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3일 (월)
(홍) 성 가롤로 르왕가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소작인들은 주인의 사랑하는 아들을 붙잡아 죽이고는 포도밭 밖으로 던져 버렸다.

건강ㅣ생활ㅣ시사용어 건강상식ㅣ생활상식ㅣ시사용어 통합게시판입니다.

쓰레기통 모형 이론(garbage can model theory)

스크랩 인쇄

박남량 [narcciso] 쪽지 캡슐

2023-02-24 ㅣ No.6172

                                                                    쓰레기통 모형 이론(garbage can model theory)




정책 결정이 일정한 규칙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쓰레기들이 우연히 한 쓰레기통에 모이듯이 문제와 선택 기회, 해결책, 참여자의 흐름 따위가 우연히 모여서 의사 결정이 이루어진다고 보는 정책결정 모형을 가리켜 쓰레기통 모형 이론(garbage can model theory)이라고 한다. 조직화된 무질서 상태에서의 결정을 다루는 모형이다.

쓰레기통 모형 이론(garbage can model theory)은 쓰레기통 속에서 참여자와 문제, 해결책이 뒤죽박죽 섞여 돌아가다가 어떤 시기에 우연히 나온 해결책으로 대충 회의를 마무리 지어 버린다. 데이터가 부족해서 일어나는 문제가 아니다. 오히려 데이터가 넘쳐나다 보니 관리자들은 무엇이 중요한지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만으로도 버겁다. 결국에는 새로 생긴 문제를 해결하려고 아무 데이터나 갖다 붙여서 평균 이하의 해결책을 내놓기도 하는 것이다.

관리자들은 쓰레기통 모형(garbage can model)의 행태를 막으려면 문제를 해결할 때 어떤 정보가 필요한지, 그리고 그 정보를 의사 결정과 실행에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 더 전략적으로 사고해야 할 것이다.

쓰레기통 모형 이론(garbage can model theory)은 스탠포드 대학교 교수이자 조직 이론계의 전설적 거장인 제임스 마치(James Gardner March 1928-2018)와 코헨(Michael D. Cohen), 올슨(John P. Olsen)이 주장한 정책 결정 모형이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1,036 1

추천 반대(0) 신고

쓰레기통 모형 이론(garbage can model theory),시사용어,시사상식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