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0일 (목)
(녹) 연중 제11주간 목요일 그러므로 너희는 이렇게 기도하여라.

건강ㅣ생활ㅣ시사용어 건강상식ㅣ생활상식ㅣ시사용어 통합게시판입니다.

스트룹 효과(stroop effect)

스크랩 인쇄

박남량 [narcciso] 쪽지 캡슐

2023-03-30 ㅣ No.6206

                                                                                     스트룹 효과(stroop effect)




단어의 뜻과 색상이 일치하지 않는 자극을 보고 그 자극의 색상을 명명할 때, 일치하는 자극을 보고 명명할 때보다 반응 시간이 더 증가하는 현상을 가리켜 스트룹 효과(stroop effect)라고 한다. 다시 말해 문자의 의미와 문자의 색이라고 하는 두개의 자극을 동시에 나타내 보이면 각각의 정보가 일치하고 있을 때보다 일치하지 않을 때가 이해하기까지 시간이 걸리는 현상을 가리키는 말이다.

스트룹 효과(stroop effect)는 불일치(incongruent) 조건의 반응시간에서 일치조건(congruent)의 반응시간을 뺀 값으로, 단어의 색과 글자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자동반응을 얼마나 잘 억제하고 글자의 색상에 잘 반응할 수 있는지를 의미한다. 스트룹 효과(stroop effect)가 적을수록 불일치(incongruent) 상황에서 전형적 혹은 자동적 반응을 억제하는 통제 - 억제처리 능력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스트룹 효과(stroop effect)1935년 미국의 심리학자 존 리들리 스트룹(John Ridley Stroop)이 처음으로 발견한 인지심리학의 대표적인 실험 중 하나로 읽기와 색깔 인식의 충돌을 연구한 것이다. 단어의 뜻과 색과 다른 단어가 적혀 있을 때 그 단어의 의미와 상관없이 색깔을 읽는 데에 시간이 더 걸리는 현상을 말한다. 심리학자의 성을 따서 이름 붙인 것이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935 1

추천 반대(0) 신고

스트룹 효과(stroop effect),시사용어,시사상식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