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9일 (토)
(홍)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사도 대축일 너는 베드로이다. 나는 너에게 하늘 나라의 열쇠를 주겠다.

우리들의 묵상ㅣ체험 우리들의 묵상 ㅣ 신앙체험 ㅣ 묵주기도 통합게시판 입니다.

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2024.06.10)

스크랩 인쇄

김중애 [ji5321] 쪽지 캡슐

2024-06-10 ㅣ No.173162

 

2024년 6월 10일

연중 제10주간 월요일

유명한 이야기 하나가 생각납니다.

워낙 유명한 이야기라 알고

계신 분도 있겠지만,

이 이야기에서 말하고자 하는

부분을 생각해 보시길 바랍니다.

두 수도승이 길을 가다가 폭우로

개울의 물이 많아진 것을

보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개울을 넘어갈 수 있도록

놓인 돌이 잠겨 있는 것입니다.

한 여인이 개울 앞에서 난처한

표정을 지으며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었지요.

그때 두 수도승 중의

한 명이 이 여인을

업고 개울을 걸어 넘어갔습니다.

그 후 두 수도승은 침묵 속에서

발걸음을 계속했습니다.

얼마의 시간이 지났을 때,

다른 수도승이 참지 못하고

입을 엽니다.

“왜 그 여인을 등에 업고

개울을 건넜는가?

우리 수도자들은 그렇게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모르는가?”

그러자 여인을 업고 개울을

건넜던 수도자가 말합니다.

“나는 몇 시간 전에 그 여인을

내려놓았는데 자네는 아직도

그녀를 업고 있는가?”

우리 역시 이 수도자처럼 상황을

마음속에서 내려놓지 못하고,

또 내려놓으려는 의지도

갖지 않았던 것이 아닐까요?

마음속에 짊어지고 다니는 과거의
짐이 또 얼마나 무겁습니까?

과거는 현재를 잘 살 수 있도록

하는 시간이 되어야 합니다.

그래야 미래를 향해 힘차게

나아갈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를 과거 속에서

헤어나지 못한 채 살면서 미래를

부정적으로 만들어 버립니다.

나쁜 기억은 과감하게 내려놓을

용기와 지혜가 필요합니다.

사실 우리의 기억력은 하루가 지나면

64%를 잃어버리고, 일주일이 지나면

98%를 잃어버릴 정도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그런데도 기억에 남는 것은

계속 되뇌고 있기 때문입니다.

어떤 것을 되놰야 할까요? 지

금을 제대로 살지 못하게 하는 것을

과감하게 내려놓아야 합니다.

우리의 기억력은 금방 이를

잊어버릴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오늘 말씀하신

행복 선언을 주의 깊게 

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렇게 행복해 보이지 않는

사람들이 행복하다고 말씀하시지요.

그들은 과거에 연연하는

사람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지금 어렵고 힘들어도 포기하지 않고

하느님 나라를 바라보고 있기에

행복한 사람이 되는 것입니다.

진정으로 우리가 계속 되뇌고

기억해야 할 것은 하느님 나라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눈에 보이는 것들만을 좇으며

세속에 대한 욕망으로

계속 되뇌고 있다면,

결국 하느님 나라는 보지 못하고

불행한 삶만을 따르게 될 것입니다.

♡ 오늘의 명언 ♡

사랑이란 외로운 두 영혼이 지켜주고,

보듬어주고, 따뜻하게 맞아주는 것이다.

(라이너 마리아 릴케)

사진설명:

행복하여라, 마음이 가난한 사람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250 0

추천 반대(0) 신고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