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17일 (월)
(녹) 연중 제11주간 월요일 나는 너희에게 말한다. 악인에게 맞서지 마라.

성경자료

동영상 세부 내용 목록: 나해 성령 강림 대축일 전례성경 공부/묵상

스크랩 인쇄

소순태 [sunsoh] 쪽지 캡슐

2024-05-24 ㅣ No.7069

+ 찬미 예수님!


1. (제1항) 다음의 바로가기... 에 접속하면, 위의 제목의 전례성경 공부/묵상 동영상 세부 내용 목록을 활용하여 필요시 언제든지  이 동영상 중의 콘텐츠들을 손쉽게 엑세스 할 수 있습니다[저작권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스마트폰용]

나해 성령 강림 대축일 전례성경 공부/묵상 동영상 세부 내용 목록으로 바로가기... <----- 여기!

 

[PC 혹은 노트북용]

니헤 성령 강림 대축일 전례성경 공부/묵상 동영상 세부 내용 목록으로 바로가기... <----- 여기!

 

[더 상세한 세부 내용 목록] 

오늘의 전례성경 묵상 동영상에서 교재 본문 중의 특정 내용들에 대한 추가 설명들이 주어지고 있는 부분들:

 

* 시작 기도 및 복습 안내; 00:00-01:07-06:08

* 오늘의 독서들에서 발췌된 바들: 06:08-06:38-11:08-11:40

* 가톨릭 교회의 주일 및 대축일 전례력에 있어, 예수님께서 부활하신 주일 바로 그날 밤에 제자들에게 나타나시어 명하신 "성령을 받아라!"가 포함된 요한 복음서 20,19-23의 중요성에 대한 안내: 06:38-07:18

* 지역 교회의 탄생은 해당 지역에 성령 강림이 그 기준이지, 그동안 국내에서 대단히 잘못 알고 있었듯이[예: 최석우 신부], 해당 지역의 특정인(들)이 수세(水洗) 혹은 대세(代洗)를 받음이 결코 아니다; 성령 강림의 증거는 무엇? - 선교/전교/복음화/포교 활동(예: 1779년 겨울 천진암 강학에서 이벽 성조의 포교 활동); '형상적 이단'[즉, 요즈음 말하는 '이단']의 정의(definition)에 대하여: 06:38-08:45-11:08; 37:16-38:27-41:33-42:44-44:35 

* 오늘 성령 강림 대축일 입문: 11:40-19:21

* 달력이 없었을 기원전 10세기경부터 히브리인들이, 매3년마다 음력 윤달 한 달 삽입을 고려하여, 과월절 날짜(니산달 보름달 날짜인 14일)를 정하는 방법: 11:40-15:06-18:55

* 오늘의 독서들의 주제: 53:45-54:46

* 오늘의 복음 말씀 입문: 19:21-21:45

* 유다인들의 인사말인 '샬롬'의 의미: 21:45-22:38

* 성화와 관련하여 대단히 중요한 용어인 '완미(完美)'(perfection)와 '완전'(completeness)의 커다란 차이점에 대하여: 23:10-23:33

* 'Sacrament'의 애초 번역 용어는, '성사'(聖事, opus Dei/하느님의 일)가 아니라, 직역 번역된 '성사지적'(하느님의 일의 흔적)이었다: 23:33-25:00

* ‘영광(glory) 이라는 용어와, ’영광을 발하는‘(glorious)[영광스럽다_번역오류], ’영광을 더하다‘(glorify), ’자랑하다‘(glory in) 등의 그 파생어들에 대하여: 27:17-29:19  

* 예수님께서 승천과 함께 성부 하느님으로부터 받으실 영광을 다 받으신 예수님의 영광은 곧 성령이며, 바로 이 영광을 성령 강림일에 예수님께서 제자들 쪽으로 발출하신 것이다[필리오퀘 논쟁 자체가 불필요하였던 이유]; '9일 기도'(Novena)의 기원; 고해성사의 신약 성경 근거: 25:00-27:03-27:17-29:19

* 고해성사의 신약 성경 근거: 27:03-27:17

* 대체 복음 말씀: 27:17-29:28 

* 오늘의 제1독서 입문: 29:28-30:58

* 예루살렘 쪽으로 성지 순례 시편 노래 전통에 근거한 ‘성모 찬송(살베 레지나; Salve, Regina)’ 기도문의 유래; '슬픔의 골짜기'; 성무일도 아침기도 및 저녁기도에서 바치는 시편 기도들에 대한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과 베네딕토 16세 교황님의 해설 안내: 34:12-35:14

* 오늘의 제2독서 입문: 44:35-45:28-48:16

* 산업혁명 이후에 처음으로 등장한 가톨릭 사회 교리의 네 개의 원리들, 이 원리들 중의 한 개인 '공동선'(common good)의 의미 및 그 역사적 배경 등에 대한 안내: 45:28-46:10

* 자구적으로 신자가 아님을 의미하는 '예비신자'아니라, 그리스도교 신앙을 이미 받아들인 자로서 세례를 준비하는 '세례 준비자'/'신문교우'를 말하는 ‘catechumen’이라는 라틴어 용어에 대한 설명이 개정판 "한국가톨릭대사전"에서 사라진 이유는 무엇?: 46:10-48:16

* 예수님께서 세례자 요한에게 명하시여 '성령에 의하여 기름부음받는 세례'를 받으신 이유는 무엇? 50:00-50:51

* 대체 제2독서; 삼구(三仇)들의 유혹; 성령의 열매들: 50:51-53:45

* 오늘의 3분 복음/교리 묵상: 54:46-54:53

* 마침 기도: 54:53-55:22

 

 

2. (제2항)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341.htm <----- 필히 시청 요망

 

"KF94 마스크 미착용, 착용 시의 커다란 차이점을 잘 보여주는 실험 동영상들 - 오미크론 출현 이전인 2021년 10월 14일에 확보한 자료들임" 제목의 졸글에 추가된 중요한 방역 수칙들을 읽을 수 있습니다. 

 

게시자 주 1: 위의 주소에 있는 글은, 예를 들어, 그 내용 보강(각주들의 추가 포함)이 추후에도 이루어지는 등, 저작권자에 의한 글의 지속적인 관리상의 문제로, 이곳에 본문을 게시하는 대신에 다음의 주소에 있는 한 군데의 장소로 독자들께서 직접 접속하여 읽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데, 이 점을 널리 이해해 주셨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q&a.htm <----- 제목, 내용 검색으로 다른 졸글들 찾아 읽기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48 0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