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5월 12일 (일)
(백) 주님 승천 대축일(홍보 주일) 예수님께서는 승천하시어 하느님 오른쪽에 앉으셨다.

수도 ㅣ 봉헌생활

가톨릭 영성과 전통의 재발견1: 수도원의 간추린 역사

스크랩 인쇄

주호식 [jpatrick] 쪽지 캡슐

2011-12-18 ㅣ No.365

가톨릭 영성과 전통의 재발견 (1) '영성의 샘' 수도원의 간추린 역사

가톨릭교회에 새 생명 불어넣은 '영성의 샘'


성 베네딕토는 가톨릭 수도 전통의 초석을 놓았다. 스위스 아인지델른 성베네딕토수도원 경내에 있는 베네딕토 성상.
 

가톨릭교회 2000년 역사 속에 흐르는 영성의 맥(脈)은 실로 장대하다.
 
대표적인 것이 수도원 전통이다. 초세기 이집트 사막 은수자들의 고행과 금욕에서 발원한 수도원 영성은 찬란한 그리스도교 문화를 꽃피웠는가하면, 교회가 위기와 혼란에 처했을 때는 새로운 생명력을 불어 넣어주었다.

그 맥은 오늘날 교회 담장 너머 세속의 정신세계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과학물질문명의 풍요 속에서 정신적 공허를 느끼는 현대인들, 그리고 세속화와 영성의 빈곤에 시달리는 개신교가 가톨릭 수도원 전통을 다시 보기 시작한 게 그 예다.

어디 그 뿐인가. 하느님의 어머니 성모 마리아에 대한 공경과 '모든 이에게 모든 것'(Omnibus Omnia)이 되기 위해 피 흘린 복음선교 정신도 가톨릭의 자랑스러운 영성이다.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와 함께 유럽의 성지를 순례(11월 14일∼24일)하며 가톨릭 영성과 전통의 맥을 캐들어간다.


"진주 따는 사람이 옷을 벗고 물속에 뛰어들 듯이, 모든 것 벗어버린 수도승은 한평생 자기 안에서 그 진주-그리스도를 찾아 나선다. 그렇게 그분을 찾고 나면, 그분 외에는 세상 어떤 것도 구하지 않는다."(토리노의 이사악)
 
상업영화 기획자 입장에서 보면, 2년 전 개봉된 다큐멘터리 영화 '위대한 침묵'은 망하려고 작정을 하고 만든 영화다. 적어도 1분에 한 번씩은 웃게 만들어주는 대사도 없고, 탄성을 자아내는 현란한 화면도 없다.

이 다큐는 알프스 산기슭에 있는 카르투시오 봉쇄수도원의 일상을 담은 작품이다. 영상과 음향이라고 해봐야 수사들의 기나긴 침묵과 책장 넘기는 소리, 가난한 수사의 방에 잠시 머물다가는 햇살, 그리고 기도시간을 알리는 종소리뿐이다.
 
하지만 우려와 달리 많은 관객이 이 정지한 듯한 시간과 미세한 움직임에 감동했다. 관객들은 저마다 수사들이 침묵 속에서 던지는 질문을 마음에 담아갖고 극장을 빠져나왔다. 그럼에도 수사들의 침묵과 고독을 이해하기란 쉽지 않다. 그들은 왜 스스로 창살 없는 감옥으로 걸어 들어간 것일까. 그들의 얼굴에서 피어나는 평온의 정체는 무엇인가.
 

주님을 더 충실히 따르고자

'위대한 침묵' 속 수사들 모습은 수도생활의 원형에 가깝다.
 
수도원 역사는 3세기를 전후해 이집트 나일강 상류지역 사막에서 나타난 은수자들의 삶에서 시작된다. 그들이 세상을 등지고 사막의 금욕과 은둔을 택한 이유는 오로지 한 가지, 복음을 더 충실히 따르고 싶은 열망 때문이었다. 세상은 너무 소란스러워서 하느님 뜻을 찾는 데 방해가 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홀로 오두막, 무너진 성채, 동굴 등지에서 기거하며 기도와 명상에 잠겼다.

- 3세기 전후 이집트와 소아시아 지방에서 시작된 수도원 운동은 5세기경 서방으로 건너간 이래 가톨릭 영적 쇄신의 중추 역할을 해왔다. 사진은 터키 아나톨리아고원 카파도키아에 남아 있는 기암괴석의 성당과 수도원 터. 수도자들은 3세기부터 이 같은 고원과 사막에 은둔하며 하느님 뜻을 찾았다.
 

수도자를 뜻하는 라틴어 모나쿠스(monachus)가 '혼자'라는 의미이고, 수도원 건물을 지칭하는 라틴어 클라우스트움(claustrum)이 '단절된 장소'를 뜻하는 게 이런 이유에서다.

이런 은둔생활은 시리아와 팔레스타인 등지로 빠르게 확산됐다. 은수자들 가운데 성 안토니오(251∼356)와 성 파코미오(290∼346)는 기억될만한 인물이다. 성 안토니오는 예수 그리스도를 중심에 두고 기도와 노동으로 살아가는 이상적 수도생활의 토대를 만들어 '수도승의 아버지'라고 불린다. 성 파코미오는 홀로 떨어져 살던 은수자들을 한 울타리로 불러 모아 공주(公住)생활의 첫 장을 열었다.
 
