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28일 (일)
(백) 부활 제5주일 내 안에 머무르고 나도 그 안에 머무르는 사람은 많은 열매를 맺는다.

교육ㅣ심리ㅣ상담

[심리] 토닥토닥: 나이가 들어도 자식은 자식입니다

스크랩 인쇄

주호식 [jpatrick] 쪽지 캡슐

2022-09-19 ㅣ No.1091

[박예진의 토닥토닥] (35) 나이가 들어도 자식은 자식입니다 (상)

 

 

50대가 된 영훈씨는 여전히 어머니께 죄송한 마음뿐입니다. 어머니는 외아들인 자신을 위해 모든 것을 희생하는 삶을 살아오셨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영훈씨의 아버지는 늘 술에 취해 있었습니다. 그러니 생계와 육아 모두 어머니의 몫이었습니다. 어머니가 시장에서 장사할 때 그 등에는 영훈씨가 업혀 있었습니다. 영훈씨가 학교에 다니기 시작하자 어머니는 학원비를 벌기 위해서 밤늦게까지 집에서 부업을 했습니다. 이런 어머니의 사랑과 보살핌 덕에 영훈씨는 대학에 가고 취직도 해 안정된 생활을 할 수 있었습니다. 아버지는 영훈씨가 서른이 되던 해에 세상을 달리하셨습니다. 안타깝긴 했지만, 이제 좀 숨을 쉴 수 있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어머니가 그동안 겪었던 희생과 고생으로부터 해방되었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영훈씨는 어머니가 여러모로 숙고해서 고른 여성과 결혼했습니다. 어머니는 어렵게 모은 돈으로 신혼집도 차려주셨습니다. 그러나 즐거운 신혼생활도 잠시, 자꾸 영훈씨 먹을 음식을 했다며 가져가라는 어머니의 말에 자주 어머니 댁에 가야 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집안의 대소사는 모두 영훈씨 어머니의 의견을 따라야 했습니다. 영훈씨에게 이는 매우 자연스러운 일이었으나, 영훈씨의 아내에게는 아니었습니다.

 

영훈씨의 아내는 부부가 함께 해결한 일도, 친정에 관한 일도, 남편 직장에 관한 일들도 시시콜콜 시어머니에게 매일 전화를 해 보고하는 남편이 점점 힘들어졌습니다. 남편은 어떤 사안에 바로 결정하는 일이 없이, 아주 사소한 것도 시어머니와 의견을 나눈 후에야 답을 했습니다. 자신은 딴 식구처럼 여겨졌습니다. “나는 뭐지? 왜 나와 결혼했지? 착하고 성실해 보이는 영훈씨가 좋았는데….” 막상 결혼하고 보니 그 착하고 성실함은 어머니를 향한 것일 뿐 자신과 두 사람이 함께 꾸릴 가정에는 해당되지 않는 것 같았습니다.

 

그렇게 3년, 결국 견디지 못한 아내의 요청으로 영훈씨는 이혼하게 되었습니다. 자신의 이혼으로 어머니가 힘들어하시니 영훈씨는 내가 더 잘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다시 어머니와 살게 된 영훈씨는 홀로 계시는 어머니에겐 차라리 다행이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어머니는 그런 영훈씨가 참 흡족하면서도 부인도 자식도 없는 영훈씨가 안타까워 신경이 쓰입니다.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고부 관계는 단순히 시어머니와 며느리만의 관계로 끝나지 않는다고 합니다. 남편까지 포함한 삼자 관계로 남편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지요. “기혼 여성의 결혼 만족도에 가장 영향을 주는 요인도 고부갈등 상황에서 남편의 역할”이라고 합니다.(리마리, 2002)

 

영훈씨 가정처럼 밀착된 모자 관계는 원만하지 않은 부부 관계나 부자 관계로 인해 발생합니다. 어머니의 입장에서는 남편과의 관계가 원만하지 못해 아들에게 대한 의존도가 높고, 아들 입장에서는 아버지는 무섭고 두려운 존재이다 보니 어머니의 사랑에 더 매달릴 수밖에 없습니다. 어떻게 보면 집안 공통의 고통이 모자의 상호의존관계를 더욱 공고하게 합니다. 외동아들이다 보니 어머니에겐 아들은 아들 이상의 역할이기도 하고요.

