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일 (일)
(백) 지극히 거룩하신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 이는 내 몸이다. 이는 내 피다.

세계교회ㅣ기타

격동의 현대사1: 대한민국 승인을 도와주십시오

스크랩 인쇄

주호식 [jpatrick] 쪽지 캡슐

2009-01-03 ㅣ No.110

[격동의 현대사 - 교회와 세상] (1) 대한민국 승인을 도와주십시오


장면 박사 파리 유엔총회에 수석 대표로 급파

 

 

올해는 대한민국 건국 60돌이 되는 해이다. 해방의 감격과 혼란, 민족 분단, 6ㆍ25 전쟁, 폐허에서 이뤄낸 산업화와 민주화…. 실로 격동의 세월이었다.

 

지난 60년이 격동의 세월이기는 한국 가톨릭도 마찬가지였다. 해방 당시 신자 수가 전체 인구의 0.7%에 불과했던 한국교회는 시대의 격랑을 헤치며 숨가쁘게 달려왔다. 특히 전후 구호ㆍ의료ㆍ교육사업, 민주화운동 등을 통해 세상과 소통하면서 복음화율 10%대 진입을 눈앞에 둔 주류 종교로 우뚝 섰다.

 

평화신문은 창간 20돌 특별기획으로 한국 가톨릭 현대사에서 교회와 사회에 큰 획을 그은 20가지 사건(주제)을 선정, '격동의 현대사, 교회와 세상'을 연재한다. 살아있는 현대 교회사를 펼쳐 보일 이 기획은 우리의 과거를 성찰하고, 이를 기초로 21세기 나아갈 길을 제시하리라 기대한다.

 

 

1948년 12월 12일 새벽 3시, 프랑스 파리.

 

제3차 유엔총회 한국대표단으로 3개월째 파리에 머물고 있는 장면(요한) 박사와 시인 모윤숙씨는 보슬비 내리는 적막한 거리를 가로 질러 성요셉 성당으로 들어갔다.

 

장 박사는 무릎을 꿇고 기도를 바치기 시작했다. 난생 처음 성당에 간 모씨는 기도에 몰입해 좀체 일어설 기미를 보이지 않는 그를 힐끔 힐끔 쳐다보기만 했다. 장 박사는 거의 1시간 만에 일어섰다.

 

"미스 모, 이 근처에 아베마리아 성당이 있는데 거기 가서 새벽미사에 참례합시다"

 

"또 기도를? 저는 무릎이 아파서 도저히 안 되겠어요."

 

"오늘처럼 중요한 날에 그걸 못 참아요. 허허."

 

수석대표인 장 박사는 새벽미사에 참례하고 호텔로 돌아와 대표단에게 비장한 어조로 말했다.

 

"오늘 최후의 승리를 확보해야 합니다. 대한민국의 운명이 우리 양 어깨에 얹혀 있습니다. 각국 대표들에게 찾아가서 마지막으로 호소합시다."

 

 

47 대 6의 승리

 

오후 3시 유엔총회장은 대한민국을 한반도의 유일한 합법정부로 승인하는 문제로 소란스러웠다. 전날 밤에도 소련대표 비신스키와 미국대표 덜레스(미 국무장관)가 이 문제를 놓고 격렬하게 싸웠다는 소문이 퍼졌다.

 

- 장면 박사(가운데)가 유엔총회장 로비에서 각국 대표들에게 대한민국 정부 승인을 호소하고 있다.

 

 

승인을 반대하는 공산진영 대표 비신스키는 단상에 올라갈 때마다 입에 담지 못할 험담으로 미국과 한국을 비난했다. 대한민국의 국제적 승인은 한반도에 국한된 문제만이 아니었다. 자본주의진영과 공산진영간의 한 치 양보할 수 없는 대결이었다.

 

국제사회 승인은 장 박사 표현대로 대한민국의 운명이 걸린 문제였다. 남한은 자유 총선거를 실시해 1948년 8월 15일 정부 수립을 국내외에 선포했다. 북한도 9월 3일 UN 임시위원단의 어떤 감시도 받지 않은 채 일방적으로 단독정부 수립을 선포했다.

 

그러나 국제적 승인을 받지 못하면 아무 의미가 없었다. 고립에서 벗어나려면 승인을 받는 게 급선무였다. 남한 정부가 장 박사를 수석으로 하는 대표단을 파리로 급파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한국대표단은 지칠대로 지쳐있었다. 출범한 지 1~2개월 밖에 안된 신생국가의 초년생 대표들이 국제무대에서 노련한 외교관들을 상대로 지지표를 얻어내는 일은 무모한 일이었다. 더구나 각국 대표들은 자국의 이해관계가 얽힌 의제가 끝나고, 성탄절도 가까워오자 귀국을 서두르는 분위기였다.

 

장 박사는 그런 그들을 발이 닳도록 찾아다니며 설득했다. 심야회의가 열릴 때는 새벽 2시까지 문 앞에서 기다리고 있다가 피곤하다며 뿌리치는 대표들을 붙잡고 설득했다.

 

마침내 투표함이 열렸다. '찬성 47표 반대 6표'. 이로써 유엔은 대한민국의 적법성을 선언하고, 대한민국 권위가 전 한반도에 미친다(결의안 제195호)는 점을 승인했다. 이 표결은 대한민국 외교의 승리이자 신생 공산국가들에 대한 자본주의국가들의 승리였다.

