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일 (일)
(백) 지극히 거룩하신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 이는 내 몸이다. 이는 내 피다.

건강ㅣ생활ㅣ시사용어 건강상식ㅣ생활상식ㅣ시사용어 통합게시판입니다.

반사실적 사고(counterfactual thinking)

스크랩 인쇄

박남량 [narcciso] 쪽지 캡슐

2023-03-11 ㅣ No.6187

                                                                          반사실적 사고(counterfactual thinking)




만약 그때 그랬다면 어땠을까?’하고 과거 그대로가 아니라 선택하지 않았던 것을 더 매력적으로 바라보는 것을 가리켜 반사실적 사고(counterfactual thinking)라고 한다.

사람들은 그때 다른 선택을 했더라면 더 나은 결과를 얻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렇게 이미 일어난 사실과는 다른 행동이나 결과에 초점을 맞추는 생각을 반사실적 사고(counterfactual thinking)라고 부른다. 우리 삶에서 중요하든 덜 중요한 역사적 사건이든, 착수한 것과는 다른 길을 상상하는 데 사용하는 인지 과정이다.

반사실적 사고(counterfactual thinking)란 우리 머릿속에 그려지는 시나리오는 현실보다 좋거나 나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사실적 사고는 우리에게 좋은 기분을 선물하거나 씁쓸한 회한을 안길 수도 있다. 기뻐하든 후회하든 문제는 결국 우리 자신에게 달렸다. 반사실적 사고는 우리가 활용하기 나름이다. 적어도 이론상으로는 그렇다. 첫째, 우리는 타인의 행동보다는 주로 내 행동을 두고 상상한다. 둘째, 나빠지기 보다는 좋은 쪽으로 흘러가는 상황을 그려 보길 좋아한다. 셋째, 우리는 만약 내가 그러지 않았다면보다는 만약 내가 그랬다면하고 생각하는 경향이 강하다.

반사실적 사고(counterfactual thinking)는 가설(hypothesis)과는 다르다. 아직 일어나지 않은 일을 그려 보며 그럴 수 있지 않을까하고 생각해 보는 것이 가설이다. 그저 모든 일이 가능해지는 상상일 뿐이다. 그러나 과거를 돌이켜 보며 하지 않은 일을 생각하는 것은 반사실적 사고(counterfactual thinking)이다. 과거는 바꿀 수 없기 때문이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1,055 1

추천 반대(0) 신고

반사실적 사고(counterfactual thinking),시사상식, 시사용어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