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9일 (토)
(홍)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사도 대축일 너는 베드로이다. 나는 너에게 하늘 나라의 열쇠를 주겠다.

성인ㅣ순교자ㅣ성지

[순교자] 열여섯 번의 고문을 겪은 증거자 박취득

스크랩 인쇄

주호식 [jpatrick] 쪽지 캡슐

2004-10-31 ㅣ No.270

열여섯 번의 고문을 겪은 증거자 박취득

 

 

조선 조정에서 처음으로 천주교 신자들을 심문하고 박해를 집행하는 책임자는 형조판서 김화진이었다. 그는 서학도들을 심문하고 그 과정을 보고하면서 "서학도들을 매맞고 심문을 당하면서도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으니 다스릴 방법이 없다"라고 고백한 적이 있다. 우리 나라 초대교회 신자들은 순교를 열망하며 주님의 진리를 증거하니 결코 형조의 형벌과 죽임을 두려워하지 않았다. 형조의 으름과 위협이 통하지 않았던 것이다.

 

박취득과 원 야고보, 정 베드로, 방 프란치스코는 서로 절친한 친구이며 신앙의 동지였다. 한 때 이들은 지나친 열망으로 함께 순교하기 위하여 서로 밀고하기로 약속했다. 그러나 그들은 하느님께로부터 받은 생명의 존엄성을 깨닭고 이를 실행하지 않았다. 순교는 주님의 사랑의 소명 앞에 겸손하게 대령했을 때 주님의 은총 속에 이루어지는 것이지 인간의 열의와 용기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하느님의 놀라운 은총은 이들의 착한 열정을 받아들여 장소와 시간은 같지 않았지만 이들 모두에게 차례로 순교의 월계관을 씌워주셨다.

 

충청도 홍주(洪州)출신의 박취득(朴取得 라우렌시오, ?-1799년)는 홍주의 면천(沔川) 고을에서 덕망이 높아 모든 사람들에게 존경을 받았을 뿐 아니라 믿음이 굳고 용기가 대단하였다. 1791년 박해가 일어나자 전국 각지의 신자들이 잡혀가게 되었다.

 

그 무렵 면천고을에서도 많은 교우들이 체포되어 여러 달째 갇혀있었다. 이들의 비참한 옥살이를 위로하러 자주 찾아보며 용기를 복돋아주던 사람이 있었는데, 그가 바로 박취득이다.

 

어느 날 그는 옥에 갇힌 아침밥을 먹고 있을 때 관문을 두드리고 과감히 들어가 관장 앞에 서서 외쳤다. "무죄한 사람들을 사납게 매질하고 여러 달 동안 옥에 가두는 것은 무서운 죄가 아닙니까?" 관장은 화가 나서 저 사람이 도대체 누구냐고 물었다. 그러자 그는 천주교 사건으로 옥에 갇혀있는 박일득의 동생, 홍주 사람 박취득이라고 자신을 소개했다. 

 

박취득 라우렌시오는 즉시 체포되었다. 관장은 그의 목에 무서운 칼을 씌우고 혹독한 매질을 하였다. 그러나 그는 "이 나무칼이 너무 가벼우니 쇠로 된 것을 씌워주시오" 하고 말했다.

 

관장은 매우 난처해졌다. 박취득이 인심을 얻고 덕망이 높아 온 읍내가 동요하고 불평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관장은 더 이상 단죄하지 못했으나 물리쳐 내놓고 해미와 홍주 관아로 데려가 잔인한 매질을 하게 되었다. 박취득은 한 달 남짓 옥고를 치른 뒤 조정의 명에 의해 석방되었다.

 

주문모 신부의 입국이 밀고되고 1797년 홍주고을에 다시 박해가 일어나자 곧 박취득에게 체포령이 내렸다. 그가 몸을 숨기자 포졸들이 박취득 대신 그 의 아들을 잡아갔다. 어머니는 라우렌시오에게 "이제는 자수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하고 말하였다. 박취득은 어머니의 말에서 하느님의 뜻을 읽었고 주님의 도움심을 구하며 그해 8월 19일 자진해서 관아로 갔다.

