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1일 (토)
(홍) 성 유스티노 순교자 기념일 당신은 무슨 권한으로 이런 일을 하는 것이오?

선교ㅣ복음화

21세기 한국 교회의 복음화 현실과 미래: 반성 및 대안

스크랩 인쇄

주호식 [jpatrick] 쪽지 캡슐

2010-08-05 ㅣ No.129

한국그리스도사상연구소 제33차 학술회의 자료집(2010년 춘계)


‘21세기 한국 교회의 복음화 현실과 미래 - 반성 및 대안’

 

 

제1발제 - 안정기 신드롬에 빠진 한국천주교회와 그 진로

   박문수 박사(한국가톨릭문화연구원 부원장)

 

1. 머리말 

2. 제2차 바티칸공의회 이후의 한국교회

3. 대희년(2000년) 이후의 한국교회

    3.1 교세

    3.2 교회의 주요 동향

    3.3 일곱 가지 특징과 의미를 기준으로 본 한국교회의 변화

    3.4 종교적인 관점에서 본 한국 천주교회의 현실

          3.4.1 종교경험

          3.4.2 성사 참여

          3.4.3 공동체 참여

          3.4.4 정치 참여

          3.4.5 사회복지

          3.4.6 시민사회단체들과의 연대

4. 교회 내 주요 쟁점

5. 안정기 신드롬

6. 전망

7. 대안

 

‘안정기 신드롬에 빠진 한국천주교회와 그 진로’에 대한 논평

   유희석 신부(수원가톨릭대학교 교수)

 

 

제2발제 - “새 포도주는 새 부대에 담아야 한다(루카 5,38) : 수도자 입장에서의 조명”

   고계영 신부(작은 형제회, 프란치스칸사상연구소 소장)

 

1. 시대 징표 인식의 중요성

2. 성령의 구원 활동으로서의 자유

3. 주교 선출제 및 임기제

4. 여성 사제에 대한 객관적 논의

5. 신비체험의 보편성을 통한 영성의 민주화

6. 신비체험 중심의 종교 다원주의

7. 그 밖의 몇 가지 제안들  

    7.1. 평신도 사제직의 강화

    7.2. 새로운 수도 생활의 모색

    7.3. 생태 영성

맺음말

 

“새 포도주는 새 부대에 담아야 한다(루카 5,38) : 수도자 입장에서의 조명”에 대한 논평

   송종례 수녀(샬트르 성 바오로 수녀회)

 

 

제3발제 - 복음과 세상없는 복음화 질주?

   김정용 신부(광주가톨릭대학교, 기초신학)

 

1. 들어가는 말

2. 한국 교회의 복음화 현실에 대한 비판적 성찰

    2.1. 복음 없는 복음화

    2.2. 세상과 역사 없는 영성

    2.3. 소통 없는 사목적 권위와 지도력

    2.4. 공동체 없는 성장 

           2.4.1.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양성

           2.4.2. 새로운 공동체문화의 형성

    2.5. 땅(몸)이 없는 신학

           2.5.1. 신앙공동체의 표현으로써 신학의 토착화

           2.5.2. 신학연구와 사목현장 간의 소통

3. 나가는 말

 

“복음과 세상없는 복음화의 질주?”에 대한 논평

   강인철 교수(한신대학교, 종교문화학과)

 

[한국그리스도사상연구소 홈페이지에서]



파일첨부

1,335 0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