이들의 이상은 사도행전 4장에 기록된 초기 예루살렘 공동체, 즉 모든 것을 공동으로 소유하고 영적으로 하나가 되는 공동체였다. 또 "네가 완전한 사람이 되려거든, 가서 너의 재산을 팔아 가난한 이들에게 주어라. 그러면 네가 하늘에서 보물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와서 나를 따라라"(마태 19,21)는 복음을 그대로 실천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이상을 실현하려면 수도자들은 자신의 삶을 송두리째 바쳐야 했다. 또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을 따르려면 매일 참회하면서 고행을 해야 했다. 그래서 시리아 같은 지역에서는 수도승들이 쇠사슬에 묶여 지내거나 높은 기둥을 세우고 그 위에서 생활하는 등 극단적 고행을 자처하기도 했다.


성 베네딕토, 서방교회 수도원의 주추
 
동방교회의 은둔과 금욕의 수도생활 형태가 서방교회에 알려진 것은 4∼5세기인데, 그 중심에는 누르시아의 성 베네딕토(480∼547?)라는 이탈리아 사람이 있다. 그가 만든 수도규칙서는 서방교회 모든 수도규칙의 표준이 되었다. "서방교회 수도원 역사는 베네딕토 수도원 역사"라고 해도 틀린 말이 아니다. 그는 '유럽의 수호성인' 또는 '서방교회의 아버지'로 불린다.

베네딕토 생애 당시 유럽은 매우 혼란스러웠다. 천하를 호령하던 로마제국이 서로마(라틴)제국과 동로마(비잔틴)제국으로 갈라진 데 이어 서로마제국은 476년 게르만족 침략으로 멸망했다. 그러자 제국 변방에 있던 이민족들이 이동해와 도처에서 약탈과 살육을 자행했다. 로마교회 역시 이민족들의 이단 교리와 친 비잔틴 세력 반발로 흔들렸다.

이처럼 불안정하고 불신이 팽배했던 시기에 베네딕토는 수도자들이 이리저리 떠돌아다니지 않고 한 곳에 머무는 정주(定住)생활의 수도회를 창설했다. 그는 특히 '기도하고 일하라'(Ora et labora)는 가르침으로 기도와 노동을 수도생활의 양축으로 삼았다. 이 가르침은 오늘날 수도회들에도 절대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가함은 영혼의 원수이다. 그러므로 형제들은 정해진 시간에 노동을 하고 또 정해진 시간에 성독(聖讀)을 할 것이다.… 우리의 교부들과 사도들처럼 자신의 손으로 노동함으로써 생활할 때 비로소 참다운 수도승이 되기 때문이다."(베네딕토 규칙서 48)

이 같은 가르침은 교회뿐 아니라 서양사회가 노동의 신성한 가치를 확립하는 데도 큰 역할을 했다. 동방교회 수도생활 양식을 서방교회 환경에 접목시켜, 수도원 운동의 꽃이 만개할 수 있도록 한 것도 그의 빼놓을 수 없는 업적이다.

그러나 중세교회는 세속의 권력을 능가하면서, 때로는 세속 황제와 권력 다툼을 벌이면서 타락해갔다. 교회의 타락은 성직매매와 성직자 부패, 불용(不容)과 폭력의 양상으로 나타났다. 그러는 사이 한동안 잠잠했던 이단이 다시 창궐했다. 특히 12세기 말엽 봉건제도가 쇠퇴하고 화폐경제시대가 열리자 농노들의 힘이 커졌다.

이때 성프란치스코회(작은형제회), 성도미니코회, 가르멜회 같은 수도회들이 설립됐다. 독일 출신의 수사 부르카르트는 "세계가 늙어가던 이 때, 두 개의 수도회(성프란치스코회와 성도미니코회)가 교회 안에 불쑥 나타났다. 그들은 독수리처럼 날쌔게 교회의 젊음을 되찾아 주었다"고 말했다.

이른바 탁발수도회의 출현이다. "허물어져가는 나의 집을 다시 세워라"라는 주님 말씀을 듣고 일어선 아시시 성 프란치스코의 삶이 보여주듯이, 탁발수도회는 가난과 청빈을 복음생활의 본질로 보았다. 그래서 재산을 소유하지 않고 동냥과 희사에 의지해 복음적 삶을 살았다. 성 도미니코는 가난을 이단과 싸우는 무기로 생각하고 정통 신앙을 수호했다. 탁발수도회들은 교회와 중세사회에 빛을 던져주었다.
 
16세기 이른바 종교개혁의 폭풍우가 지나간 뒤에는 예수회와 테아티노회 같은 성직 수도회가 출현했다. 특히 로욜라의 이냐시오가 설립한 예수회는 전통적 수도생활의 틀에서 과감히 벗어났다. 수도복과 전례, 공동체 대신 복음 선포와 정통 신앙수호의 전위대적 삶을 선택한 것이다. 이후 천주의성요한수도회, 예수고난회, 살레시오회 등 특정 사도직 수행을 목적으로 하는 수도회가 설립됐다.


프랑스혁명 후 활동수도회 활발
 
수도회 역사에서 여성수도회 존재도 간과할 수 없다. 복음적 삶을 살고자 하는 동정녀 단체는 초기교회 시대부터 있었으나 이들이 역사의 전면에 등장하지 못한 이유는 중세시대까지 봉쇄수도원에 머물러 있어야만 했기 때문이다. 바실리오의 여동생 마크리나, 베네딕토의 여동생 성녀 스콜라스티카, 그리고 프란치스코의 영적 동반자인 성녀 클라라가 대표적 여성 수도자다.
 
여성 활동수도회들은 대부분 프랑스혁명(1789년) 이후에 설립됐다. 프랑스혁명 직후 "프랑스에서 수도원은 모두 해체됐다"고 공포했던 프랑스 정부는 1807년 빈센트 폰 바오로수도회의 활동 재개를 허가했다. 이것이 유럽 전역에서 수도원 활동의 재개를 알리는 신호탄이 되었다.

[평화신문, 2011년 12월 4일, 김원철 기자]


2,147 0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