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18일 (화)
(녹) 연중 제11주간 화요일 너희는 원수를 사랑하여라.

건강ㅣ생활ㅣ시사용어 건강상식ㅣ생활상식ㅣ시사용어 통합게시판입니다.

엘기니즘(Elginism)과 엘긴의 변명(Elgin Excuse)

스크랩 인쇄

박남량 [narcciso] 쪽지 캡슐

2024-05-27 ㅣ No.6634

                                                            엘기니즘(Elginism)과 엘긴의 변명(Elgin Excuse)

 

 

 

약소국의 문화유산을 강대국이 약탈하는 행위를 가리켜 엘기니즘(Elginism)이라고 부르고 문화재 약탈을 합리화하는 행위를 엘긴의 변명(Elgin Excuse)이라고 부른다.

 

서양 문명의 원형을 상징하는 건축물은 단연 그리스의 파르테논 신전(Pre-Parthenon)이다. 유네스코(UNESCO)의 로고가 파르테논 신전이다. 그리고 유네스코가 선정한 첫 번째 세계 유산 역시 파르테논 신전이다. 파르테논 신전은 기원전 5세기 초 그리스-페르시아 전쟁 이후 파괴된 아크로폴리스를 재건하면서 아테네의 수호신인 아테나를 기리기 위해 가장 먼저 조성한 건축물이다. 1687년 베네치아 포병대의 포격으로 신전 내에 오스만 제국의 정복군이 설치한 화약고가 폭발하면서 신전이 훼손되었다.

 

영국의 오스만 제국 주재 대사인 토마스 브루스 엘긴 백작(Tomas Bruce Elgin 1766-1841)이 그리스의 파르테논 신전은 물론이고 아크로폴리스 구릉 위 신전, 관문, 아테나 니케 신전 등을 장식한 조각품과 조형물까지 통째로 뜯어 영국으로 가져온 데에서 유래된 말이 엘기니즘(Elginism)이다.  

 

토마스 브루스 엘긴 백작이 뜯어간 작품은 영국 박물관이 이를 사들여 오늘날 핵심 소장품의 하나가 되었다. 파르테논 신전을 장식한 대리석 작품을 일컫는 파르테논 마블스(Parthenon Marbles)는 이때부터 엘긴 마블스(The Elgin Marbles)라는 이름을 얻게 된다.

 

1829년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한 그리스는 1835년 영국 박물관 측에 파르테논 마블스(Parthenon Marbles)의 반환을 공식 요구한다. 이후 반환 운동의 불씨를 이어가고 있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11 1

추천 반대(0) 신고

엘기니즘(Elginism),엘긴의 변명(Elgin Excuse),시사용어,시사상식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