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3일 (월)
(홍) 성 가롤로 르왕가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소작인들은 주인의 사랑하는 아들을 붙잡아 죽이고는 포도밭 밖으로 던져 버렸다.

수도 ㅣ 봉헌생활

영성의 향기를 따라서: 마리아의 작은 자매회

스크랩 인쇄

주호식 [jpatrick] 쪽지 캡슐

2007-02-13 ㅣ No.50

[영성의 향기를 따라서] 마리아의 작은 자매회 (상)

 

 

마리아의 작은 자매회 수녀들이 서울 모현 호스피스에서 가정간호활동을 펼치고 있다.

 

 

『저는 하느님께서 갈바리아를 그 정신과 모델로 하는 새로운 수녀회가 교회 안에 있어야 한다는 뜻을 제게 보여주셨다고 확신합니다…갈바리아 산상에서 우리의 어머니가 되셨고 우리를 위해 고통받으셨으며 성혈의 근원이신 성모모성을 찬미합니다. 성모모성과 성혈에 대한 헌신이 새로운 수녀회의 목적입니다…특히 가장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 즉 매일 죽어가는 8만명의 교회 식구들을 위하여 기도할 작정입니다…』

 

「임종자의 벗」 메리포터는 1876년 7월 18일 교황 비오 4세에게 편지를 띄우며 갈바리아의 고통을 정신과 이념으로 하는 수녀회를 설립하기 위해 청원했다. 죽음의 침상에서 고독과 두려움, 나약함과 무기력함을 몸소 느낀 메리포터는 체험을 통해 교회에서 임종자들을 위해 중재하고 돌봐주는 여성단체의 필요성을 깨달았다. 그래서 1877년 영국 하이슨그린의 낡은 양말공장을 개조한 후 수녀원을 창설한 메리포터는 노팅엄교구 백쇼 주교에 의해 착복식을 갖고, 공동체와 학교를 성모 모성(Convert of the Maternal Heart)에 봉헌했다. 이로써 당시 사회의 냉대 속에 있던 간호직, 버려진 환자나 임종자을 돌보는데 교회가 투신하게 됐다.

 

1847년 영국 런던에서 태어난 메리포터는 엄격한 가톨릭교육을 받으며 평범하게 성장했다. 한때 오빠친구였던 갇흐리 킹과 약혼을 하기도 했으나, 하느님만을 사랑하기 위해 인간적인 사랑을 포기했다. 그후 영적지도 신부와 모친, 메리포터의 의논 끝에 자비수녀회에 들어갔지만 건강 악화로 2년의 수도생활 후 수녀원을 떠나야만 했다.

 

그러나 오직 하느님만을 위해 살겠다는 그의 결심은 더욱 강해져 많은 시간을 조용한 기도와 묵상으로 지냈으며, 거의 죽음에 직면하는 고통의 시기를 맞기도 했다. 메리포터의 건강은 그녀가 죽기 전까지 30년간 몇차례의 대수술이 필요한 암에 시달렸으며 마지막 3년은 침대에 누울 수조차 없고 유동식 음식만 먹을 수 있었다. 이런 와중에도 그녀는 고통을 감내하며 「이날 하루를 견딜 수 있는 건강을 주신 하느님께 감사드릴뿐」이라고 했다.

 

결국 1913년 수도회 회원들과 바티칸이 염려하는 가운데 죽음을 맞았고, 「다정하신 예수여…나는 고통없이 아니됩니다」라는 말을 남기며 세상을 떠났다.

 

또 메리포터는 자신의 심장이 수녀원 공동체에 있으면서 모두를 사랑하는 표시가 되길 바랬으며, 그 심장이 마리아의 작은 자매회가 항상 노력하는 외적 화합과 정신적 일체감의 상징이 되길 바래 그의 유언대로 시신에서 심장을 분리했다.

 

이처럼 고통의 삶, 성모모성에 봉헌된 삶을 몸소 보여준 메리포터는 모든 죽음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을 기억했다. 특히 십자가 아래에 둘러서서 죄인들의 회개를 위해 기도하던 성모 마리아 일행에 합류하기를 원했다. 그래서 그녀는 성모모성에 봉헌된 수도회임을 강조하면서 회원들에게도 늘 성모의 모정을 닮으라고 권유했다.

 

1882년 가경자로 선언된 메리포터가 고통 속에서 실천한 삶이었기에 그녀가 뿌린 씨앗은 오늘날 영국, 아일랜드, 이탈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짐바브웨, 호주, 뉴질랜드 등 전세계 13개국에서 500여명의 회원들이 활동하며 그 결실을 거두고 있다.