 

 

교황청과 메리놀회가 나서다

 

이날의 승리에는 '보이지 않는 손'이 작용했다. 교황청의 전폭적 지지와 한국교회를 대표하는 장면 박사라는 걸출한 인물의 가톨릭 네트워크가 그것이다.

 

교황 비오 12세는 일본에 체류 중인 전 평양교구장 번(Byrne, J. Patrick) 주교를 1947년 교황사절로 한국에 파견했다. 교황청의 사절 파견은 국제공법과 외교관례상 한국이라는 국가의 존재를 외교적으로 승인한다는 의미가 있다.

 

일본에서 맥아더 장군의 민정 고문으로 일했던 번 주교는 주한 미 사령관 하지(Hodge) 장군은 물론 한국 가톨릭의 대표성을 띤 장 박사와 긴밀한 협조체제를 구축했다. 장 박사와 번 주교는 1920년 미국 펜실바니아 메리놀학교에서 학생과 교장으로 만났던 사이다. 번 주교는 1922년 평양교구 창설 준비 책임자로 한국에 와서도 장 박사와 함께 일한 터라 두 사람은 눈빛만 봐도 상대의 마음을 아는 사이였다.

 

번 주교는 외교관으로서 정부 수립과 국제적 승인을 위한 수완을 발휘하기 시작했다. 그는 UN 임시위원단 감시하에 선거를 치르면 대한민국 정부 수립이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미소간 협상을 통해 한반도 문제를 해결하려는 임시위원단 계획을 비현실적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번 주교는 메리놀본부를 통해 미국 외교가에 우호적 여론을 조성했다. 또 미국 스펠만 추기경이 주최하는 오찬에 이승만(당시 독립촉성국민회의 의장)을 참석시켜 그가 미 정계에 발을 넓힐 수 있도록 했다.

 

유엔 3차 총회에서는 바티칸의 외교력이 빛났다. 교황 비오 12세는 바티칸 국무장관 몬티니 대주교와 프랑스 주재 교황대사에게 한국대표단에 대한 전폭적 지원을 명령했다. 이들은 남한 단독정부 수립에 반대하는 국가들의 고위 성직자와 외교관들에게 장 박사를 소개시켜줬다.

 

- 유엔총회에 참석한 한국대표단. 앞줄 왼쪽부터 조병옥, 장면, 장기형.

 

 

사불성생불환(事不成生不還) 각오로

 

바티칸과 번 주교의 노력이 없었다면, 외교 경험이 별로 없는 한국대표단이 세계 열강을 상대로 목적을 달성하는 것은 불가능했을 것이다.

 

"장 박사는 외국 대표들을 만나 설득하느라 식사도 제대로 못하는 형편이었다. 이따금 (호텔로) 그를 찾아오는 방문객은 유럽 각국의 신부와 수녀들이었다. 정치하는 분이 왜 신부와 수녀들만 끌어 들일까 하고 이상하게 생각했다. 그 힘이 컸던 것을 나중에 알았다."(모윤숙씨의 회고록에서)

 

"공산측의 방해공작을 저지하는 것도 큰 일이었다. 우리도 언론기관에 응원을 청하여 맹렬한 선전공작을 전개했다. 특히 가톨릭 언론기관의 절대적 호응과 교회측의 기도 후원이 결정적 승리를 가져다 준 요인이란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장면 박사 회고담에서)

 

대한민국 건국은 가톨릭의 지원과 '사불성생불환(事不成生不還)', 즉 일을 이루지 못하면 살아서 돌아가지 않는다는 대표단의 비장한 각오가 있었기에 가능했던 일이다.

 

 

만약 유엔승인을 받지 못했더라면…

 

생각만해도 아찔한 가정이다. 유엔이 6ㆍ25 전쟁 발발 직후 신속하게 안전보장이사회를 소집해 유엔군 파병을 결정한 데는 대한민국 정부를 합법정부로 승인한 1948년 결의가 있었기 때문이다.

 

더욱이 6월 25일(현지시각) 열린 안보리 긴급회의는 상임이사국 소련이 불참한 틈을 이용해 파병과 원조 등 모든 사항을 한국측에 유리하게 일사천리로 결정했다. 소련은 자유중국(타이완) 대신 중공을 안보리에 앉히자는 주장을 내세우며 회의 출석을 거부하고 있을 때였다. 만일 소련이 안보리에 출석해 거부권을 행사했더라면 지금의 대한민국은 없었을 것이다. 장 박사는 "소련의 불참이야말로 하느님 도우심"고 말한 바 있다.

 

또한 미군과 유엔군의 신속한 출병 과정에서 장 박사의 공적을 간과할 수 없다. 초대 주미대사로 워싱턴에 머물던 장 박사는 전쟁 발발 소식을 듣고 트루먼 미 대통령과 우방국 대표들을 찾아다니며 눈물로 파병을 호소했다. 그는 26일 트루먼 대통령을 직접 만나 "한국의 비극을 아십니까? 제가 6개월 전에도 이 자리에 와서 38선 경비를 위해 무기 지원을 요청하지 않았습니까."라고 항변하며 신속한 파병을 촉구했다. 미군 파병 결정은 27일 낮 12시 30분에 발표됐다.

 

[평화신문, 2008년 1월 20일, 김원철 기자]



1,277 0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