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5월 11일 (토)
(백) 부활 제6주간 토요일 아버지께서는 너희를 사랑하신다. 너희가 나를 사랑하고 또 믿었기 때문이다.

세계교회ㅣ기타

일상문화 속 교회 이야기: 빨간 날

스크랩 인쇄

주호식 [jpatrick] 쪽지 캡슐

2014-06-06 ㅣ No.257

[일상문화 속 교회 이야기] 빨간 날


축일 등 붉은 글씨로 표기, ‘빨간 날’은 기쁜 축제의 날



누구나 달력의 ‘빨간 날(Red-letter day)’을 손꼽아 기다려 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달력에 빨간 날이 모여 있는 주간에는 여행이나 휴식을 즐기기도 하고, 어떤 사람들은 한 해의 ‘빨간 날’, 즉 공휴일의 수를 세어보기도 한다. 적어도 달력에서 만큼은, 빨간 글씨는 사람들에게 행복감을 가져다준다.

‘빨간 날’이라는 표현은 생각보다 많은 나라에서 사용하고 있다. 레드레터데이(Red-letter day)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영어권 나라를 비롯해, 노르웨이, 스웨덴, 덴마크 등의 유럽국가와 라틴아메리카의 나라들도 ‘빨간 날’이라는 표현을 쓰고 있다.

달력에 휴일을 빨간 글씨로 쓰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항간에는 인쇄기기의 잉크의 특성상 빨간색을 선택했다하기도 하고, 눈에 잘 띄기 때문에 골랐다는 소리도 들려온다. 하지만 달력의 역사를 따라 거슬러 올라가면 인쇄매체가 발달하기 전부터 달력에 붉은 잉크를 사용해온 것을 알 수 있다. 이미 중세 이전부터 교회의 달력에는 ‘빨간 날’이 있었다.

유럽 중세시대의 많은 서적을 보면 첫 대문자나 중요한 단어에 붉은 글씨를 자주 사용했음을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당시 교회의 달력, 즉 전례력에는 교회의 중요한 날, 바로 성인의 축일이나 예수부활대축일과 같은 거룩한 날 등을 빨간 글씨로 기록했다.

사람들은 이 ‘빨간 날’에 축제를 지내거나, 성삼위나 성인을 기억하는 시간으로 보냈다. 그렇게 이 날들은 기쁜 날이자 기념할 날로 자리 잡아 오늘날의 ‘휴일’에 가까워져갔다. 사실 해마다 정해진 날 휴일을 지내는 일은 교회의 축일 이전부터 있던 관습이지만 유럽을 비롯한 가톨릭계 국가나 미국 등의 공휴일에서는 지금도 전례주년의 많은 영향을 찾을 수 있다.

성 아우구스티노는 우리들의 마음이 하느님 안에 있지 않으면 진정한 휴식을 취할 수 없다고 말한 바 있다. 우리도 교회에서 유래한 이 ‘빨간 날’들을 보내며 하느님을 기억하는 습관을 들이면 더 진한 ‘빨간 날’을 보낼 수 있지 않을까.

[가톨릭신문, 2014년 6월 1일,
이승훈 기자]



1,573 0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