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GOOD NEWS

독산1동성당 검색
메뉴

검색

검색 닫기

검색

오늘의미사 (녹) 2025년 7월 24일 (목)연중 제16주간 목요일너희에게는 하늘 나라의 신비를 아는 것이 허락되었지만 저 사람들에게는 허락되지 않았다.
가톨릭 성인/축일
    성 빅토리노 (Victorinus)
    같은이름 빅또리노 , 빅또리누스 , 빅토리누스
    축일 7월 24일
    신분 순교자
    활동지역 아미테르눔(Amiternum)
    활동연도 +4세기경

       옛 “로마 순교록”은 9월 5일 목록에서 네르바(96~98년 재위)와 트라야누스 황제(98~117년 재위) 시대에 성덕과 기적으로 유명한 성 빅토리누스(또는 빅토리노) 주교 순교자에 대해 전해주었는데, 그는 온 백성에 의해 로마(Roma) 교외 아미테르눔(이탈리아 중부 아브루초[Abruzzo] 지역의 고대 로마 도시로 오늘날 성인의 이름을 따서 산 비토리노[San Vittorino]라고 부른다)의 (초대) 주교로 선출되었다가 다른 하느님의 종들과 함께 콘틸리아노(Contigliano, 로마 북동쪽 60km, 리에티[Rieti]에서 서쪽으로 8km 거리에 있는 도시)로 추방되었다. 그곳에는 오늘날 치타두칼레(Cittaducale)로 부르는 곳 근처에 악취가 심한 유황 온천이 있었는데, 성 빅토리노는 아우렐리아누스 재판관의 명령으로 머리를 아래로 향한 채 거꾸로 매달려 질식하게 만드는 고문을 당했다. 그는 3일 동안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을 부르며 고통을 견뎌낸 후 영광스럽게 승리의 월계관을 썼다. 그 후 성 빅토리노의 시신은 그리스도인들에 의해 옮겨져 현재는 폐허가 된 아미테르눔 대성당에 묻혔다.

       11세기에 아미테르눔 교구가 폐지되고 리에티 교구로 편입되면서 성 빅토리노의 유해가 그곳 대성당으로 이장되었고, 13세기에 새로 건립된 도시인 라퀼라(L’Aquila)로 주교좌가 이전하면서 라퀼라 교구에 속하게 되었다. 1966년 이후 아미테르눔 교구는 주교가 상주하지 않는 명의 교구(名義敎區, titularis) 이름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다른 자료에 따르면 아미테르눔 교구는 300년경에 설정되었고, 성 빅토리노 순교자가 주교였는지도 확실하지 않다.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그의 기념일을 7월 24일로 옮기고, 살라리아 가도(Via Salaria)에 있는 사비나(Sabina)의 아미테르눔에 성 빅토리노 순교자가 있었다고 기록하였다. 순교 시기는 4세기경으로 보았고, 주교라는 언급 없이 순교자로만 표기하였다.♣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