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GOOD NEWS

자양2동성당 검색
메뉴

검색

검색 닫기

검색

오늘의미사 (녹) 2025년 11월 18일 (화)연중 제33주간 화요일사람의 아들은 잃은 이들을 찾아 구원하러 왔다.
가톨릭 성인/축일
    성 오도 (Odo)
    축일 11월 18일
    신분 수도원장
    활동지역 클뤼니(Cluny)
    활동연도 879-942년

       프랑스의 르망(Le Mans)에서 아키텐(Aquitaine) 영주의 아들로 태어난 성 오도는 어린 시절 안전을 기원했던 부친에 의해 성 마르티누스(Martinus)에게 봉헌되었다. 10대에 세속적 성공을 위해 기욤 공작의 집에서 지내기도 했으나, 10대말에 투르(Tours)의 성 마르티누스 수도원에 입회해 참사위원으로 수도생활을 시작했다. 파리 유학 시절 성 오도는 베네딕투스의 수도규칙을 처음 접하고 큰 감명을 받았다. 또한 오세르(Auxerre)의 레미기우스(Lemigius)의 지도로 인문학을 공부하며 특히 음악에 심취하였다. 909년경 그는 브장송(Besancon) 교구의 봄(Baume) 수도원으로 옮겨 입회하였다.

       성 베르누스(Bernus, 1월 13일)가 910년 아키텐의 기욤(Guillaume) 공작의 도움으로 클뤼니에 새로운 개혁 수도원을 설립했을 때 그는 봄 수도원에 남아 학교 교장을 맡았다. 927년 클뤼니 수도원의 초대원장이었던 성 베르누스가 선종하자 그가 제2대 원장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교황과 영주들의 지원 아래 클뤼니 수도원의 개혁을 이어가며 다른 수도회들도 개혁 운동에 동참하도록 하여 많은 참여를 이끌어냈다. 지역 군주들마저 성 오도에게 자신들 지역에 있는 수도회의 개혁을 요청했고, 결국은 이탈리아에 있는 수도원 개혁까지 관여하며 클뤼니 수도원의 개혁 운동을 유럽 전역으로 확산시켰다.

       성 오도는 수도자들에게 성 베네딕투스의 수도규칙을 엄격하게 준수하기 위해 침묵과 고행을 강조했다. 특히 수도자가 침묵하지 않는다면 선행을 해도 아무 소용이 없다고 했다. 또한 그는 수도자들이 기도 시간을 잘 보내기 위한 방법으로 전례를 강조했다. 그래서 클뤼니 수도원은 성음악과 함께 하는 다양하고 장엄한 전례 예식을 발전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성 오도는 찬미가를 비롯해 윤리와 구원에 관한 글들을 남겼고, 오리악(Aurillac)의 성 게랄두스(Geraldus, 10월 13일) 전기를 기록했다.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