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5월 15일 (수)
(백) 부활 제7주간 수요일 이들도 우리처럼 하나가 되게 해 주십시오.

교육ㅣ심리ㅣ상담

[상담] 아! 어쩌나: 고해성사를 꼭 보아야 하나요?

스크랩 인쇄

주호식 [jpatrick] 쪽지 캡슐

2017-10-28 ㅣ No.589

[홍성남 신부의 아! 어쩌나] (162) 고해성사를 꼭 보아야 하나요?

 

 

Q. 저는 세례를 받은 지 얼마 되지 않은 새내기 신자입니다. 그래서 아직은 천주교에 대해 잘 모르고, 모든 것이 낯선 느낌입니다. 특히 고해성사는 제게 아주 부담스럽습니다. 고해성사를 볼 때 신부님이 제 목소리를 알까 봐 걱정되기도 합니다.

 

실제로 다른 친구들 말에 의하면 본당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은 신부님이 거의 목소리를 안다고 합니다. 또 일전에는 저희 본당이 아닌 곳에서 성사를 봤는데 성사를 주는 신부님이 얼마나 야단을 치시던지 혼쭐이 나서 그 이후 거의 고해성사를 보지 않고 미사 때 영성체도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고해성사가 성경에서 주님 말씀으로 생긴 것은 알지만 이렇게 불편함을 주는 성사를 그래도 봐야 하는지 늘 의문입니다.

 

 

A. 우리 교회가 가진 고유한 특성을 들라고 하면 여러 가지가 있겠습니다만, 그중에서도 고해성사는 다른 종교에서는 볼 수 없는 특별한 것입니다. 고해성사는 신자들 영성적 깊이를 더하기 위해 만들어진 성사이나 신자들이 가장 꺼리고 해프닝도 가장 많이 일어나는 것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일각에서는 고해성사를 없애자는 의견도 있습니다만, 고해성사는 신자들 정신건강에 상당히 좋은 치유 효과가 있기에 그렇게 함부로 없앨 수는 없는 것입니다.

 

고해성사가 왜 필요한지에 대해 알려면 ‘죄책감’에 대해 숙고할 필요가 있습니다. 죄책감이란 무엇인가요? 사회가 설정해놓은 도덕적 기준에 자신의 행동이 어긋난다고 판단될 때 느끼는 감정입니다. 교도소에 수용된 죄수 중 일부 반사회적 성격장애를 가진 소수를 제외하고 정상인 사람이라면 누구나 하루 평균 2시간 동안 죄책감을 느끼면서 산다고 합니다.

 

그런데 종교인의 경우에는 일반인보다 죄책감의 정도가 더 강합니다. 사회 · 도덕적 기준이 아닌 양심법에 의한 죄책감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또 수도자들은 일반 신자들보다 더 강한 죄책감을 갖고 삽니다. 사회 · 도덕적 기준보다 훨씬 더 놓은 영성적 기준에 의한 죄책감을 가지고 수도생활을 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세상 사람들이 죄가 아니라고 하는 것에도 아주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입니다.

 

이처럼 누구나 갖는 죄책감은 불편하긴 하지만 다른 사람을 해치지 못하게 하는 긍정적 기능을 갖기에 사람과 사람이 함께 안전하게 살려면 필수적입니다. 그런데 이것이 일상생활을 하지 못하게 할 정도로 지나치면 문제가 됩니다. 지나친 죄책감이 갖는 문제는 우선 건강을 해치는 것입니다.

 

죄책감에 시달리는 사람들은 대개 건강관리를 하지 않고 무의식적 자기 처벌을 습관적으로 해서 신체 면역체계가 건강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질병, 그중에서도 특히 심장질환에 잘 걸린다고 합니다. 또 우울증에 잘 걸려서 자살 충동에 시달리기도 합니다.

 

미국 사례를 살펴보면 베트남전에 참전했다가 살아 돌아온 군인들 중에 사람을 죽인 죄책감으로 우울증에 걸려 자살기도를 한 이들이 적잖이 많았다고 합니다. 죄책감이 사람을 죽음으로 몰아넣기도 하는 사례인 것입니다.

 

두 번째 부작용은 현재가 아닌 과거 안에서 사는 무능력한 사람이 되게 한다는 점입니다. 풀리지 않고 꼬이기만 하는 지금의 문제가 과거의 잘못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믿고, 과거 속에서 여전히 자신을 질책하며 살기에 현실에 적응하지 못하는 부적응자가 돼버립니다. 죄책감 때문에 아무것도 못하겠다고 변명하면서 죄책감 속으로 도피하는 도망자 신세가 됩니다. 

 

따라서 심한 죄책감은 덜어낼 필요가 있습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죄책감은 수치심과는 달리 자신을 드러내고자 하는 욕구가 강한 정직한 감정이라는 사실입니다. 죄책감은 일단 표현하고 나면 그 감정의 정도가 약해져 괴로움을 덜 당하게 된다는 뜻입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무슨 이야기를 털어놔도 좋은 우리 천주교의 고해성사는 신자들 정신 건강 유지에 크게 이바지하는 성사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현재 고해성사가 그런 기능을 잘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고해소가 마음 안에 쌓인 것을 털어놓고 죄책감을 덜어내는 치료적 장소가 아니라, 사제가 재판관이고 고백하는 신자들이 죄인이고 보속이 죄에 대한 형량처럼 여겨질 때 고해소는 치료소가 아니라 재판소가 돼서 고해하는 신자들 죄책감을 덜어주기는커녕 더 강화시켜 병적 죄책감을 만들기에 치료적 기능을 다 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어쨌든 죄책감의 덫에서 벗어나려면 고해성사를 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형제님도 좋은 고해신부님을 만나셔서 고해성사가 주는 은총과 치료 효과를 맛보시면, 고해성사가 신앙생활에 얼마나 필요하고 중요한 것인지 알게 될 것입니다.

 

[평화신문, 2012년 8월 5일, 홍성남 신부(한국가톨릭상담심리학회 1급 심리상담가, 그루터기영성심리상담센터 담당, cafe.daum.net/withdoban)]



664 0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