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3일 (월)
(홍) 성 가롤로 르왕가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소작인들은 주인의 사랑하는 아들을 붙잡아 죽이고는 포도밭 밖으로 던져 버렸다.

사목신학ㅣ사회사목

[농민사목] 우리 농촌과 농민에 희망이 있는가

스크랩 인쇄

주호식 [jpatrick] 쪽지 캡슐

2012-07-14 ㅣ No.630

[농민주일 진단] 우리 농촌과 농민에 희망이 있는가

우리농, 도시ㆍ농촌 모두 살리는 유일한 대안


- 지난해 7월 농민주일을 맞아 춘천교구 인제성당에서 김길상(왼쪽) 신부와 조해붕 신부가 도시 신자와 농촌신자가 함께 적은 소망 글귀 사이로 얼굴을 내밀고 있다. 평화신문 자료사진
 

'나는 부처처럼 농부를 공경하오니 / 부처도 못 살리는 굶주린 사람을 농부만은 살린다네 / 기쁘다 늙은 이 몸 / 또 다시 금년 햅쌀 보게 되니 / 죽더라도 부족할 것 없네 / 농사에서 오는 혜택 내게까지 미치는 것을.'
 
고려시대 문장가 이규보(1168~1241)의 신곡행(新穀行)이라는 시의 일부다. 농사는 부처도 하지 못하는 일을 하는 없어서는 안 될 존재라는 사실을 깨닫게 하는 시다. 조선시대만 해도 '농자천하지대본(農者天下之大本)' 즉, 농업은 천하의 사람들이 살아가는 큰 근본이라며 매우 귀하게 여겼다.
 
하지만 요즘은 어떤가. 우리농촌살리기운동 및 농촌 관련 사목자들은 "각종 객관적 지표들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10년 전보다 국민 1인당 식품 수입량이 늘었고 식량 자급률은 떨어졌지만 대부분의 국민은 문제 심각성을 모르고 있다"며 걱정했다. 과연 우리 농촌ㆍ농민에게 희망이 있나.


무너지는 농촌
 
우리나라는 현재 농지 면적 감소 문제가 심각하다. 1990년 210만 9000㏊(헥타르)에 달했던 농지가 20년 만에 30% 가까이 줄어들어 2010년에는 151만 7000㏊가 남았다. 특히 2010년에는 4대강 사업으로 한 해 동안 무려 22만㏊(여의도의 263배)의 농지가 모랫더미가 되거나 강바닥으로 사라졌다.
 
전통적 가족농(소농) 가구 수도 줄었다. 3만㎡(9075평) 미만 농지를 가진 경작 농가가 1990년 169만 9000가구였던 데 반해, 2010년에는 106만 8000가구로 37.2%나 감소했다.
 
농가 부채도 문제다. 1990년 농가 1가구당 한 해 평균 소득이 1103만여 원에서 2010년 3200여만 원으로 3배 가까이 늘었지만 물가상승률과 원재자가격 상승, 인건비 상승 등 악재로 부채가 같은 기간 473만 원에서 2721만 원으로 5.7배 늘었다.
 
게다가 65살 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31.8%를 기록할 정도로 농촌은 이미 초고령사회에 진입해 영농기술을 승계할 젊은이가 부족하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과 WTO 신자유주의 체제는 농민과 농촌을 올가미처럼 옥죄고 있다.


농촌ㆍ농민의 역할
 
농촌의 가장 큰 역할은 국민을 배불리 먹여 살리는 일이다. 우리나라가 아무리 반도체를 잘 만들고, 자동차를 잘 만들어 수출한다고 하더라도 밥 대신 수출품을 먹을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러나 농민이 열심히 일해도 도시 근로자처럼 살 수 없는 정책과 현실은 젊은이들이 점점 농촌을 떠나는 이농 현상을 부추겼다. 그런 이유로 우리나라 전체 인구 가운데 농촌 인구는 6%에 불과하다.
 
