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27일 (토)
(백) 부활 제4주간 토요일 나를 본 사람은 곧 아버지를 뵌 것이다.

한국ㅣ세계 교회사

[한국] 한국전쟁기 외국인 선교사들의 순교와 선교

스크랩 인쇄

주호식 [jpatrick] 쪽지 캡슐

2023-11-28 ㅣ No.1621

한국전쟁기 외국인 선교사들의 순교와 선교



Ⅰ. 머리말 - 외국인 선교사들의 수난과 기록

Ⅱ. 선교사들의 순교와 ‘죽음의 행진’

III. 수용소 생활과 정전협상의 포로문제, 석방 과정

IV. 귀국과 귀환, 선교사들의 한국교회 공동체 재건

V. 맺음말



국문초록

 

가톨릭 교회는 3년이나 진행된 한국전쟁으로 인해 파괴되고 큰 피해를 입었다. 외국인 선교사들은 본당과 신자들을 지키기 위해 피난을 가지 않았기 때문에, 북한군에 의해 체포되거나 희생되었다. 이 때문에 가톨릭교회는 한국전쟁 기간 반공주의가 강화되고 한국전쟁을 성전(聖戰)이나 십자군 전쟁으로 인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냉전과 종교의 관계를 거시적인 조망에서 분석하는 기존의 연구들은 그리스도교 교회를 구성하고 공산주의를 만났던 구체적인 사람들의 ‘목소리’를 담아내지 못하는 한계를 지닌다.

 

고난을 당한 선교사들이 체험하고 남긴 기록은, 한국전쟁을 악마와 대결을 벌이는 성전으로 단순화하기 어려운 모습을 보여준다. 성골롬반외방선교회는 전쟁 당시 납북되거나 사망한 선교사들에 대한 조사보고, 정전협상과 포로석방을 위한 노력, 전시 선교 현황보고 등의 기록을 남겼다. 지금까지 한국전쟁기 선교사들의 활동과 문서 관련 연구는, 메리놀선교회, 베네딕도회, 골롬반회의 활동과 자료소개 등 각 수도회와 외방선교회 별로 이루어져 있고, 이를 포괄적으로 정리한 글은 거의 없다. 이 글은 각 수도회 선교사들이 죽음의 행진을 겪고 수용소에서 석방되어 남긴 수기와 골롬반 문서를 추가하여, 남북한 각 수도회 선교사들의 수용소 생활, 정전협상과 석방 과정, 남한에서 교회 재건을 위한 선교사들의 노력이 어떻게 이어지는지 그들의 목소리를 재구성해 보았다. 이를 통해 선교사들이 증오와 적대 그리고 이데올로기적 대립이 강화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어떠한 태도와 실천으로 선교 사명을 이루어 나갔는지, 전쟁 기간 선교사들이 남한 교회 재건을 위해 기울인 노력에 대해 알아보았다.

 

죽음의 행진을 겪고 생환한 선교사들의 수기에는 순교를 서술하면서도 반공이나 냉전 이데올로기와 무관한 그리스도교의 신앙과 성찰을 보여주었다. 선교사들의 납북 체험기와 증언에는 순교 정신과 용서와 회개를 위한 기도가 들어있다. 증오와 적대, 그리고 이데올로기적 대립이 강화될 수밖에 없는 전쟁상황에서 선교사들은 오히려 이데올로기에 얽매이지 않는 선교와 신앙의 실천이라는 자신의 사명을 수행하였다. 선교사들의 순교와 1953-54년 수용소에서 선교사들이 석방되어 생환한 소식은 각 수도회뿐 아니라 선교사들의 고국인 미국 · 프랑스 · 독일 · 벨기에 · 영국 · 아일랜드 · 호주 등지에서도 대서 특필되었다. 납북 선교사들이 남긴 생생한 수기는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로 출판되어 번역되고 주목을 받았다. 본국의 수도회와 가톨릭 신자들은 생환된 선교사들이 1953년 7월 정전협정 체결 후 다시 한국으로 입국하여 선교의 행진을 벌일 때, 이들을 적극 후원하였다. 선교사들의 수난과 순교는 전시 남한에서의 선교와 구제 사업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기반이자 추동력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학술지 교회사학 제23호, 2023년(수원교회사연구소 발행), 김정현(가천대학교 강사)]

 

원본 : http://www.casky.or.kr/html/sub3_01.html?pageNm=article&code=437367&Page=1&year=&issue=&searchType=&searchValue=&journal=1



파일첨부

33 0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