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성인/축일
-
- 복자 브로카르도 (Brocard)
같은이름 부르샤르 , 부르카르드 , 브로카드 , 브로카르 , 브로카르두스 , 브로카르드 축일 9월 2일 신분 수도원장 활동지역 카르멜산(Mount Carmel) 활동연도 +1231년경
프랑스 태생인 복자 브로카르두스(Brocardus, 또는 브로카르도)는 카르멜산에 있던 프랑스 출신 은수자들의 원장으로 활약했다. 그는 1188년경 카르멜산의 은수자 공동체를 이끌던 복자 베르톨드(Berthold, 3월 29일) 수도원장의 선종 이후 그를 계승해 공동체를 이끌었다. 카르멜산의 은수자들은 특별한 창설자 없이 이미 6세기부터 은수자들이 모여 생활해왔다. 그래서 이 은수자들에게는 특별한 규칙서가 없었는데, 복자 브로카르도는 원장으로서 그들을 위한 규칙서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그래서 그는 예루살렘의 총대주교이자 교황대사였던 성 알베르토(Albertus, 9월 14일)에게 은수자들을 위한 통합된 규칙서의 제정을 요청했고, 1207년경 성 알베르토는 성 아우구스티노(Augustinus)의 수도 규칙을 기초로 카르멜산의 은수자들을 위한 규칙서를 만들어주었다. ‘성 알베르토의 가르멜회 규칙서’로 불리는 짧고 엄격한 이 규칙은 기존 은수자들의 삶과 정신을 간단하고 엄격하게 정리한 것으로, 1247년 교황 인노첸시오 4세(Innocentius, IV)에 의해 일부 수정 승인되면서 이 규칙을 따르는 이들이 탁발(托鉢) 수도회로 인준받았다.
성 알베르토의 가르멜회 규칙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모든 은수자는 단독 움막에서 지내되 매일 성무일도와 다른 기도를 바치고, 육체노동을 하며 함께 미사를 봉헌해야 한다. 또 청빈과 절제를 지키고 거의 온종일 침묵 속에서 지내야 한다. 카르멜산의 은수자들은 복자 브로카르도 수도원장을 통해 전달받은 이 규칙을 받아들여 충실히 실천했다. 한편 1215년 제4차 라테라노(Laterano) 공의회는 새로운 수도회 설립을 금지하는 칙서를 통과시켰지만, 성 브로카르도는 덕과 지혜로써 모든 난국을 극복하고 은수자들이 마음 놓고 수도 생활에 전념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한편 성 알베르토 주교는 성경에 정통한 복자 브로카르도를 라테라노 공의회에 데려갈 계획을 세웠으나 공의회가 열리기 전에 살해되는 바람에 이루어지지 않았다. 복자 브로카르도는 1231년경 선종할 때까지 수도원장으로 헌신하였다. 전통적으로 복자 브로카르도는 성인으로서 가르멜회 전례 안에서 공경받았는데,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3월 29일 항목에 그의 이름을 추가하면서 복자로 표기하였다. 즉, 복자 브로카르도가 엘리야 예언자가 기도했던 팔레스티나의 카르멜산에서 은수자들의 수도원장으로서 예루살렘의 주교인 성 알베르토에게 받은 생활 규칙대로 밤낮으로 주님의 계명을 묵상하고 기도 중에 늘 깨어 있었다고 기록하였다. 복자 브로카르도는 복자 부르카르드(Burchard)로도 불린다.♣
- 복자 브로카르도 (Broc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