 

첫 번째 심문에서 관장이 물었다. "어찌하여 국왕과 관장이 금하는 나쁜 도를 따르느냐?" 그러자 박 라우렌시오는 "저는 나쁜 도리를 따르지 않고 다만 만물을 창조하신 천주님을 숭배하라고 가르치는 참 종교와 계명을 지킬 뿐입니다. 저는 천주님을 공경하고 다음에서는 임금님과 관장들, 제부모와 다른 어른들을 공경하며 제 친구들, 은인들, 형제들 그리고 다른 모든 사람을 사랑합니다" 하고 증언하며 매를 맞았다. 그는 피를 흘리면서도 십계명이 사랑을 실천하는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너도 지황처럼 죽기를 원하느냐?" 관장은 더욱더 배교를 강요하며 위협하였다. 이에 굴하지 않고, "하느님께서는 제게 은혜를 한없이 베풀어주셨는데 저의 죄는 무수하니 죽어 마땅합니다" 하고 말하였다. "네가 무슨 죄를 범했느냐?" 관장이 되묻자 그는 대답했다. "저는 십계명을 완전히 지키지 못했습니다."

 

옥리들은 그에게서 돈을 좀 뜯어내고자 그의 두 발에 쇠고랑을 채우고 갖은 학대를 하였다. 박취득 라우렌시오는 정의 위해서 죽을 각오는 되어 있지만 만약 돈을 줄 마음이 있었다면 옥에도 오지 않았을 것이라며 고문을 받아들였다. 이 말은 형리들의 분노를 더욱 살수밖에 없었고 더욱 혹독한 매질을 하게 만들었다.

 

두 번째 심문때 관장은 그를 형틀에 올려놓고 때리며 집게로 살을 집어 뜯게하였다. 숱한 고문에도 그는 예수그리스도의 강생과 수난, 부활과 승천 그리고 재림에 대한 신앙을 고백하였다.

 

세 번째 심문부터 관장은 그에게 죽음의 위협을 가했다. 라우렌시오는 다음과 같이 말하면서 심문을 이겨나갔다. "임금은 육체의 임자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천주님만이 영혼의 주인이십니다. 그분은 죽은 뒤의 상과 벌을 정해놓으셨고, 아무도 그것을 면하지는 못합니다. 죽어야 한다면 그것이 대숩니까. 인생이란 사라져버리는 이슬과 같은 것이 아닙니까. 인생은 나그네길이요, 죽음은 고향으로 돌아가는 것에 지나지 않습니다."

 

네 번째 심문에서 증거자 라우렌시오는 "죽음은 이 세상의 모든 불행중에 가장 큰 것이니 살기를 원하고 죽음을 무서워하는 것은 모든 이에게 공통된 감정입니다. 그러나 천주님은 만인의 첫째 아버지이시고 만물의 최고 주재자이시니 저는 죽을지라도 그분을 배반하지 않겠습니다"라고 말하여 오히려 관장을 탄복시켰다.

 

그 뒤 위협과 형벌을 여러 차례 받으면서도 그는 한결같았다. 다만 그가 더 이상 봉양하지 못할 어머니를 생각하니 안타까울 따름이었다. "제가 죽은 다음에는 제 어머니가 사또의 수중에 있겠지만 어머니도 천주님께로부터 창조되었으니 천주님께서 그를 생각하실 것입니다."

 

이 무렵 그는 어머니께 편지를 드렸는데 거기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적혀 있었다.

 

"불효자 라우렌시오는 옥중에서 어머니께 제 심정을 알려드립니다. 저는 항상 천주님을 지성으로 섬기고 부모께 효성을 다하여 형제와 화목하고 모든 생각과 말 그리고 행동을 할 때마다 천주님의 명을 지키겠다고 결심하였습니다. 봄과 가을은 흐르는 물과 같이 지나가고 세월은 부시로 치는 돌에서 튀어나오는 불빛과 가아서 길지 못합니다. 특별히 조심하셔서 천주님의 명령에 충실히 지키십시오. 제가 옥에 갇힌 지 두 달즘 되었을 때 저는 어떻게 해야 천주님의 은덕을 얻을 수 있는지 궁리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잠결에 십자가를 따르라는 예수님의 십자가를 얼핏보았습니다. 이 발현(發現)이 약간 흐리기는 하지만 결코 잊을 수가 없습니다."

 

그는 고문을 열 여섯 번이나 당했고 곤장을 천사백대나 맞았다고 한다. 라우렌시오는 매맞은 채 옷을 벗기고 진흙에 버려지기도 하였으며 여드레동안 물 한 모금도 마시지 못했다. 마침내 1799년 음력 2월 29이 오전 11시 옥사함으로써 박취득은 증거자로써 장한 삶을 마쳤다.

 

[경향잡지, 1997년 7월호, 김길수(대구가톨릭대학 교수)]



249 0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