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5월 9일 (목)
(백) 부활 제6주간 목요일 너희가 근심하겠지만, 그러나 너희의 근심은 기쁨으로 바뀔 것이다.

한국ㅣ세계 교회사

[세계] 교회사 속 세계 공의회35-36: 바젤 - 페라라 - 피렌체 공의회

스크랩 인쇄

주호식 [jpatrick] 쪽지 캡슐

2011-10-29 ㅣ No.465

[교회사 속 세계 공의회] (35) 바젤 - 페라라 - 피렌체 공의회(1431~1445년) (상)


후스전 종결, 동방교회와 재일치 등 위해

 

 

1511년 에 발행된 「바젤 공의회 교령집」 속표지 그림.

 

 

배경

 

차기 공의회는 5년 후에 열어야 한다는 콘스탄츠 공의회(1414~1418) 결정에 따라, 교황 마르티노 5세(재위 1417~1431)는 1423년 4월 23일 파비아에서 공의회를 개최키로 하고, 자신을 대리해 회의를 주재할 사절을 현지에 파견합니다. 하지만 개회식 참석자는 대수도원장 2명뿐이었다고 합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몇 사람이 더 도착했지만 그 수가 25명을 넘지 않았습니다. 설상가상으로 페스트가 파비아를 덮쳤습니다.

 

그러자 교황 마르티노 5세는 공의회 장소를 이탈리아 중부 시에나로 옮깁니다. 이번에는 공의회 우위설을 내세우는 다수파와 교황권을 옹호하는 소수파 사이에 논쟁이 벌어지면서 회의가 흐지부지되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결국 파비아-시에나 공의회는 '프레쿠엔스' 규정에 따라 다음 공의회를 7년 후인 1431년 스위스 바젤에서 열기로 하고 11개월 만에 해산합니다.

 

교황 마르티노 5세는 공의회 우위설을 지지하는 쪽이 아니어서 바젤 공의회 개최에 대해서도 마뜩잖았습니다. 하지만 공의회 소집일이 다가오면서 규정대로 공의회를 개최하라는 압박이 점점 심해졌습니다. 교황 마르티노 5세는 하는 수 없이 줄리아노 체사리니 추기경을 공의회 의장으로 임명하는 등 조치를 취합니다만 공의회가 열리기 직전에 선종합니다.

 

후임 교황 에우제니오 4세(재위 1431~1447)도 공의회에 소극적이기는 마찬가지였습니다. 시간을 질질 끌다가 예정보다 4개월이나 늦은 7월 23일 공의회를 개최합니다. 바젤-페라라-피렌체 공의회라고 부르는 17번째 세계 공의회는 이렇게 시작했습니다. 교회 개혁, 얀 후스 추종자들인 후스파가 일으킨 후스 전쟁의 종결, 유럽 각국 간 평화 정착, 동방 교회와 재일치 등이 주요 목표였습니다.

 

 

공의회 개최와 경과

 

바젤 주교좌성당에서 개막한 공의회는 처음에는 주교가 한 사람도 없었을 정도로 참석자가 적었습니다. 게다가 개회식 당시 체사리니 추기경은 후스 전쟁에 참가하느라 바젤에는 있지도 않았습니다. 대리가 개회식을 주재했습니다. 체사리니 추기경이 두어 달 늦은 1431년 9월 바젤에 도착했을 때도 참석자는 많지 않았습니다.

 

이 소식을 들은 교황 에우제니오 4세는 그해 12월 바젤 공의회를 해산하고 18개월 후 이탈리아 북부 볼로냐에서 공의회를 소집한다는 칙령을 발표합니다.

 

하지만 바젤에서는 체사리니 추기경 주재로 공의회 첫 회기가 이미 시작된 상황이었습니다. 공의회 교부들은 교황 칙령에 크게 반발했습니다. 회의를 속개한 교부들은 1432년 2월 2차 회기에서 공의회 우위설을 재확인하면서 교황이 회기 중에 있는 공의회에 대해 공의회의 동의를 구하지 않고 회의 장소를 옮기거나 해산할 수 없음을 분명히 합니다. 독일 왕 지기스문트를 비롯해 부르군디와 영국, 밀라노 등 유럽 여러 나라 군주들도 공의회를 지지했습니다.