우리나라 식량 자급률은 자급률 100%인 쌀을 포함해도 평균 30%를 밑도는 매우 낮은 수준이다. 이는 세 끼 가운데 한 끼도 우리 스스로 생산해내지 못한다는 의미다.
 
황창연(수원교구 성 필립보 생태마을 관장) 신부는 저서 「북극곰! 어디로 가야 하나?」에서 "사막이 많고 물이 부족한 이스라엘의 식량 자급률이 95%이고, 프랑스는 곡물자급률이 173%, 호주는 197%, 미국은 150%, 캐나다도 143%"라고 밝혔다. 우리나라의 낮은 식량 자급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 곡물 자급률이 110% 정도인 것과는 대조적이다.
 
그만큼 우리나라는 세계 농산물 작황의 영향을 받기 쉽고, 원유가 상승 등 수송비가 오르면 식료품 값이 천정부지로 오를 가능성이 크다. 선진국들이 다른 것은 포기해도 농업만큼은 포기하지 않는 이유다. 미래에는 '식량이 곧 안보'이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최근 들어 빈번히 발생하는 이상고온(저온)현상과 슈퍼태풍 등 잦은 기상이변이 속출하는 원인이 '과도한 생태환경 파괴' 즉, 자연훼손 때문이라는 데 모두 공감한다. 농토와 농지 역시 대기를 순환시키고, 홍수와 가뭄을 조절하는 등 자연정화 기능을 수행하는 데 없어서는 귀중한 안 될 존재다.
 
가톨릭농민회 안동교구연합회 강성중(이시도로) 사무국장은 "1990년대 초반 43%에 달했던 식량 자급률이 2010년 26.7%로 곤두박질쳤다"며 "우리나라 1인당 식량 수입량은 2010년에 2001년 대비 14%나 늘어 식량 해외의존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지난해 인제성당에서 열린 '도농 한마당잔치'에서 농민 어르신과 도시 신자가 한데 어울려 웃음꽃을 피우고 있다.
 

한국교회 도농 협력모델 '우리농촌살리기운동'
 
결국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은 분명하다. 한국교회가 1994년부터 펼쳐온 우리농촌살리기운동(이하 우리농운동)에 적극 참여하는 것이다. 우리농운동은 우리 교회의 '도농 협력모델'이자 거의 유일한 대안이다.
 
「가톨릭 사회교리」의 근간이 되는 공동선ㆍ연대성ㆍ보조성 원리에 입각한 우리농운동은 도시와 농촌이 생명 가치 실현을 위해 서로의 아픔은 보듬어주고, 기쁨은 함께 나눠 양쪽이 윈윈(Win-Win) 하도록 이끌어준다. 도시본당과 농촌본당이 힘을 합쳐 유기 순환적 지역농업 기반을 만드는 것이다. 농촌본당이 생산지에서 유기농산물을 생산하면 도시본당 신자들이 구매하는 직거래 방식이다.
 
일시적이고 호혜적인 나눔이 아니라 지속적 상생을 위해 도시본당에서는 '우리농 생활공동체'를 조직, 본당 사목협의회 또는 환경(생명)분과에 우리농 활동가(봉사자) 모임을 만들도록 하고 있다. 또 활동가들을 위한 교육과 재교육ㆍ현장답사 등을 통해 농업과 농촌ㆍ먹거리에 대한 의식이 바뀌도록 이끄는 활동도 병행한다.
 
또 계절별로 다양한 도농 교류 활동과 행사를 통해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으며, 농민이 농사를 짓는 데 경제적 어려움이 없도록 '우리농 사랑 기금'을 조성해 지원하는 등 올바른 먹거리 문화를 도시민과 농민이 함께 구현하는 것이 목표다.
 
조해붕(서울대교구 우리농운동본부장) 신부는 "우리 농업ㆍ농촌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농민과 얼굴을 맞대고 지속적 관계를 맺는 도시 신자들이 늘어나야 한다"며 "우리농운동이 확대될 때 농촌과 농민, 더 나아가 도시 공동체도 살아날 수 있을 것"이라고 희망했다.
 
[평화신문, 2012년 7월 15일, 이힘 기자]


1,456 0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