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GOOD NEWS 자료실

검색
메뉴

검색

검색 닫기

검색

오늘의미사 (녹) 2025년 9월 28일 (일)연중 제26주일(세계 이주민과 난민의 날)너는 좋은 것들을 받았고 라자로는 나쁜 것들을 받았다. 그래서 그는 이제 여기에서 위로를 받고 너는 고초를 겪는 것이다.

영성ㅣ교육

sub_menu

영성ㅣ기도ㅣ신앙
[신앙] 금쪽같은 내 신앙109: 두려워하지 마시오

2187 주호식 [jpatrick] 스크랩 2025-07-30

[한민택 신부의 금쪽같은 내 신앙] (109) 두려워하지 마시오


하느님께로 시선 돌리기

 

 

“두려워하지 마시오.” 유학생 시절,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께서 종종 하신 이 말씀이 큰 위로가 되었던 기억이 있다. 아주 간단한 표현이지만, 수십 평생을 사시며 수많은 어려움과 고초를 겪으신 교황님께서 청년들에게 전해주신 이 말씀에는 큰 힘이 있었고, 그 자체만으로도 큰 용기가 되었다.

 

“용기를 내어라. 나다. 두려워하지 마라.”(마태 14,27) 맞바람이 불어 배가 파도에 시달리고 있을 때, 예수님께서 물 위를 걸어오시며 제자들에게 하신 말씀이다. 예수님께서는 이처럼 우리 삶의 위기와 시련 한가운데서 우리에게 다가오시며 말씀을 건네신다. “두려워하지 마라.”

 

두려움은 어떤 것이며 어디서 오는 것일까? 두려움을 마주할 때 가장 어려운 점은 그 대상 자체가 모호하다는 점이다. 두려움이 때로는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지만, 보통은 과도하게 작용해 우리 마음과 생각과 행동이 움츠러들게 한다. 생각해보면, 우리가 두려워하는 것은 대부분 아직 일어나지 않은 일이다. 그 일 또한 객관적 실체로서보다는 선입견이나 두려움이 가미된 채 대하는 경우가 많다.

 

가령 어떤 병에 걸렸을 때, 병 그 자체보다 병에 대한 선입견으로 괴로워하고 두려워한다. 내가 만약 암에 걸렸다면, 그것을 사형선고처럼 받아들이며 아마도 살 수 있는 날이 얼마 남지 않았고 그마저도 고통스럽게 지내야 할 것이며, 이제 곧 사랑하는 가족과 이웃을 떠나야 한다는 생각이 들면서, 서글퍼지고 우울해지며 괴로운 나날을 보내게 된다. 암이라는 병이 실제로는 생각보다 그렇게 두려운 것이 아님에도 말이다.

 

우리 삶에는 질병뿐 아니라 여러 걱정과 근심거리가 늘 존재한다. 어느 누구도 걱정 없이 사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런 우리에게 주님의 “두려워하지 마라”는 말씀은 걱정하는 대상에 대한 과장된 생각과 감정에서 벗어나라는 말씀으로 알아들을 수 있을 것이다. 관건은 우리가 두려워하는 일 자체와 그 일에 대한 두려움 사이의 연결고리를 끊는 것이다. 우리가 만들어놓은 두려움의 대상은 실체 없는 환상일 뿐 현실은 아니기 때문이다.

 

유혹이나 환상에서 벗어나 현실로 돌아올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그것과 싸우지 말고 하느님을 향해 돌아서는 것이다. 유혹이나 환상과 싸우면 싸울수록 거기에 더 큰 힘을 부여하게 되며, 그 안에서 헤어 나올 수 없을 정도가 되기도 한다.

 

예수님께서는 악마의 유혹을 받으실 때(마태 4,1-11 참조) 악마와 끝까지 싸우기보다는 하느님께로 시선을 돌렸으며, 하느님 말씀으로 악마를 물리치셨다. “사탄아, 물러가라.”(마태 4,10) 하느님 말씀에 의탁할 때 악마의 유혹은 힘을 잃고 사라지고 만다.

 

그렇기에 유혹과 시련의 때, 두려움과 근심에 깊이 빠져있을 때, 그 대상과 싸움을 당장 그치고 하느님을 향해 돌아서자. 눈만이 아닌 몸과 마음을 그분께로 돌리자. 그분은 우리 아버지 하느님이시다. 당신 자녀를 돌보고 보살피시며 끝까지 지켜주는 분이시다. 하느님과 함께라면 우리가 감당 못 할 시련은 없다. 그분은 우리가 시련 중에도 살 수 있는 방법을 늘 마련해주신다. 이미 우리가 걱정하는 일에 대한 해결책을 마련해 놓으셨고, 가는 길마다 천사를 배치해 놓으셨다. 우리는 다만 주님께 의탁하고 주님께서 마련해 놓으신 그 길을 걷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마음이 힘겹고 괴로울 때, 주님의 음성에 귀를 기울이자. “용기를 내어라. 나다. 두려워하지 마라.” 주님께 온 마음으로 의탁할 때 마음속 두려움은 안개처럼 사라질 것이다.

 

[가톨릭평화신문, 2025년 7월 27일, 한민택 신부(수원가톨릭대학교 교수 겸 주교회의 신앙교리위원회 총무)] 


0 65 1

추천  0

TAG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로그인후 등록 가능합니다.

0 / 500

이미지첨부 등록

더보기
리스트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