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GOOD NEWS

곡성성당 검색
메뉴

검색

검색 닫기

검색

오늘의미사 (녹) 2025년 9월 28일 (일)연중 제26주일(세계 이주민과 난민의 날)너는 좋은 것들을 받았고 라자로는 나쁜 것들을 받았다. 그래서 그는 이제 여기에서 위로를 받고 너는 고초를 겪는 것이다.
가톨릭 성인/축일
    성 파우스토 (Faustus)
    같은이름 파우스또 , 파우스뚜스 , 파우스투스 , 파우스트
    축일 9월 28일
    신분 주교 , 수도원장
    활동지역 리에즈(Riez)
    활동연도 +485년 이후

       성 파우스투스(또는 파우스토)는 5세기 초에 프랑스 북서부 브르타뉴(Bretagne)에서 태어나 오세르(Auxerre)의 성 제르마노(Germanus, 7월 31일)에게 세례를 받았다. 그는 수사학과 철학을 배운 후 변호사 생활을 시작했다가 양심적으로 변호하기가 어렸다는 사실을 깨닫고 프랑스 남동부 칸(Cannes) 앞바다의 생토노라(Saint-Honorat) 섬에 설립된 레랭(Lerins) 수도원에 들어갔다. 그는 레랭 수도원의 설립자인 성 호노라토(Honoratus, 1월 16일)가 427년에 아를(Arles)의 주교로 착좌하기 전에 수도원에 들어왔고 얼마 뒤에 사제품을 받고 수도원에서 지냈다. 두 번째 수도원장인 성 막시모(Maximus, 11월 27일)가 434년경 리에즈의 주교로 떠나게 되자 그를 계승하여 레랭 수도원의 세 번째 원장이 되었다. 성 파우스토는 그와 동시대를 살았던 아를의 성 호노라토와 클레르몽(Clermont)의 성 시도니오 아폴리나리스(Sidonius Apollinaris, 8월 21일) 등으로부터 큰 존경과 사랑을 받았다. 그들에 따르면 성 파우스토는 사막의 교부처럼 엄격한 수도 생활로 높은 성덕을 닦았다고 한다.

       성 막시모 주교가 적어도 455년 이후, 460년경 선종한 후 성 파우스토는 그를 계승하여 리에즈의 주교가 되었다. 그는 수도원장이었을 때만큼이나 훌륭한 주교로서 교구를 돌보았다. 그는 주교직을 수행하면서 수도자의 고행과 기도 또한 조금도 소홀히 하지 않았다. 그는 정기적으로 레랭 수도원에 들어가 기도에 전념했고, 교구 내에 많은 수도원을 설립하고 지원하였다. 그리고 462년에 교황 성 힐라리오(Hilarius, 2월 28일) 재임 중 로마(Roma)에서 열린 시노드에 갈리아 주교단의 두 명의 대표 가운데 하나일 정도로 존경과 신임을 받고 있었다. 그는 또한 펠라기우스를 ‘페스티페르’(pestifer, ‘역병을 퍼트리는’, ‘유해한’이란 뜻)라고 칭하며 펠라기우스주의(Pelagianism)를 배격하고 강력히 대처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그는 마르세유(Marseille)의 성 요한 카시아노(Joannes Cassianus, 7월 23)와 힘을 모아 아리우스주의(Arianism)와 예정론 등 교회 내의 모든 이단을 거슬러 정통 교리를 옹호하는 작품을 저술하였다. 그로 인해 그는 476년경에 서고트족의 유리크(Euric) 왕에 의해 추방되었다가 484년에 유리크 왕이 사망한 후에야 교구로 돌아올 수 있었다.

       그의 정확한 선종 시기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485년에서 495년 사이로 추정하고 있다.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9월 28일 목록에 성 파우스토의 이름을 새로 추가하면서 485년 이후에 선종했다고 표기하였다. 그에 따르면 프랑스 남부 프로방스(Provence) 지방의 리에즈에 레랭 수도원의 수도원장이었던 성 파우스토 주교가 있었는데, 그는 하느님 말씀의 육화와 성령이 성부와 성자와 동일한 본질이며 영원으로부터 함께 존재했다는 사실을 설명하며 아리우스주의를 반박하는 글을 썼다는 이유로 유리크 왕에 의해 추방당했다고 기록하였다. 이는 유리크 왕이 가톨릭교회의 니케아 신경(Symbolum Nicaenum)에 적대적인 아리우스파를 지지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리에즈에 있는 그의 무덤 위에 나중에 그를 기념하여 성당이 건립되었다.♣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