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3일 (월)
(홍) 성 가롤로 르왕가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소작인들은 주인의 사랑하는 아들을 붙잡아 죽이고는 포도밭 밖으로 던져 버렸다.

한국ㅣ세계 교회사

[한국] 한국 천주교회사 (5)

스크랩 인쇄

정규환 [isdol] 쪽지 캡슐

2002-02-27 ㅣ No.14

4년 동안의 동정생활을 마치고 요한은 전주감옥에서 교수형으로 이 루갈다는

전주 옥중 생활중 20세의 청춘으로 사형되었다.

보통 사람으로서는 이해가 어려운 삶을 살았던 그들은 한국 수도자들의

모범이라 할수 있겠다. (또한 조 베드로 동정부부도 1819년 5월 21일에 순교했다.)

 

그 외 많은 순교자를 낳았다.

순교자 중에는 왕족들도 있었는데.

왕족 이경도(가를로)의 아우 이경연(바오로)도 1827년 5월 4일에 전주감옥에서

36세의 나이로 순교했다.

참다운 진리를 위해 파스칼은 말했다.

"진리는 우리에게 신념을 줄 뿐 아니라 진리를 구한다는 자체가 무엇보다도

우리에게 마음의 평화를 주는 것이다."

독일 문학가 괴테도 적절한 진리를 말하는 데는 두가지 방법이있다.

민중에게는 늘 공공연히, 왕에게는 늘 비밀로 말하는 것이다.

 

7. 정해교난 (순조27년 서기1827년)

 

정해교난이란 순조27년 음력 2월부터 5월말까지 전,후 넉달에 걸친 교회박해를

지칭하는 것인데 이 박해는 중,고등학교의 교과서에는 나오지도 않으니, 그만큼

이 박해에 대한 인식이 적고 또 알려져 있지 못한 박해이다.

1826년에 일본정부는 우리 냅?엄중한 천주교도 탄압정책

밑에서 허덕이던 천주교도들 가운데 6명이 배로 탈출하여 조선으로 도망하였으니

이 사건으로부터 정해박해는 시작된다.

 

8. 이 교난의 특생은

 

첫째, 시간적으로 비교적 단시간에 종식되었다는 점,

둘째, 중앙정부의 직접적 명령에 의한 것이 아니라는 점

셋째, 중앙정부가 사형선고의 집행을 가급적, 천연시킨 점,

넷째, 검거된 수에 비해 순교자의 수가 많지 않은 점,

다섯째, 전국적인 것이 아니라 전라도와 기타 일부에 한해졌다는 점 이다.

 

정해교난 당시 정계는 순조의 건강이 좋지 않아 바로 정해년 초 (2월 9일)에

세자’대’가 대리청정케된 때로써 종래 30년간이나 내려오던 안동 김씨인

김조순의 세도가 무너지고 그대신 세자의 장인인 풍양 조씨 출신인 조만영의

세도 정치가 등장하게 되면서 김씨와 조씨의 세력 투쟁이 음양으로 격심한

때였다.

그런데, 정해박해가 일어나게된 동기는 1815년 을해박해 후 천주교도 탄압의

손길을 늦추고 있었던 당국자들에게 새로운 탄압의 자극을 준 것은 일본이다.

 

배교자의 비율이 어느 박해때 보다 많았던것이 특징인 것.

4개월간의 박해가 1827냄?검거 소동은 없어졌다.  ..  

 



1,488 0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