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20일 (토)
(백) 부활 제3주간 토요일(장애인의 날) 저희가 누구에게 가겠습니까? 주님께는 영원한 생명의 말씀이 있습니다.

전례ㅣ미사

[전례] 성모동산의 꽃과 풀들: 이름에 성모 마리아를 품은 식물들

스크랩 인쇄

주호식 [jpatrick] 쪽지 캡슐

2020-11-03 ㅣ No.2062

[성모동산의 꽃과 풀들] 이름에 ‘성모 마리아’를 품은 식물들

 

 

성모 동산에서 자라면서 꽃을 피우는 식물들 중에는 그 이름에 아예 성모 마리아를 품은 것들도 있다. 펠라르고늄, 재스민, 페리윙클, 스위트피가 그것들이다.

 

 

펠라르고늄

 

화단이나 화분에서 널리 재배되는 꽃식물 중 하나로 제라늄이 있다. 그런데 우리가 흔히 제라늄으로 알고 가꾸는 것은 사실은 제라늄이 아니라 대개는 펠라르고늄(Pelargonium)이라는 식물이다. 제라늄과 펠라르고늄은 모두 쥐손이풀과 식물인데, 제라늄은 쥐손이풀속에 속하고 펠라르고늄은 양아욱속에 속한다. 이 두 식물은 생김새가 비슷해서 애초에는 같은 쥐손이풀속으로 분류되었다가 18세기 후반에 별개의 속으로 분리되었다.

 

펠라르고늄은 제라늄에 비해 줄기는 가늘고 길며, 잎은 얇고 얼룩무늬가 없다. 그리고 꽃은 크고 흰색, 복숭아색, 분홍색, 빨강색, 주황색 등으로 다양하며 아름답다. 제라늄 계열의 식물들은 유라시아와 북미 지역이 원산인 여러해살이풀로, 열대 기후에서 자생하는 것에서 겨울을 날 수 있는 숙근초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와는 달리 펠라르고늄 계열의 식물들은 온대와 열대 지역이 원산으로 대부분 월동이 불가능하고, 남아프리카와 아시아, 오세아니아 등지에 분포한다. 그리고 펠라르고늄 계열의 식물들에는 한해살이 초본식물이 있는가 하면 관목, 다육식물, 지중식물도 있다.

 

제라늄(Geranium)이라는 이름은 그리스어로 ‘두루미’를 뜻하는 단어 게라노스(geranos)에서 유래했다. 이 식물의 씨방이 두루미의 부리처럼 생겼다고 해서 그런 이름이 붙여졌다. 펠라르고늄이란 이름 또한 그와 비슷한 연유로 지어졌다. 18세기 독일의 한 식물학자가 이 식물을 제라늄과는 다른 속의 식물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이 식물의 씨방은 황새의 부리처럼 생겼고 제라늄의 선례도 있으니 그리스어로 ‘황새’를 뜻하는 단어 펠라르고스(pelargos)를 바탕으로 하여 펠라르고늄이라고 부르면 되지 않겠느냐고 제안한 것이다.

 

여느 사람들이 펠라르고늄의 겉모습을 보고 그 특징 중 하나를 근거로 이름을 지었다면, 그리스도인들은 그 꽃을 보고 고운 꽃에서 연상되는 이미지를 이름으로 지어 불렀다. 이를테면 ‘아름다우신 마리아님’ 또는 ‘온화하신 동정 성모님’이라고 말이다.

 

 

재스민

 

재스민(Jasmine)은 쌍떡잎식물로 물푸레나무과 영춘화속의 상록관목이다. 코카서스, 북부 이란,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히말라야 산맥, 타지키스탄, 인도, 네팔, 중국 서부 등이 원산지이며 열대와 아열대 지방에 분포한다. 그리고 스페인, 프랑스, 이탈리아, 포르투갈, 루마니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알제리, 플로리다 및 서인도 제도 등지에서는 귀화식물로서 자리 잡은 것으로 보인다. 파키스탄의 나라꽃이이기도 한 재스민은 꺾꽂이와 휘묻이만으로도 어렵지 않게 번식된다. 이 식물에서는 여름에 순백색의 꽃들이 무리 지어 피는데, 이 꽃들은 자극적이고 강렬한 향기를 풍긴다.

