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1일 (토)
(홍) 성 유스티노 순교자 기념일 당신은 무슨 권한으로 이런 일을 하는 것이오?

따뜻한이야기 신앙생활과 영성생활에 도움이 되는 좋은 글을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 나뭇가지 두 개

스크랩 인쇄

원두식 [wds9026] 쪽지 캡슐

2015-08-16 ㅣ No.85526

(십자성호를 그으며)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나뭇가지 두 개  

  

 

두 동자승이 불경을 읽는 것 때문에 서로 다투었다.

한 동자승은 크게 소리를 내 불경을 읽는데,

다른 동자승은 그 소리가 신경 쓰여

불경 공부를 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그렇게 두 사람은 '소리 내 읽어야 공부가 잘된다.' '

마음으로 조용히 읽어야 공부가 잘된다.' 하며

자기 주장을 조금도 굽히지 않았다.

 

그때 큰스님이 싸우고 있는 두 동자승을

절 마당의 나무 아래로 데려갔다.

 

큰스님은 나뭇가지 하나를 꺽어

바닥에 놓으며 두 동자승에게 물었다.

 

이것이 길게 보이느냐,

아니면 짧게 보이느냐?"

그들은 큰스님의 질문에 뭐라고 대답해야 할지 몰라

서로 눈치만 보며 서있었다.

 

그런 동자승을 물끄러미 바라보던

큰스님은 나뭇가지 하나를 더 꺾어서

바닥에 놓여 있는 나뭇가지 옆에놓았다. "

 

이제는 길고 짧은 것이 어느 것인지 알겠느냐?" "

예, 먼저 것이 깁니다."

동자승 두 명 다 자신 있게 대답했다. 그

 

러자 큰스님은 이렇게 말했다. "

너희가 다투는 것은 자신만 알기 때문이다.

내 옆에 누가 있는지 안다면

자기만 옳다고 말하지 못하는 법이니라.

 

하나로는 길고 짧음을 가릴 수 없는 것처럼

옳고 그름, 선과 악을 구별하는데

나만의 생각이 기준이 될 수는 없다.

 

자기만의 생각이 맞다는 것은

전체의 기준이 될 수 없다

 

자신 옆에 무엇을 가져다 놓고

비교하며 살아 왔는지 생각해볼 일이다. 

 

「좋은글中에서」

 

 

 

내가 누군가를 보며
부러워하는 그 순간에 누군가는 나를 보며
부러워하고 있다면 얼마나 아이러니한 일일까요. 

* 비교하면 '다름'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다름'은 '틀림'이나 '모자람'이 아닌데, 흔히들 그렇게
생각하고 스스로 불행의 싹을 키우고 맙니다.    
딱 한 가지, 비교해도 좋은 것이 있습니다.
'어제의 나'와 '오늘의 나'를 비교하는 것.
그것을 우리는 발전이라 부르기도 하고
성장이라고도 말합니다. '비교'는
자신의 발전과 성장에만
사용되어야 합니다.

 

 

 

 



2,679 4

추천 반대(0) 신고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