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GOOD NEWS

구의동성당 검색
메뉴

검색

검색 닫기

검색

오늘의미사 (녹) 2025년 9월 28일 (일)연중 제26주일(세계 이주민과 난민의 날)너는 좋은 것들을 받았고 라자로는 나쁜 것들을 받았다. 그래서 그는 이제 여기에서 위로를 받고 너는 고초를 겪는 것이다.
가톨릭 성인/축일
    성 마태오 코히오예 (Matthew Kohioye)
    같은이름 마두 , 마태우스 , 마테오 , 마테우스 , 매튜
    축일 9월 28일
    신분 수련자 , 순교자
    활동지역 나가사키(Nagasaki)
    활동연도 1615-1633년

       ‘성 라우렌시오 루이스(Laurentius Ruiz)와 성 도미니코 이바녜스 데 에르키시아(Dominicus Ibanez de Erquicia)와 성모 마리아의 성 야고보 큐세이 토모나가(Jacobus Kyushei Tomonaga de Santa Maria)와 13명의 동료 순교자들’은 일본 나가사키(長崎) 지방에 교회를 설립하기 위해 노력하다가 당국에 의해 체포되어 1633년, 1634년, 1637년에 모두 순교하였다. 그들은 체포된 이후 잔혹한 고문을 당했고, 그 시신마저도 불태워진 후 다른 그리스도인들이 순교자의 유해를 공경하지 못하도록 나가사키 바다에 뿌려졌다. 이들 16명의 순교자를 출신 국가별로 보면 일본인 9명, 에스파냐인 4명, 프랑스인 1명, 이탈리아인 1명, 필리핀인 1명이다. 신분으로 보면 9명은 도미니코회 사제, 2명은 협력자(수련자) 형제, 2명은 제3회원, 그리고 3명은 평신도였다. 도미니코회 3회원이었던 오무라(Omura)의 성녀 마리나(Marina)와 성 안토니오 곤살레스(Antonius Gonzalez) 신부를 제외한 모든 순교자는 나가사키 해안 근처에 있는 니시자카(西坂, Nishizaka) 언덕에서 순교하였다. 이곳은 1697년에 일본 최초의 순교자들인 성 바오로 미키(Paulus MIki, 2월 6일)와 동료 순교자 25위가 십자가에 못 박혀 순교했던 곳이며, 또한 1617년에서 1632년 사이에 순교한 205위의 복자 중 다수가 순교했던 곳이었다.

       에스파냐 출신의 도미니코회 사제인 성 도미니코 이바녜스 데 에르키시아가 1633년 8월 14일 처음 순교한 이후 필리핀 마닐라(Manila) 출신 평신도인 성 라우렌시오 루이스가 1637년 9월 29일 순교할 때까지 이들의 순교는 계속되었다. 총 16명의 순교자 중 13명이 도미니코회 사제이거나 수련자 또는 3회원이고 나머지 3명도 그들과 연관되어 있었다. 이들 순교자 대부분은 자기 나라에서 필리핀을 거쳐 일본으로 들어왔다. 성 루카 알론소 고르다(Lucas Alonso Gorda)는 1594년 에스파냐 서부 사모라(Zamora)와 아스토르가(Astorga) 사이에 있는 카라세도(Carracedo)에서 성 루카(Lucas, 10월 18일) 복음사가 축일에 태어나 성령의 성 루카(San Lucas del Espiritu Santo)로도 불린다. 그는 도미니코회에 입회한 후 멕시코로 가서 멕시코시티(Mexico City)에서 사제품을 받았다. 그리고 동양 선교를 위해 1617년에 도미니코회의 묵주기도의 성모 마리아 선교 관구가 있는 필리핀의 마닐라로 갔다. 그는 산토 토마스(Santo Tomas) 대학교에서 교수로 활동하고, 루손섬(Luzon Is.) 북부의 카가얀(Cagayan)에서 선교활동을 했다.