 

힘을 얻은 공의회 교부들은 그해 4월 제3차 회기에서 교황에게 공의회 해산 칙령을 철회하는 것은 물론 3개월 이내에 직접 또는 대리인을 통해 바젤로 출두하라고 통보합니다. 이런 상황이 2년 가까이 계속됩니다.

 

그 사이에 공의회 교부들은 한 가지 중요한 일을 성사시킵니다. 후스 전쟁으로 10여 년간 중부 유럽을 위험에 빠뜨렸던 후스파와 1433년 11월 프라하에서 평화협정을 체결한 것입니다. 공의회 교부들은 후스파가 요구한 사항들 중 평신도에게도 성혈을 영할 수 있게 해주는 등 몇 가지 조건에 합의함으로써 타협을 이뤄냈습니다.

 

평신도의 양형 영성체(성체와 성혈을 함께 영하는 것)는 15세기 초 보헤미아 지방에서 널리 이뤄지던 관습이었는데 콘스탄츠 공의회가 1415년 보헤미아 지도자 얀 후스를 단죄하면서 양형 영성체를 금지시켰습니다. 이 조치는 후스의 화형과 함께 후스파가 봉기한 한 원인이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콘스탄츠 공의회가 평신도의 양형 영성체를 금지시킨 것은 양형 영성체가 단지 교회 전통과 관습에 어긋나기 때문만이 아니었습니다. 양형 영성체 관습이 '내 살을 먹고 내 피를 마시는 사람은 구원된다'는 성경 말씀(요한 6,56 참조)을 글자 그대로 따르는 데서 비롯한 것이어서, 성체만 모셔도 예수 그리스도의 몸과 피를 다 모시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는다는 교회 가르침을 거부하는 행위로 비칠 수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공의회는 교회 가르침을 부인하지 않는다는 조건을 달아 양형 영성체를 허용한 것입니다.

 

어쨌거나 바젤 공의회가 난제였던 후스 전쟁을 종식시키는 성과를 거두자 교황 에우제니오 4세는 자신의 뜻을 접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교황은 1433년 12월 바젤 공의회에 대한 해산 명령을 철회하고 공의회 속개를 합법적으로 인정하는 칙서를 발표합니다.

 

공의회 교부들은 이제 공의회 우위설을 바탕으로 개혁안들을 계속 마련합니다. 교구 및 관구 회의의 정례적 개최, 성직자의 축첩 및 성직 매매 금지, 성무집행 정지의 난발 금지 등 같은 주목할 만한 내용도 있었지만 교황 권한을 축소하는 조치들이 더 많았습니다. 교황 선거법을 일부 개정하고 추기경 수도 24명으로 제한했습니다.

 

이에 앞서 공의회 교부들은 이미 1432년에 공의회 의사 규정을 바꿔 종전에는 주교들과 대수도원장들에게만 주던 투표권을 신학자, 대학교수, 수도자와 본당 신부들에게도 허용했습니다.

 

한편 교황 에우제니오 4세는 1434년 여름부터는 로마 소요 사태를 피해 피렌체에 와 있었습니다. 교황은 바젤 공의회가 못마땅했지만 어쩔 도리가 없었습니다. 그러던 차에 계기가 왔습니다. 오스만 투르크 제국의 침략 위협에 시달리던 동로마 황제 요한 8세 팔레올로구스가 동ㆍ서 교회의 재일치를 바탕으로 서방 그리스도교 국가들의 지원을 받고자 교회 일치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사절을 보낸 것입니다.

 

문제는 회의 개최지였습니다. 바젤 공의회와 교황 에우제니오 4세가 각기 서로 다른 장소를 제안했습니다. 동방 교회쪽에서는 교황의 제안을 받아들였습니다. 바젤 공의회에서 이를 둘러싸고 격론이 벌어졌습니다. 공의회는 기존 장소를 고수하는 다수파와 교황의 제안을 지지하는 소수파로 갈라졌습니다. 교황은 소수파의 입장을 승인합니다.

