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성인/축일
-
- 복자 알퀴노 (Alcuin)
같은이름 알쿠인 , 알퀴누스 , 알퀸 , 앨퀸 축일 5월 19일 신분 학자 , 수도원장 활동지역 요크(York) 활동연도 735년경-804년
복자 알퀴누스(Alcuinus, 또는 알퀴노)는 735년경 영국 노섬브리아(Northumbria)의 요크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나 가족 등 출신 배경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그는 고향인 요크의 주교좌성당 학교에서 노섬브리아의 국왕 에드버트(Eadberht)의 형제이자 역사학자 성 베다(Beda, 5월 25일) 신부의 제자인 에그버트(Ecgbert) 대주교의 지도하에 수학하였다. 당시 요크의 학교는 교양 · 문학 · 과학은 물론 신학 분야에서도 학문의 중심지로 유명했다. 그는 767년경에 주교좌성당 학교의 교장이 되었고, 비슷한 시기에 부제품을 받았다. 그의 지도하에 이 학교는 학문의 전당으로서 큰 명성을 이어갔다. 그는 로마(Roma)를 방문한 후 파르마(Parma)에서 샤를대제(Charlemagne)를 만났고, 781년에 그의 초청을 받아 독일 아헨(Aachen)으로 가서 그곳에 궁정 학교를 세우고 왕의 스승이자 고문이 되었다. 796년에 그는 샤를대제에 의해 투르(Tours)의 성 마르티노 수도원의 원장으로 임명되어 수도원 내에 학교와 도서관을 설치했고, 그 이후 페리에르(Ferriere), 트루아(Troyes), 코르메리(Cormery) 수도원의 원장이 되었다.
그는 카롤링거 르네상스(Carolingian Renaissance)를 주도하는 힘이자 정신이었고, 프랑크왕국의 왕실을 유럽 문화와 학문의 중심으로 만들었다. 그는 제국을 통하여 문맹을 퇴치하고 초급 교육제도를 신설했다. 또한 7과목을 배우는 고등 교육제도, 즉 3학(문법, 수사[修辭], 논리)과 4학(산술, 기하, 음악, 천문)을 근거로 한 교육제도를 만들어 중세 유럽 교육제도의 기반을 확립하는 데 크게 이바지하였다. 고문(古文) 사용을 장려했던 복자 알퀴노는 뛰어난 신학자로서 794년 프랑크푸르트(Frankfurt) 시노드에서 단죄된 그리스도 양자론(adoptianismus) 이단을 반박하였다. 그는 성경 주해서와 전례서를 저술했고 지금도 수사학에서 자주 인용되는 “개요서”(Compendium)의 저자로서 놀라운 언어 구사와 함께 수많은 편지를 남겼다. 그는 자신이 크게 발전시킨 학교 가운데 하나인 투르의 성 마르티노 수도원 학교에서 804년 5월 19일에 선종하였다. 그에 대한 공경이 공식적으로 승인된 바는 없으나 영국 가톨릭교회와 성공회 그리고 여러 순교록에서 그를 복자로 기념하고 기록하였다. 영국에서는 선종한 날이 캔터베리(Canterbury)의 성 둔스타노(Dunstanus) 축일과 중복되는 관계로 하루 미뤄서 5월 20일에 기념하였다. 하지만 옛 “로마 순교록”이나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에서는 그의 이름을 찾을 수 없다.♣
- 복자 알퀴노 (Alcu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