       그 후 성 루카 알론소 고르다 신부는 혹독한 박해로 인해 고통받는 일본 교회를 돕기 위해 1623년 일본으로 들어갔다. 나가사키 근처에서 일본어를 배우고 10년 동안 잔혹한 박해로 인한 엄청난 위험과 고난을 겪으며 선교활동을 이어갔다. 계속해서 동료 사제들이 순교하는 가운데 그는 두 차례에 걸쳐 혼슈(本州)를 종단하는 선교여행을 하며 신자들을 격려하고 성사를 집전하였다. 그러던 중 1633년에 오사카(大阪, Osaka)에서 체포되어 고문을 당한 후 나가사키로 호송되었다. 나가사키에서 그는 배교하라는 유혹을 끝까지 물리치고 신앙을 고백하여 당시 가장 끔찍한 고문인 ‘아나츠루시’(Ana-tsurushi)를 받았다. 이는 죄인을 밧줄로 묶어 거꾸로 매달고 관자놀이에 작은 구멍을 내 머리로 쏠린 피를 조금씩 빼내며 더러운 오물로 가득한 구덩이에 몸통을 집어넣는 잔혹한 고문이었다. 결국 그는 1633년 10월 19일 39살의 나이로 순교하였다. 그의 시신은 불태워진 후 재마저 바다에 버려졌다.

       같은 날 그와 함께 순교한 이로는 로사리오의 성 마태우스 코히오예(Matthaeus Kohioye, 또는 마태오 코히오예)가 있다. 그의 생애에 대한 성 루카 알론소 고르다의 기록에 따르면, 그는 1615년 나가사키의 시마바라(島原, Shimabara) 근처 아리마(Arima)에서 태어났다. 1632년에 성 루카 알론소 고르다 신부를 도와 교리교사로 활동했고, 그 뒤에 도미니코회에 입회하여 수도자가 되었다. 그렇게 성 루카 알론소 고르다 신부를 도우며 그와 함께 머물면서 수련하던 중 1633년 오사카에서 함께 체포되어 나가사키로 호송되었다. 그는 배교를 권유받았으나 끝까지 흔들리지 않았고, 끔찍한 고문을 받으면서도 그리스도를 위해 기꺼이 목숨을 바치겠다는 굳은 의지를 드러냈다. 결국 18살의 젊은 수련자였던 성 마태오 코히오예는 성 루카 알론소 고르다 신부와 함께 10월 19일 아나츠루시 형을 받고 순교의 월계관을 받았다.

       ‘성 라우렌시오 루이스와 성 도미니코 이바녜스 데 에르키시아와 성모 마리아의 성 야고보 큐세이 토모나가와 13명의 동료 순교자들’은 1981년 2월 18일 교황 성 요한 바오로 2세(Joannes Paulus II, 10월 22일)에 의해 순교자 대부분과 인연이 있는 도시인 필리핀의 마닐라에서 복자품에 올랐다. 이는 역사상 처음으로 로마 밖에서 거행된 시복식이었다. 그리고 그들 모두 1987년 10월 18일 바티칸의 성 베드로 광장에서 같은 교황에 의해 시성되었다.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10월 19일 목록에서 일본 나가사키에서 도미니코회의 신부인 성 루카 알폰소 고르다와 수련자인 성 마태오 코히오예가 순교했다고 했다. 그리고 성 루카 알폰소 고르다가 필리핀에서 먼저 복음을 전파한 후 10년 동안 일본에서 용감하게 복음을 전파했고, 수도자 성 마태오 코히오예는 18살의 나이로 그와 함께 신앙을 전파하고 증거했다고 기록하였다. 개정 “로마 순교록”은 ‘일본의 16위 순교자들’이 순교한 날에 그들의 행적을 기록해 기념하도록 하고 있는데, ‘성 라우렌시오 루이스와 15명의 동료 순교자들’로서 16위 순교자 모두를 함께 기념하는 날은 9월 28일로 정해졌다.♣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