 

하지만 두 사람 모두 서로로부터 독립해야 한다는 현실적인 고민을 늘 갖고 있습니다. 50대인 영훈씨의 삶은 여전히 어머니에게 종속되어 있습니다. 이건 과연 누구의 삶일까요? 행복하긴 한 걸까요? 그렇다면 이런 고착의 굴레는 어떻게 끊어내야 할까요? 다음번에 이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가톨릭평화신문, 2022년 9월 18일, 박예진(율리아, 한국아들러협회장)]

 

 

[박예진의 토닥토닥] (36) 나이가 들어도 자식은 자식입니다 (하)

 

 

이번 주도 50대 영훈씨 사례입니다. 영훈씨의 어머니는 하나뿐인 아들을 키우기 위해 온갖 일을 다 하셨고, 그 덕분에 영훈씨는 하고 싶은 것을 다 할 수 있었습니다. 대학도 무난히 입학하고, 직장에 취직해서 안정된 생활도 하게 되었습니다. 늘 술에 취해서 하는 일 없이 지내던 아버지는 영훈씨가 서른이 되던 해에 돌아가셨습니다. 영훈씨는 어머니가 그동안 겪었던 희생과 고생으로부터 해방되었다고 생각했습니다.

 

영훈씨는 결혼도 어머니가 골라준 여자와 했습니다. 신혼집도 어머니가 얻어주셨습니다. 그렇지만 아내는 늘 어머니가 우선인 영훈씨가 불만이었고 결국 3년 만에 이혼하게 됐습니다. 영훈씨는 차라리 어머니와 생활하는 편이 마음이 더 편합니다. 다만 이제 오십 줄에 들어서고 나니 여러 생각이 앞섭니다. 생활과 경제적인 면에서는 아무런 불편이 없지만, 간혹 이런 생각이 듭니다. ‘지금 내 삶은 어디로 가고 있나, 어머니가 돌아가시면 난 어떻게 살아야 하나.’

 

가족치료 심리학자 보웬에 의하면, 만성적인 부부갈등을 겪고 있는 여성의 경우 본인의 불안을 해소하고자 자녀에게 집착하며, 자녀를 과보호하고 통제한다고 합니다. 아들에게 집착하는 영훈씨의 어머니도 같은 경우입니다. 아들의 자잘한 일까지 끼어들면서 아들의 충성심을 유도하고, 자신의 지나친 과보호와 돌봄을 사랑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어머니 역시도 아들과 밀착된 관계로 인해 자기 주도적으로 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어머니에 대한 영훈씨의 감정은 아마도 복합적일 겁니다. 그동안 어머니의 희생에 대한 미안함과 죄책감이 들면서도 아직 어린애 대하듯 하는 어머니의 태도에 화도 나겠지요. 그러니 지금 느끼는 감정도 이해가 됩니다. 자신감도 없고, 자존감도 낮으며, 의사결정도 잘 못 하는 50대의 삶이 허무하겠지만, 이는 책임지지 않고 의존하면서 살아온 영훈씨의 삶의 궤적이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이제 삶을 다시 그려야 합니다. 돌이켜보면 영훈씨가 혼자 해낸 일도 많을 겁니다. 학업성취나 대학 입학만큼은 오로지 영훈씨 노력의 결과니까요. 좋은 직장에 취직한 것도, 직장생활을 잘해낸 것도, 현재까지 직장에 다니는 것도 모두 영훈씨의 능력입니다. 아버지에 대한 분노와 원망 때문에 가출이나 일탈을 생각했을 수도 있지만 그렇게 하지 않았습니다. 어머니와 함께 좀 더 나은 삶을 위해 노력하면서 살아왔습니다. 모두 영훈씨가 이뤄낸 것들입니다.

 

다만 아직도 영훈씨의 마음은 어린아이로 남아 있습니다. 현실이라는 두려운 세상에서 이미 혼자 서 있음에도 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아직 혼자인 게 두렵다며 어머니의 품으로 도망치고 있는 형국이지요. 이러한 자신을 되돌아보고, 스스로 인정하고 격려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렇게 하면 내면에서 울려대는 “나는 부족하고 무가치하다”와 같은 비판의 말은 멈출 겁니다. 나 혼자서는 아무것도 못 한다는 과잉 일반화는 이제 그만하고, “어느 부분은 부족하지만, 어떤 것은 잘했다”라고 매일 격려의 말을 스스로 해보는 건 어떨까요?

 

자존감은 자신을 존중하고 인정할 때 높아집니다. 작은 일은 스스로 결정해보고, 어머니와 함께 의논할 것과 혼자 결정할 일들을 구분해 혼자 의사결정을 하는 범위와 횟수도 늘려봅시다. 어머니와의 경계를 분리하고 자신의 영역을 넓히는 것은 혼자일 때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자신을 신뢰하게 해주며 심리적으로 안정되게 합니다. [가톨릭평화신문, 2022년 9월 25일, 박예진(율리아, 한국아들러협회장)]

 

※자신, 관계, 자녀 양육, 영성 등으로 심리·정서적 어려움이 있으신 분은 메일(pa_julia@naver.com)로 사례를 보내주세요. ‘박예진의 토닥토닥’을 통해 조언해드리겠습니다.



1,871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