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성인/축일
-
- 성 베다 (Bede)
같은이름 비드 , 존자 축일 5월 25일 신분 신부 , 교회학자 , 역사가 활동연도 672/673-735년
성 베다(Beda)는 영국 잉글랜드(England) 북부를 흐르는 타인강(Tyne R.) 남쪽 지역의 노섬브리아(Northumbria) 왕국에서 태어나 7/8살 때 친척들에 의해 웨어머스(Wearmouth)의 성 베드로 수도원으로 보내져서 성 베네딕토 비스콥(Benedictus Biscop, 1월 12일) 수도원장의 지도하에 교육을 받았다. 685년부터는 성 베네딕토 비스콥이 재로우(Jarrow)에 새로 지은 성 바오로 수도원으로 옮겨 그곳의 원장인 성 체올프리도(Ceolfridus, 9월 25일)의 지도를 받았다. 그는 그곳에서 교육을 받으며 성장한 뒤에 그 수도원에 입회하여 수도자가 되었고, 19살에 부제품을 받고 30살에 사제품을 받았다. 그는 학문 연구를 위해 린디스판(Lindisfarne)과 요크(York) 지역에 잠시 체류하거나 로마(Roma)를 방문했던 것을 제외하고는 생애 대부분을 수도원 안에서 생활하며 주로 성경 연구와 수도원 내의 교육과 저술 활동에 전념하였다.
그는 당대에 이미 가장 박학한 사람으로 존경받았고, 영문학사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성경에 관한 그의 주해서들은 가장 권위 있고 중요한 저서로 인정받았다. 그는 고대 영어를 사용하는 지역에서 평생을 살았지만, 라틴어를 익혀 성경을 주석하면서 문학적 의미보다는 영성적 의미를 찾으려고 노력하였다. 또한 그는 서방의 4대 교부를 비롯해 여러 교부의 가르침을 인용해 라틴어를 모르는 평신도들도 쉽게 주님의 말씀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하지만 그는 역사가로서 더 유명했다. 그가 731년에 저술한 “영국 교회사”(Historia Ecclesiastica gentis Anglorum)는 다섯 권으로 된 방대한 저서로 영국 최초의 역사서이자 교회사를 다룬 대표적 작품으로 요크의 학교를 통해 영국 전역으로 퍼졌고, 요크에서 공부하고 나중에 독일 아헨(Aachen)의 궁정 학교 교장이 된 복자 알퀴노(Alcuinus, 5월 19일)에 의해 유럽 전역에 널리 알려졌다.
그는 그리스도교와 관련하여 찬미가와 시를 쓰고 서한집, 강론집, 순교록, 전기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다. 또한 세속 학문에도 관심을 두어 문법과 작시법, 역사 기록학 및 연대기 관련 작품도 많이 썼다. 그리고 교황청의 규정을 따르지 않고 다른 시기에 부활절을 지내는 켈트족 그리스도인을 거슬러 서방 교회의 전통에서 부활절 날짜를 계산하는 방식을 다룬 “시대에 대하여”(De temporibus, 703년)」와 증보판 격인 “시대의 계산에 대하여”(De temporum ratione, 725년)를 출간하였다. 그는 많은 책을 라틴어로 저술했으나 영어로 집필한 저술가로도 이름이 나 있다. 특히 그는 말년에 병으로 고생하면서도 요한 복음서를 고대 영어로 번역해서 라틴어를 모르는 그리스도인들이 주님의 말씀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했다. 성경 연구와 저술에 헌신한 성 베다는 735년 5월 26일 재로우의 수도원에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며, 재로우에 묻혔다가 더럼(Durham)으로 옮겨졌고, 현재는 더럼 대성당(Durham Cathedral) 서쪽 끝에 있는 갈릴래아 경당(Galilee Chapel)에 묻혀 있다.
성 베다는 일생을 기도하고 노동하며 단순하게 살고자 노력한 수도자였으나 그의 학문적 업적으로 인해 유럽 전역으로 그의 명성이 퍼져나갔다. 그래서 그의 지혜와 학문을 높이 인정한다는 의미에서 ‘존자’(尊者, Venerable)라는 칭호가 이름 뒤에 덧붙여졌고, 이 칭호는 853년 아헨 교회 회의에서 공식화되었다. 중세에 그의 이름은 서방 교회의 4대 교부와 세비야(Sevilla)의 성 이시도로(Isidorus, 4월 4일) 다음으로 가장 많이 인용되었다. 영국 최초의 역사가로서 ‘영국 역사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그는 1899년 교황 레오 13세(Leo XIII)에 의해 교회 학자로 선언되었고, 성 보니파시오(Bonifatius, 6월 5일)는 성 베다를 일컬어 ‘성령의 빛이자 교회의 빛’, ‘우리 스승이신 베다 존자(Beda Venerabilis, Bede the Venerable)’라고 하였다. 그는 단테(A. Dante)의 “신곡”(La Divina Commedia)의 ‘천국 편’에 등장하는 유일한 영국인이기도 하다.
비드(Bede)로도 불리는 그는 1100년 이전까지 영국 전례력에서 5월 26일에 기념하다가 캔터베리(Canterbury)의 성 아우구스티노(Augustinus, 현재는 5월 27일을 축일로 지냄)의 축일과 겹쳐지자 다음날인 5월 27일로 옮겨 지냈다. 1969년 전례력 개정 이후 다시 5월 25일로 확정되어 로마 보편 전례력 안에서 기념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옛 “로마 순교록”은 5월 27일 목록에서 성덕과 학문으로 유명한 성 베다 존자 신부를 기념한다고 전해주었으나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정신에 따라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5월 25일 목록에서 그에 대해 기록하였다. 즉 사제요 교회 학자인 성 베다 존자는 8살부터 그리스도의 종으로 살았고, 영국 노섬브리아에 있는 재로우 수도원에서 평생을 보내며 묵상과 성경 연구에 헌신했으며, 수도원 규칙을 준수하며 매일 기도와 연구, 교육과 저술 활동을 즐거운 마음으로 실천했다고 적었다.♣
- 성 베다 (Be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