님과 같이 아니 있었나이다. 당신 안에 있잖으면 존재조차 없을 것들이 이 몸을 붙들고 님에게서 멀리했나이다. 부르시고 지르시는 소리로 절벽이던 내 귀를 트이시고, 비추시고 밝히시사 눈멀음을 쫓으시니, 향내음 풍기실제 나는 맡고 님 그리며, 님 한번 맛본 뒤로 기갈 더욱 느끼옵고, 님이 한번 만지시매 위없는 기쁨에 마음이 살라지나이다』(고백록 중에서).

우리에게 낯익은 만해 한용운의 「님의 침묵」이 주는 감흥을 훌쩍 넘어서는 이 고백은 인간이 닿을 수 있는 가장 깊은 절망 속으로부터, 급기야 참 진리를 찾고, 참 행복과 사랑을 발견한 한 위대한 성인의 환희를 담고 있다.

아우구스티노는 그 당시의 모든 영적 보화를 한 몸에 지닌 듯한 느낌을 지금까지도 우리에게 준다. 성인이자 히포(Hippo)의 주교이며 교회 학자로서 서방교회의 4대 교부 중 한 사람인 아우구스티노를 두고 독일의 교부학자 알타너(B. Altaner)는 이렇게 말한다.

『위대한 주교 아우구스티노는 테르툴리아노의 창조적 정열, 오리제네스의 영적 풍부함, 치프리아노의 교회적 의식, 아리스토텔레스의 예리한 논리를 플라톤의 높은 이상주의와 사변에 결합시켰다. 그리고 라틴인의 실용적 감각을 그리스인의 영적 유연성에 일치시켰다』

그래서 그는 교부 시대의 가장 위대한 철학자이며 전 교회의 가장 중요하고 영향력 있는 신학자로 인정받고 있다. 그는 오리제네스에 필적할 만큼 많은 저서를 남겼다.

이 저서들은 자아 인식에서 시작해 존재와 진리, 사랑, 하느님 인식의 가능성, 인간 본성, 영원성, 시간, 자유, 악, 섭리, 역사, 행복, 정의, 평화 등 철학의 주요한 주제들 뿐만 아니라 그리스도교 신학 전반을 아우르고 있다.

그래서 그는 철학자, 신학자, 신비가, 시인, 논박가, 저술가, 목자, 그리고 수도자라는

모든 명칭이 두루 훌륭하게 적용된다.

하지만 이러한 천재성과 현대 교회에까지 깊은 영향을 미치는 학문적, 영성적 영향력에도 불구하고 그가 우리에게 깊은 매력을 주는 것 중의 하나는 스스로 고백록에서 이야기하듯 죄 많은 인간이 하느님을 발견함으로써 자신의 참 모습을 찾고 참 행복을 느끼게 되는 장면이다.

아우구스티노는 로마 제국에 속해있던 북아프리카의 작은 도시 타카스테(지금의 알제리)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이교도였지만 열심한 그리스도인이었던 어머니 모니카 성녀의 영향으로 그는 그리스도교적 분위기에서 성장했다.

경제적 어려움으로 잠시 학업을 중단했던 그는 은인의 도움으로 북아프리카의 수도였던 카르타고에서 공부를 계속하게 되는데, 바로 이곳에서 아우구스티노는 부끄러운 사랑을 꽃피운다. 떳떳하지 않은 동거생활이 14년 동안이나 계속됐고 그는 아들 아데오다투스를 얻기도 한다.

18살 때 그는 키케로의 「호르텐시우스」(Hortensius)를 읽고 「지혜에 대한 사랑」(철학)에 빠지고 진리에 대한 열정을 불사르기 시작한다.

부친의 사망으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했던 그는 카르타고에서 돌아와 수사학 학교를 차렸고 다시 카르타고로 가서 9년 동안 수사학을 가르쳤다.

그 기간 동안 그는 마니교에 기울어지기도 했는데, 그 어설픈 교리와 지도자들에게 실망해 떠나온다.

384년 암브로시오가 주교로 있던 밀라노에 가서 수사학을 가르치던 아우구스티노는 여기에서 자신의 일생을 결정짓는 회심의 순간을 맞게 된다.

밀라노에서 암브로시오 주교의 강연을 들으면서 성서의 참뜻과 그리스도교 진리를 조금씩 깨우치던 그는 어느날 안토니오 성인과 여러 은수자들의 삶에 대해 듣고 여전히 머뭇거리고 있는 자신의 모습이 너무나 괴로워 무화과 나무 밑에서 홀로 울부짖고 있었다.

그러다가 어디선가 『집어서 읽어라, 집어서 읽어라』하는 노래소리를 듣고 방으로 달려가 성서를 펼쳐 바오로의 서간들을 읽었다.

『포식과 폭음, 음행과 방탕, 싸움과 시새움을 멀리합시다. 오히려 주 예수 그리스도를 입으시오. 그리고 욕정을 만족시키려고 육신을 돌보는 일이 없도록 하시오』라는 로마서의 말씀에 그는 지금까지의 모든 방황을 끝내고 마침내 387년 부활성야에 밀라노 대성당에서 암브로시오 주교에게 세례를 받았다.

고향으로 돌아온 그는 가진 것을 모두 팔아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눠주고 고향집에 작은 수도 공동체를 세웠다. 이후 크게 명성을 떨치기 시작한 그는 우연히 히포를 방문하게 됐고 여기서 그를 알아본 시민들에 의해 발레리우스 주교로부터 사제품을 받았다.

그것이 그의 나이 37살의 일이었다.

397년 히포의 주교가 된 그는 참된 사목자이며 탁월한 사상가로서 뜨거운 복음적 열정으로 주교로서 죽을 때까지 그곳에서 사목활동을 하면서 엄청난 양의 저서를 저술했다.

 

 <이전> <목록> <다음>


0 392 0

추천  0 반대  0

TAG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로그인후 등록 가능합니다.

0 / 500

이미지첨부 등록

더보기
리스트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