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7일 (목)
(녹) 연중 제12주간 목요일 반석 위에 지은 집과 모래 위에 지은 집

자유게시판

<캄보디아 killing field 스토리>

스크랩 인쇄

이도희 [edohyy] 쪽지 캡슐

2022-05-11 ㅣ No.225068

+ 찬미예수,


<캄보디아 killing field 스토리>


캄보디아 크메르루주 정권(Khmers Rouges 정권/1975~1979)의 폴포트(1925년5월19일~1998년4월15일/72세)독재는,
베트남전쟁이 끝나자 수도 푸노펜에서 크메르루주 정권의 이름을 민주캄푸치아로 개칭하여 탄생함.

킬링필드
(학살된 양민이 매장된 곳)
1975년 캄보디아의 공산주의 무장단체이던 크메르루주(붉은 크메르) 政權이 "론놀 정권"을 무너뜨린 후 1979년까지 노동자와 농민의 유토피아를 건설한다는 명분 아래 최대 200만 명에 이르는 지식인과 부유층을 학살한 사건이다.

크메르루주의 지도자 폴포트는 1975년 4월 美軍이 베트남에서 철수함에 따라 약화된 캄보디아의 親美 론놀 정권을 몰아냈다. 당시 폴포트가 정권을 잡자 론놀 정권의 부패에 염증을 느끼고 있던 국민들은 환영하였다. 그러나 폴포트는 새로운 농민천국을 구현한다며 도시인들을 농촌으로 강제이주시키고, 화폐와 사유재산, 종교를 폐지했다.

이 과정에서 과거 론놀 정권에 협력했다는 이유로 지식인, 정치인, 군인은 물론 국민을 개조한다는 명분 아래 노동자, 농민, 부녀자, 어린이까지 무려 全인구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200여만 명을 살해하였다. 그리고 크메르루주 정권은 1979년 베트남의 지원을 받는 캄보디아 공산동맹군에 의해 전복되었다.

이들의 만행은 캄보디아 뉴욕타임스 특파원 시드니 쉔버그의 글, '디스프란의 生과 死(한 캄보디아인의 이야기)'를 통해서 세상에 알려졌다. 이 글은 1980년 뉴욕타임스에 실렸고 쉔버그는 퓰리처상을 수상했다. 이를 토대로 학살된 양민이 매장된 곳을 뜻하는 <킬링필드>라는 제목의 영화가 제작되기도 하였다.

[출처] 국민 4분의 1을 죽인 캄보디아의 학살자 "폴포트"|작성자 여백의 아름다움.


글옮긴이~李도희(아오스딩) 拜.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3,351 0

추천 반대(0) 신고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