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3일 (월)
(홍) 성 가롤로 르왕가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소작인들은 주인의 사랑하는 아들을 붙잡아 죽이고는 포도밭 밖으로 던져 버렸다.

건강ㅣ생활ㅣ시사용어 건강상식ㅣ생활상식ㅣ시사용어 통합게시판입니다.

피터의 원리(Peter Principle)

스크랩 인쇄

박남량 [narcciso] 쪽지 캡슐

2017-02-03 ㅣ No.3977

 


피터의 원리(Peter Principle)



관료적 위계서열조직인 계층제 안에서는 모든 구성원들이 자신의 무능의 수준까지 승진한다는 원칙을 가리켜 피터의 원리(Peter Principle)이라고 한다. 관료제는 경력을 중시하여 직원을 승진시키기 때문에 무능한 자가 능력 이상의 자리를 맡게 되어 비효율성을 초래하게 된다는 원리이다.

피터의 원리(Peter Principle)는 관료제 조직의 구성원들이 승진에 성공한 후 더 높은 능력의 수준까지 승진하다가 더 이상 승진할 수 없는 무능의 수준에 이르게 된다는 것이 요지로, 결국 관료제 조직의 모든 직위는 그 직무를 수행하기에 무능한 시람들로 채워지는 경향이 있다고 결론지었다.

피터의 원리(Peter Principle)는 1969년 피터(Laurance J. Peter)와 그의  동료 헐(Raymone Hull)이 The Peter Principle(피터의 원리) 라는 책에서 발표한 용어로 관료제 조직의 직업적 무능(Occupational Incompetence)를 설명하려는 하나의 시도로 정부조직, 정치조직, 산업조직, 노동조합, 군대조직, 종교조직, 교육조직 등 인간이 만든 어떠한 조직체든지 이 원리가 지배한다고 했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2,904 3

추천 반대(0) 신고

피터의 원리(Peter Principle),시사용어,시사상식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