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5월 2일 (목)
(백) 성 아타나시오 주교 학자 기념일 너희 기쁨이 충만하도록 너희는 내 사랑 안에 머물러라.

한국ㅣ세계 교회사

[한국] 일제 강점기 천주교의 선교 전략

스크랩 인쇄

주호식 [jpatrick] 쪽지 캡슐

2012-07-28 ㅣ No.534

[교회 역사 여행] 일제 강점기 천주교의 선교 전략


천주교 조선교구는 1911년에 서울대목구와 대구대목구로 나뉘면서 비로소 독립교구를 향한 체제를 갖추기 시작하였다. 이 시대에는 천주교와 개신교 선교사들 모두 한국적 상황에 맞는 선교전략들을 수립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기 시작하였다. 이를 위해 선교대상과 선교정책 및 선교방법 등에 대한 경험적 검증을 통해 한국적 상황에 알맞은 선교전략을 만들려고 노력한 시기였다. 예를 들어, 서양식의 큰 교회와 학교 및 병원 등이 세워지는 선교거점 위주의 선교사업을 전개할 것인가, 아니면 직접적인 복음전도를 위주로 할 것인가라는 문제 등은 당시의 중요한 관심사 가운데 하나였다. 이것은 단순히 교회 건축 양식을 선정한다거나 신자들의 관리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고 전반적인 선교정책의 문제였다.

일제강점기에 접어들면서 천주교는 산지의 농촌에 많은 신자들이 거주하고 있던 탓에 이들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문제가 가장 핵심적 사안이었다면, 새롭게 신자들이 증가하기 시작하던 도시의 교우들을 관리해야 하는 문제 역시 미룰 수 없는 과제였다. 이에 필요한 사제의 부족 문제, 성당과 공소들의 건축 및 유지에 필요한 비용 문제, 한국인 전교회장과 공소회장의 역할 증대와 재교육 등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한꺼번에 밀어 닥치던 시기였다. 이와 함께 농촌의 교우촌들에는 또 다른 시련이 기다리고 있었다. 즉 산지를 포함한 농촌에서는 자연적인 인구증가에 따라 필요한 경지는 자꾸 부족해지고, 도시는 도시대로 부족한 공업 노동력을 메우기 위해서 농촌으로부터 인구를 유입시켜야만 하였다. 일제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산림법이나 금연법 등을 제정하여 산지에 거주하던 사람들을 반강제적으로 내쫓는 정책을 펼쳤다. 이러한 내우외환 탓에 도시로의 인구이동 대열에 일반인들은 물론 신자들도 점차 동참하면서 천주교는 선교거점의 중심지를 도시로 옮기지 않을 수 없었다.

천주교에 비해 개신교는 기존의 신자들이 없었기 때문에 곧바로 도시를 거점으로 새로운 신자들을 포섭하는 전략을 세웠기 때문에 천주교처럼 크게 고민할 필요가 없었다. 더군다나 1890년대 후반기부터는 미국에서 선교사업을 위한 막대한 인적 · 물적 자원이 공급되었다. 이에 힘입어 1907년부터는 부흥회를 통해 적극적으로 길거리 선교를 시작하였고, 사경회(査經會, 성경을 읽어가며 공부한다는 의미)를 통해서는 선교사업에 앞장 설 수 있는 인재들을 길렀다.

개신교는 또한 선교사들이 이미 일본에서부터 성경을 한글화해서 들여올 정도로 조선에 대한 준비를 철저히 하였고, 선교 초기부터 집권세력에 접근하여 한양의 중심부에 선교거점을 확보하였다. 당시에 개신교는 각 교파별 선교사의 수적 열세는 물론, 천주교에 비해 그 기반이 없었던 관계로 전국을 선교지역으로 하기에는 부담이 컸던 것으로 여겨진다. 더군다나 초기에 입국한 선교사들은 대부분 서울을 중심으로 정착하면서 교파별 선교지역의 조정이 불가피하였다. 이에 따라 각 교파별로 지역선점의 경쟁을 피하면서도 선교사업의 극대화를 위해 전국을 잠정적으로 분할하여 관리하는 전략으로 교파 또는 종파별 갈등을 극복하려고 노력하였다.

그렇지만 개신교 선교부끼리의 이러한 암묵적 지역분할정책은 피선교국가인 한국인들의 입장에서 볼 때 교파별 종교선택의 자유가 제한된 것이나 마찬가지였으며, 또한 할당받은 지역을 교파별로 비교하면 일종의 불평등 협약의 문제점이 드러났다. 예를 들어, 조선에 가장 먼저 들어온 미국계 북 · 남장로교 선교부는 서울과 경기도를 포함해 황해도와 평안도 및 충청도와 전라도 일대를 차지하였으나, 가장 진출이 늦었던 캐나다 장로교 선교부는 인구의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고 선교환경도 불리한 함경도를 담당하였다. 그 결과 미국계 장로교는 인구밀도가 가장 높은 서해안의 평야지역을 대부분 차지함으로써 한국 개신교계의 주도권을 장악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을 중심으로 정리하자면, 일제강점기의 천주교와 개신교는 한국에 도입된 초기부터 정치 · 사회적인 배경을 바탕으로 각기 다른 선교전략을 형성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천주교는 박해시대에는 산지 중심이었다가 종교자유 이후 평지의 도시 중심으로 선교전략이 바뀌었다면, 개신교는 도시 중심에서 점차 중소도시와 그 주변의 농촌지역을 대상으로 선교를 하였다. 또한 천주교는 전국적 규모에서 서울을 중심으로 계층적인 교구를 나누면서 안정적인 발전을 추구하였다면, 개신교는 각 교파별로 선교지역을 나누면서 지역주의의 갈등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그렇지만 이 시기에 천주교와 개신교 모두 도시를 선교거점으로 삼기 시작하면서 각자의 종교적 영향력을 확대해 나갔다는데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2011년 4월 10일 사순 제5주일 전주주보 숲정이 6-7면, 최진성(미카엘 솔내성당)]


5,305 0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