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8일 (금)
(홍) 성 이레네오 주교 학자 순교자 기념일 주님께서는 하고자 하시면 저를 깨끗하게 하실 수 있습니다.

자료실 묻고답하기

상장 예식서를 참조하세요.

스크랩 인쇄

주호식 [jpatrick] 쪽지 캡슐

2006-09-01 ㅣ No.258

한국천주교 중앙협의회에서 나온 상장 예식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아래 내용은 가톨릭인터넷서점 에 나온 설명입니다.

 

 

 

출판사 :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출판일 : 2003/3/10

페이지 : 416

판형 : 13*19cm

 

 

소개
  

주교회의는 2002년 추계 정기총회의 결정에 따라 1864년 목판본으로 발행된 이래 오랫동안 사용하여 왔던「천주 성교 예규」를 전통 상제례와 현대 감각에 맞추고 그 깊이를 더하여 한국 교회의 고유한「상장 예식」으로 펴냈다.
이 책은 전체 6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예식은 단계에 따라 임종과 운명(제1장), 위령기도(연도)(제2장), 염습과 입관(제3장), 장례(제4장), 우제(제5장), 면례(제6장)를 순서대로 배치하였다. 특히 장례(제4장)는 고인의 집을 떠나는 출관 예식과 성당에서 거행하는 장례미사와 고별식 그리고 묘지로 가면서 바치는 시편들로 되어 있는 운구 예식, 무덤 축복과 매장으로 이어지는 하관 예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는 화장하는 사람들을 위하여 화장 예식도 마련하였다.
우리 나라 교회에서 상제례 문화의 기원은 조상 제사 금지로 혹독한 박해를 받았던 교회 창립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조상에게 제사를 올리는 대신에 교우들은 부활 신앙 안에서 죽은 이를 위하여 열렬히 기도하였다. 교우들의 이 아름다운 관습은 어려울 때일수록 서로 돕고 살았던 우리 민족의 미풍양속과 어우러져 신앙의 토착화와 복음 선교에 커다란 밑거름이 되어 왔다.
교회는 장례를 통하여 그리스도의 파스카 신비를 드러내며, 영원한 생명에 대한 희망을 강조한다.
이 예식서는 영원한 생명을 찾아가는 우리의 부활 신앙을 북돋워주고, 교우들의 헌신적인 상례 봉사를 통하여 우리 민족의 복음화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목차
  

제1장 임종과 운명

제2장 위령기도

제3장 염습과 임관

제4장 장례
- 제1절 출관
- 제2절 장례미사
- 제3절 세례받은 어린이 장례미사
- 제4절 세례받지 않은 어린이 장례
- 제5절 운구와 화관
- 제6절 화장

제5장 우제
제6장 면례

성가



1,396 0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