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6일 (수)
(녹) 연중 제12주간 수요일 너희는 그들이 맺은 열매를 보고 그들을 알아볼 수 있다.

영화ㅣ음악 이야기 영화이야기ㅣ음악이야기 통합게시판 입니다.

Tchaikovsky차이코프스키 - 바이올린 협주곡 2악장 - Violin Concerto in D Major, Op.35

스크랩 인쇄

강태원 [lion77] 쪽지 캡슐

2021-11-07 ㅣ No.31857



 

 

album,comment

 

차이콥스키의 바이올린 협주곡은

그의 피아노 협주곡 1번과 마찬가지로 처음 작곡될 당시

많은 말썽을 일으켰었던 작품이었다.

 

이 곡은 차이콥스키가 결혼생활에 실패하고 심한 우울증 증세에 빠져서

이탈리아와 스위스 등에서 요양생활을 하던 중에 작곡되었다 (1878년, 당시 38세).

이 기간은 그가 교향곡 제 4번과 "에프게니 오네긴" 등을 작곡한 시기이기도 한데,

 

이 때 그는 바이올리니스트인 코데크라는 친구와 함께 지내게 되면서

그의 도움으로 이 곡을 완성할 수 있었다.

 

초고가 완성된 후 차이콥스키는 당대 러시아 바이올린계의 거장이었던 레오폴드 아우어 교수에게

헌정할 목적으로 그에게 작품에 대한 자문 및 초연을 맡아줄 것을 구했다.

그러나 뜻밖에도 그의 답변은 차갑기만 했다.

아우어는 차이콥스키에게 "기교적으로 보아 도저히 연주가 불가능하다"고 하면서 초연을 거부했던 것이다.

 

실망한 차이콥스키는 이 곡을 3년 동안이나 발표하지 않고 묻어두었는데,

아돌프 브로드스키라는 러시아의 바이올리니스트가 이 곡을 칭찬하면서

발표할 것을 적극 권하여 1881년 12월에 빈 필과 한스 리히터의 반주로 브로드스키에 의하여 초연되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초연당시의 평은 무척 나빴다.

지휘자나 오케스트라 단원들부터 이 곡에 호의적이지 못했고 브로드스키의 완성되지 못한 기교는

청중들에게 실망을 안겨주었으며,

결정적으로 독설가였던 평론가 한슬리크는 이 곡에 대해 다음과 같이 혹평하였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369 5

추천 반대(0) 신고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