 

바젤 공의회의 다수파가 책임을 묻고자 교황을 소환하려 하자 교황은 이에 맞서 공의회를 이탈리아 북부 페라라로 옮길 것을 선언합니다. 1437년 9월이었습니다. 소수파는 교황 뜻을 따라 페라라로 옮겨 이듬해 1월 페라라에서 공의회를 속개합니다. 다수파는 바젤에 그대로 남았습니다. [평화신문, 2011년 10월 23일, 이창훈 기자]

 

 

[교회사 속 세계 공의회] (36) 바젤 - 페라라 - 피렌체 공의회(1431~1445년) (하)


연합 교령 발표하며 동방교회와 일치 이뤄

 

 

피렌체 산타 마리아 노벨라 성당. 페라라에서 피렌체로 옮겨간 공의회가 1439년 2월 첫 회기를 시작한 장소다. 출처=「한국가톨릭대사전」

 

 

페라라 - 피렌체 공의회

 

교황 에우제니오 4세의 지시에 따라 이탈리아 북부 페라라로 옮겨간 공의회 소수파는 1438년 1월 8일 페라라 주교좌 성당에서 공의회를 개최합니다. 대주교 4명에 주교 20명이 참석한 작은 규모였습니다. 그러나 1월 말 교황 에우제니오 4세가 페라라에 도착하고 이어 동로마 제국 황제 요한 8세 팔라이올로구스를 비롯해 동방(그리스) 교회 대표단이 도착하는 등 규모는 점점 커졌습니다.

 

그리하여 동ㆍ서방 교회 대표가 함께 하는 첫 회기가 4월 9일에 시작했고, 교부들은 페라라 공의회가 보편 공의회임을 승인하는 교령을 발표했습니다. 페라라 공의회는 그해 10월 2차 회기를 시작했지만 교황 에우제니오 4세가 공의회 장소를 다시 피렌체로 옮기기로 함에 따라 별 성과 없이 끝났습니다.

 

공의회는 이듬해 2월 하순 피렌체에 있는 산타 마리아 노벨라 성당에서 속개합니다. 동ㆍ서방 교회의 일치 문제를 집중 논의했는데 핵심 쟁점은 서방 교회가 주장한 △ 연옥 교리 △ 성찬례 때 누룩 없는 빵을 사용하기 △ 신경에 필리오케(성령이 성부'와 성자에게서' 발출한다는 것) 삽입하기 △ 교황 수위권 문제였습니다.

 

진통을 거듭한 끝에 어렵사리 해결책을 마련했습니다. 연옥 교리와 관련, 죽은 후에 어떤 영혼들은 연옥에서 불로 정화를 거치며, 어떤 영혼들은 바로 지옥으로 떨어지고, 또 어떤 영혼들은 천국에서 각자에게 상응하는 복락을 영원히 누린다는 것으로 정리했습니다.

 

성찬례 때 누룩 없는 빵을 사용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서방 교회는 이 관습을 계속 시행하되 동방 교회에서는 누룩을 넣은 일반 빵도 사용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필리오케' 문제와 관련, 라틴 교회는 '성령이 아버지와 아들에게서 나온다'는 표현을 계속 주장한 반면 동방 곧 그리스 교회 대표들은 '성령이 아버지에게서'나온다는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신앙정식에 아무 것도 보태서는 안 된다는 원칙을 확인하면서 성령과 성자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성령이 성부에게서 성자를 통하여'나온다는 표현을 선호했습니다. 결국, 두 표현이 같은 신앙 고백임을 인정하는 선에서 합의가 이뤄졌습니다.

 

교황 수위권 문제에 대해서도 양측 주장을 다 수용하는 선에서 타협안이 마련됩니다. 로마 주교가 그리스도의 참된 대리자이며 베드로의 후계자로서 전체 교회에 대해 수위권을 지닌다는 라틴 교회 입장도 담고, 로마 주교가 다섯개 총대주교좌 가운데 으뜸이기는 하지만 콘스탄티노폴리스,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 예루살렘 등 다른 네 총대주교좌들의 모든 특권과 권한도 그대로 유지된다는 동방 교회의 입장도 담습니다.

 

이리하여 동ㆍ서방 교회의 연합 교령이 피렌체 공의회에서 탄생합니다. 교령 제목은 '기뻐 환호하라, 하늘들아'(Laetentur caeli)였습니다. 연합 교령으로 동방(그리스) 교회와 일치를 이룬 후 피렌체 공의회는 계속해서 아르메니아 교회(1439년 11월)를 시작으로 단성설을 추종한 이집트 콥트 교회(1442년 2월)와 일치를 이룹니다.

