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8일 (금)
(홍) 성 이레네오 주교 학자 순교자 기념일 주님께서는 하고자 하시면 저를 깨끗하게 하실 수 있습니다.

영화ㅣ음악 이야기 영화이야기ㅣ음악이야기 통합게시판 입니다.

가을하늘 처럼 투명한....Orgel(오르골) 선율

스크랩 인쇄

김미자 [tjfgnl8801] 쪽지 캡슐

2009-09-19 ㅣ No.14283

 


이런 오늘이었으면 좋겠습니다

1. 트로이 메라이 - 슈만
2. 아베 마리아 - 슈베르트
3. G선상의 아리아 -바하
4. 녹턴 -쇼팽
5. 아를르의 여인 - 비제

6. 짐노페디 No.1 - 에릭 사티
7. 시칠리아노 - 바흐
8. 주여, 인간 소망의 기쁨 - 바흐
9. 이별의 곡 - 쇼팽
10. 캐논 - 파헬벨

 



   

'오르골(Orgel) '
자명금(自鳴琴)이라고도 한다.

길이가 다른 금속판을 음계순으로 달고,

이에 접하여 가시와 같은 바늘이 촘촘히 붙은 원봉을 부착해서

태엽의 힘으로 원통을 돌리면 바늘이 금속판을 튕겨서 소리를 내도록

장치되고 자동적으로 음악이 연주되는 장난감 악기이다.


1770년경 유럽의 귀족들 사이에 유행되어

담배케이스 ·콤팩트 ·인형상자 등에 오르골을 장치하였다.

실용적으로는 자명시계의 시끄러운 벨을 오르골의 음악으로 대신하고 있다.

원통에 부착한 가시의 위치를 달리해서 여러 음악을 연주하게 하는데

소형이어서 음의 템포, 정확한 음계 등의 조정이 어렵다.

태엽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간단한 음악이 연주되도록 장치한 상자나 장난감,

음악상자, 자명금(自鳴琴), 조그만 상자 속에 고정된 음계판을 장치하여

시계식으로 회전하는 쇠막대기에 돋친 바늘이 음계판에 닿아

자명악이라고도 한다.

 

'오르골의 유래 '
13세기 중세 유럽의 시간을 자동으로 알려주는

시계탑(자명종)에서 유래됐다.

중세 시계 상인들은 이 종의 원리를 이용해

멜로디를 연주하는 기계 '카리용'을 만들어냈고,

네덜란드에서 '오르겔(orgel)'이라는 이름으로 자리잡았다.

특히 18세기 말 스위스 제네바의 시계장인인 '안토니에 파브르'가

벨 없는 카리용을 개발하면서 근대 오르골의 기원이 됐다.

오르골 이라는 이름은 네덜란드의 '오르겔'이

일본식 발음으로 굳어진 것이다. (웹글 옮김)

 

 

 



1,002 3

추천 반대(0) 신고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