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GOOD NEWS

시흥5동성당 검색
메뉴

검색

검색 닫기

검색

오늘의미사 (홍) 2025년 7월 5일 (토)한국 성직자들의 수호자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 순교자너희는 나 때문에 총독들과 임금들 앞에 끌려가 그들과 다른 민족들에게 증언할 것이다.
가톨릭 성인/축일
    성녀 필로메나 (Philomena)
    축일 7월 5일
    신분 동정녀
    활동지역 산 세베리노(San Severino)
    활동연도 +500년경

       이탈리아 중부 안코나(Ancona) 부근 산 세베리노에서 공경을 받는 성녀 필로메나에 대해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1527년 산 세베리노의 돌리올로(Doliolo)에 있는 성 라우렌시오 성당 제단 아래를 발굴하는 중에 한 여성의 유해가 발굴되었는데, 그녀가 치아벨리(Chiavelli) 혈통의 성녀 필로메나라고 밝혀졌다. 그 뒤로 산 세베리노를 중심으로 여러 지역에서 그녀에 대한 대중적 공경이 이루어졌고, 옛 “로마 순교록”은 7월 5일 목록에 성녀 필로메나 동정녀의 이름을 추가하였다. 하지만 그녀의 존재와 순교자 또는 성녀 여부에 대한 회의적 시각이 이미 20세기 이전부터 있었고, 역사적 관점에서 실제 순교자의 유해가 아니라는 결론에 도달했다. 실제로 16세기 이전에 산 세베리노에서 성녀 필로메나의 이름이나 유물, 공경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었기 때문이다. 오히려 로마(Roma)의 동정 순교자로 나폴리(Napoli) 교외 무냐노(Mugnano)를 중심으로 여러 지역에서 공경했던 성녀 필로메나(8월 11일) 이야기와 상당한 유사성을 지니고 있다. 교회 미술에서 성녀 필로메나는 로마의 성녀 필로메나처럼 백합 또는 닻과 세 개의 화살을 지닌 처녀로 그려진다. 때때로 종려와 채찍을 든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하지만 역사적 불확실성으로 인해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그녀에 대한 기록을 삭제하였다.♣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