 

강한 향기를 지닌 꽃에서 향료를 채취하기 위해서였겠지만, 인류는 아주 오래전부터 재스민을 재배했다. 중국의 3세기 문헌에 이미 외래 식물들 중 하나로 기록되어 있을 정도다. 유럽에는 아랍 지역에서 시칠리아를 통하여 전파되어 널리 퍼져나갔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하여 14세기 중엽에 보카치오가 쓴 ‘데카메론’에도 정원에 장미와 재스민이 어우러져서 그늘이 만들어지고, 사람들은 그 그늘 아래에서 한낮에도 햇빛에 노출되지 않고 걸어 다닐 수 있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재스민의 학명 야스미눔(Jasminum Officinale)은 ‘달콤한 향기를 풍기는 식물’이란 뜻의 아랍어 야세민(yasemin)에서 유래한다. 유럽의 그리스도인들은 그러한 재스민의 순백색 꽃과 달콤한 향기를 보고 느끼면서 연상되는 상징성, 곧 ‘동정 성모 마리아’라는 이름을 이 식물에게 붙여 주었다. 이 식물은 또한 은총, 우아함, 온화함도 상징한다.

 

 

페리윙클

 

페리윙클(Periwinkle) 또는 빙카(Vinca Rosea)라는 학명으로도 흔히 불리는 이 쌍떡잎식물은 협죽도과에 속하는 숙근성 여러해살이풀이다. 아랫부분이 나무처럼 단단한 관목성 식물이며, 여기서 덩굴성 가지가 나와서 30~60cm 정도 크기로 자란다. 7~9월에 흰색, 분홍색, 빨간색, 자주색 등의 꽃을 피운다. 그런데 이 식물의 꽃이 매일 1송이씩 핀다고 해서 일일초(日日草)라고도 한다. 이 식물은 마다가스카르, 자바섬, 브라질 등이 원산지인데, 관상용으로 그리고 악성종양 등에 효능이 있어서 약용작물로도 재배되어 왔다. 이 식물과 비슷한 종으로 줄기가 가는 덩굴처럼 자라고 연한 자주색 꽃을 피우는 유럽 원산의 큰잎빙카도 있다.

 

학명 빙카는 라틴어로 ‘매다, 연결하다’라는 뜻의 빈키레(vincire)에서 유래한다. 줄기가 구부러지는 성질이 있다는 특성 때문에 이런 이름으로 불리게 된 것이다. 그런가 하면, 그리스도인들은 이 식물을 ‘동정 성모님의 꽃’이라는 이름으로 불렀다.

 

 

스위트피

 

스위트피(Sweet Pea)는 쌍떡잎식물로 콩과에 속하는 1∼2년생 덩굴식물이며 숙근초다. 원산지는 이탈리아 시칠리아 섬이며,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된다. 줄기는 1∼2m가량 자란다. 이 식물은 본래는 5월에 꽃을 피웠는데, 품종이 개량되면서 꽃이 피는 시기도 달라지고 꽃의 크기도 커지고 꽃의 색도 풍부해졌다. 꽃의 색은 연분홍색, 보라색, 분홍색, 파란색, 흰색 등으로 다양한데 엷고 부드러운 색조를 띤다.

 

그런데 스위트피 꽃의 색조들이 이 식물의 가느다란 줄기와 어우러져 감성적이고 서정적인 면모를 드러내기는 하지만, 꽃 한두 송이만으로는 그 장점을 나타내기에 어딘가 부족한 면이 있다. 그래서 이 꽃을 관상하고자 하거나 이 꽃으로 장식하고자 할 때는 여러 송이를 모으고 가는 철사 따위로 그 줄기를 한데 묶어서 돋보이게 하거나 아니면 꽃의 모양보다는 그 색채감을 감상하고 즐기는 경향이 있다.

 

스위트피의 학명(Lathyrus Odoratus)에는 ‘향기롭다’라는 뜻의 라틴어 오도라투스(odoratus)가 들어가 있는데, 그만큼 스위트피는 향기를 지닌 식물이어서 향수의 원료로도 이용된다. 그리고 그리스도인들은 스위트피를 ‘성모 마리아님의 꽃’(Our Lady’s Flower)이라는 이름으로 부르기도 했다.

 

[월간 레지오 마리애, 2020년 11월호, 이석규 베드로(자유기고가)]



5,943 0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