 

공의회는 1443년 로마 라테라노 대성전으로 회의 장소를 옮깁니다. 그리고는 시리아 교회(1444), 칼데아 교회와 마론파 교회(1445)와도 잇따라 일치를 선언합니다. 이 교회들은 에페소와 칼케돈 공의회 등에서 단죄된 이설들을 추종하면서 독자적 세력을 형성한 동방 교회들이었습니다.

 

공의회는 1445년에 끝났지만 정확히 언제인지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공의회 결과와 그 이후

 

1431년 바젤에서 시작해 페라라와 피렌체를 거쳐 로마에서 1445년에 폐회한 이 공의회를 가톨릭교회는 17번째 세계 공의회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이 공의회를 바젤-페라라-피렌체 공의회, 또는 바젤-페라라-피렌체-로마 공의회라고도 부릅니다.

 

이 공의회는 무엇보다도 동방 교회와 일치를 선언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 일치는 오래가지 못했습니다. 그리스로 돌아간 대표들이 사정을 제대로 설명을 하지 못했을뿐더러 오스만 투르크 제국이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점령한 이후 관계가 단절됐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연합 교령 '기뻐 환호하라, 하늘들아'는 동ㆍ서 교회가 같은 신앙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면서도 차이들을 인정한다는 점에서 오늘날에도 많은 것을 시사합니다.

 

 

마지막 대립 교황

 

바젤 공의회의 소수파가 교황 에우제니오 4세 뜻을 따라 공의회 장소를 페라라로 옮겨간 후 바젤에 남은 다수파는 어떻게 됐을까요? 그들은 공의회 우위설을 바탕으로 자신들이 유효한 공의회라고 주장하면서 회의를 계속합니다. 그러면서 점점 더 과격하고 급진적이 됐습니다.

 

그리하여 1439년 5월 △ 보편 공의회가 교황 위에 있고 △ 교황은 임의로 공의회를 정회하거나 해산할 수 없으며 △ 이를 거부하는 이는 이단으로 단죄된다는 내용의 교령을 발표합니다. 한달 후에는 이 교령에 따라 교황 에우제니오 4세를 '이단'으로 퇴위시키고 11월에는 서방 교회의 마지막 대립 교황 펠릭스 5세(재위 1439~1449)를 선출합니다. 이로써 바젤은 교회를 다시 분열시키는 상황을 초래했습니다. 분열된 교회를 일치시키고자 도입한 공의회 우위설이 교회를 다시 분열시키는 과오를 범한 것입니다.

 

한편 동방 교회와 일치 문제를 논의하는 데 집중했던 교황 에우제니오 4세는 피렌체 공의회에서 연합 교령을 통해 일치 문제를 일단락 짓자 즉각 바젤 다수파에 대응합니다. 교황은 1439년 11월 '하느님의 사람 모세'라는 칙서를 통해 콘스탄츠 공의회가 1415년에 발표한 공의회 우위설 인정 교령들을 무효로 선언하고, 바젤 다수파에게 해산을 명령합니다.

 

에우제니오 4세 교황은 1441년 4월에 칙서 '우리는 의심하지 않을지라도'(Esti non dubitemus)를 발표, 교황권이 공의회보다 우위에 있음을 선포하고 공의회 우위설을 따르는 이들을 이단으로 파문합니다.

 

그러는 사이에 처음에는 바젤에 다소 우호적이거나 중립적 태도를 보이던 유럽 세속 군주들도 교황 에우제니오 4세 쪽으로 돌아섰습니다. 다수파는 재정난에 허덕였고 1443년에는 대립 교황 펠릭스 5세가 있는 스위스 로잔으로 옮겨갔습니다.

 

1447년 2월 에우제니오 4세가 선종하고 니콜라오 5세(재위 1447~1455)가 후임 교황이 됩니다. 1448년 독일 황제 프리드리히 3세는 니콜라오 5세와 정교 조약을 맺고 교황 편에 섰으며, 뒤이어 프랑스까지 중립 입장에서 교황 쪽으로 돌아섰습니다.

 

다수파가 사면초가에 몰리게 되면서 결국 1449년 대립 교황 펠릭스 5세가 교황직을 사임하고, 다수파는 해산합니다. [평화신문, 2011년 10월 30일, 이창훈 기자]



1,573 0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