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3일 (월)
(홍) 성 가롤로 르왕가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소작인들은 주인의 사랑하는 아들을 붙잡아 죽이고는 포도밭 밖으로 던져 버렸다.

건강ㅣ생활ㅣ시사용어 건강상식ㅣ생활상식ㅣ시사용어 통합게시판입니다.

현저성 효과(Saleince Bias)

스크랩 인쇄

박남량 [narcciso] 쪽지 캡슐

2017-11-27 ㅣ No.4294

 


현저성 효과(Saleince Bias)



 

상식적으로 만드는 가설이 항상 정확하지는 않다. 사람들은 지적으로 게으르기 때문에 모든 정보를 다 처리하지 않고 섣부르게 결론을 내린다. 설령 어떤 정보를 모두 다 처리한다 하더라도 자기 중심적으로 정보 처리를 하기 때문에 오류를 범하기 쉽다. 그런 현상을 귀인 오류(Fundamental attribution error)라고 한다.

귀인 오류(Fundamental attribution error)는 특히 어떤 자극이 특출할 때 잘 나타난다. 사람들은 어떤 자극이 지각적으로 특출하면 그 자극의 어떤 현상의 원인으로 삼는 오류를 범하는데 그런 오류를 "현저성 효과(Saleince Bias)" 또는 "독특성 효과"라고 한다. 하나의 두드러진 특성이 한 사람의 인상을 형성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현상을 일컫는 말이다. 사람들에게 알려지고 싶고 대표가 되고 싶다면 현저성 효과(Saleince Bias)를 활용하게 된다.

뭔가 튀는 사람이 눈에 잘 들어오고, 그 사람이 가장 영향력 있어 보이는 현상을 현저성 효과(Saleince Bias)라고 하는데, 사람들은 이처럼 어떤 원인을 찾거나 세상을 볼 때 지각적으로 특출한 자극들의 역할을 강조한다. 이는 곧 지각적으로 튀는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더 쉽게 도마에 오를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튄다는 것은 어떤 집단에서 지배적인 역할을 할 가능성을 높여준다. 그래서 어떤 조직이든지 처음에 말을 많이 하는 사람을 대표로 뽑는 경향이 있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2,868 0

추천 반대(0) 신고

현저성 효과(Saleince Bias),귀인 오류(Fundamental attribution error),독특성 효과,시사용어,시사상식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