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GOOD NEWS

수락성당 검색
메뉴

검색

검색 닫기

검색

오늘의미사 (홍) 2025년 7월 3일 (목)성 토마스 사도 축일저의 주님, 저의 하느님!
가톨릭 성인/축일
    성 아나톨리오 (Anatolius)
    같은이름 아나똘리오 , 아나똘리우스 , 아나톨리우스
    축일 7월 3일
    신분 주교
    활동지역 라오디케아(Laodicea)
    활동연도 +283년경

       성 아나톨리우스(또는 아나톨리오)는 2세기경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Alexandria)에서 태어나 고향에서 아리스토텔레스 학교를 운영하던 뛰어난 학자였다. 교회사가인 카이사레아(Caesarea)의 에우세비우스(Eusebius) 주교에 따르면 그는 문학, 철학, 수학, 기하학, 물리학, 천문학 등의 분야에서 당대 최고의 학자 가운데 하나였다. 262년경 그가 살던 알렉산드리아에서 반란이 일어났을 때 로마 군인들이 브루키움(Bruchium, Brucheion)을 포위해 그 지역 주민들이 기아와 질병으로 큰 난관에 봉착하게 되었다. 성 아타톨리오는 당시 부제이던 그의 친구 에우세비우스(Eusebius)와 함께 로마군의 장군과 협상하여 무고한 주민들이 그곳을 떠날 수 있도록 해서 많은 생명을 구했다.

       그 후에 그는 팔레스티나(Palestina)로 가서 카이사레아의 테오테크누스(Theotecnus) 주교를 돕다가 그의 보좌주교가 되었다. 그는 268년에 테오테크누스 주교와 함께 그리스도의 신성(神性)을 부인하는 사모사타(Samosata)의 바오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열린 안티오키아(Antiochia) 시노드에 가던 중 라오디케아(오늘날 튀르키예 남서부 데니즐리[Denizli] 서쪽에 고대 도시 유적지가 있다)에서 그곳의 주교로 선출되었다. 그의 친구인 에우세비우스 주교가 막 선종했을 때 그가 도착하자 사람들은 이를 하느님의 뜻으로 여겨 후임 주교로 선출한 것이다. 그 후에 그의 생애에 대해 알려진 바는 거의 없지만, 에우세비우스 교회사가를 통해 부활절 날짜 연구에 전념한 작품과 10권으로 된 “산술 입문”(Introductiones arithmeticae)의 단편이 전해지고 있다. 옛 “로마 순교록”이나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 모두 7월 3일 목록에서 시리아의 라오디케아의 주교인 성 아나톨리오는 신앙인뿐만 아니라 철학자들도 존경할만한 저서를 남겼다고 기록하였다.♣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