 

이같은 메리포터의 정신이 한국에 뿌리 내리게 된 것은 1963년 당시 춘천교구장 퀸란 주교의 초청으로 호주관구에서 한국으로 진출, 65년 강릉 갈바리의원을 개원해 최초의 호스피스 활동을 시작하면서부터였다. [가톨릭신문, 2002년 9월 8일, 이진아 기자]

 

 

[영성의 향기를 따라서] 마리아의 작은 자매회 (하)

 

 

1999년 마리아의 작은 자매회 관구 승격 기념미사 후 수도회 가족들이 함께 했다.

 

 

『내일이면 늦을 오늘 임종하는 이들을 위해』

 

마리아의 작은 자매회 수도자들은 죽음의 문턱에 있는 이들의 고통을 함께 짊어지며 천국으로 인도하는 안내자들이다. 임종자와 힘없는 약자들을 위해 헌신하는 회원들의 영성은 병마와 싸워가며 갈바리아 교훈을 직접 체험한 창설자 메리포터의 삶에서 비롯된다.

 

회원들은 그들의 영성을 임종하는 이들을 위한 기도와 성모모성에 일치하는 삶, 예수님 성혈을 통해 하느님께 자비 간구, 십자가에 달리신 그리스도의 신부(新婦)가 되는 소명으로 요약한다. 즉 「성모모성」을 본받고 또 「임종」이 영혼을 좌우하는 만큼 사람들이 임종을 잘 맞이하도록 돕는 일이 예수의 마음에 드는 일임을 깊이 새기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자들은 성모의 통고에 머물러 고통만을 체험하는 것이 아니라 어머니의 마음으로 다가서 그들을 위로하고 보살핀다.

 

전세계에서 임종자들을 위해 헌신하고 가난한 이들을 위해 봉사하며 하느님을 증거하는 마라아의 작은 자매들의 삶은 기도만으로 그치지 않는다. 죽어가는 이들을 구원하는 일에 자신을 헌신하고자 할 때 회원들의 존재 전부를 바치라고 메리포터는 당부했다. 갈비라아의 성모마리아 같은 마음으로 임종의 침상에서 그들과 함께 머물러 죽음을 배웅토록 했다.

 

오늘날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 「죽음의 현장」에서 성모모성 안에 역동적으로 서 있기를 바란 메리포터의 정신은 1965년 강원도 강릉 갈바리 의원을 개원하면서 한국에도 전해졌다. 한국땅에서 최초로 호스피스 활동을 시작한 회원들은 1971년 경기도 포천에서 임종하는 일들을 위한 가정방문을 시작했고 더 많은 이들에게 사랑의 손길을 베풀기 위해 87년부터 서울지역 전체를 방문하며 하느님의 자비를 전하고 있다.

 

현대사회에서 설립자의 영성을 폭넓게 실현하고자 생활보호대상자를 위한 양로원을 운영하는 수도회는 호스피스 활동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춘천한림대병원, 강릉아산병원, 강릉갈바리원목센터에서 원목활동을 하고 있다. 또한 마리아의 작은 자매회는 메리포터의 정신을 널리 알리고, 일반신자들에게 가까이 다가서고자 포천본당으로 전교수녀도 파견하고 있다.

 

지난 99년 강릉 갈바리재가노인복지센터를 개원해 지역독거노인을 위한 단기보호소도 함께 운영하고 있는 수도회는 강원도청소년자원봉사센터 강릉 분소에 수녀를 파견, 활동영역을 점차 확대해나가고 있다.

 

오늘의 부르심에 끊임없는 쇄신으로 응답하는 마리아의 작은 자매회는 경기도 포천에 전문화된 호스피스 센터 「모현 임종자의 집」을 건립해 그들의 손길을 더 많은 사람들에게 보낼 계획이다. 또 수도자들의 힘으로 모든 임종자를 지킬 수 없기에 세상 속에 사는 이들을 메리포터의 영성 안으로 초대해 임종하는 이들을 위한 기도와 사도직에 동참하는 평신도들의 모임도 이끌고 있으며, 오는 11월에 첫 서약식을 한다.

 

인류 최대의 관심사의 하나인 질병과 죽음을 십자가로 승화시키는 이들은 지난 99년 호주에서 분리, 성모승천관구로 승격돼 설립자의 영성을 넓혀가고 있다.

 

『하느님이 원하시면 반드시 이루어진다』는 메리포터의 믿음을 이어받은 회원들은 40여년의 한국교회 안에서의 역사를 도약의 발판으로 오늘도 죽음의 현장에서 임종자들과 함께 호흡하고 있다. [가톨릭신문, 2002년 9월 15일, 이진아 기자]



677 0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