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1일 (토)
(홍) 성 유스티노 순교자 기념일 당신은 무슨 권한으로 이런 일을 하는 것이오?

우리들의 묵상ㅣ체험 우리들의 묵상 ㅣ 신앙체험 ㅣ 묵주기도 통합게시판 입니다.

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2024.05.14)

스크랩 인쇄

김중애 [ji5321] 쪽지 캡슐

2024-05-14 ㅣ No.172394

 

2024년 5월 14일

성 마티아 사도 축일

나이가 들면 기억력이

나빠지는 것을 대부분 알고 있습니다.

뇌세포가 줄어들어서 머리가

잘 돌아가지 않는다고 말씀하십니다.

그러나 최근의 뇌과학에 의하면

이 통설은 잘못되었다고 이야기합니다.

신경세포는 계속 늘어난다는 것이지요.

물론 언제 어디서든 신경세포가

늘어나는 것은 아니고, 기억을 조절하는

부위인 해마(새로운 기억을 잠시 저장할 뿐)

의 신경세포만 그렇다나는 것입니다.

나이를 먹었다고 신경세포 증식이

불가능하지는 않습니다.

단지 노력이 필요합니다.

가장 좋은 훈련 방법은 꾸준한

학습으로 뇌를 자극하는 것이고,

일상생활에서 새로운 자극을

추구하는 것도 매우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적당한 운동, 사교 모임에 적극적으로

임하는 것 등입니다. 여기서 피해야 할 것이

하나 있는데, 바로 스트레스입니다.

그래서 대인 관계에 우위를 가질수록

신경세포 증식력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반대로 대인 관계에서 우위를 가지지

못하면 스트레스로 인해 신경세포

증식력이 낮아진다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스트레스 전혀 없는

삶이 좋은 것도 아닙니다.

어느 정도의 스트레스가 있어야

해마의 신경세포가 활발해집니다.

자기 뇌 건강을 위해서도

누군가에 의해서 휘둘리는 삶을

살아서는 안 됩니다.

겉으로는 신경 쓰고 굽실대는 것처럼

보일 수 있어도, 정신적으로는 항상

우위에 있어야 합니다. 즉, 상대의 말과

행동에 흔들리는 ‘나’가 아닌, 고유한

‘나’를 살 수 있어야 합니다.

하느님께서 고유한 ‘나’를 창조하셨다는

사실을 믿으십시오. ‘나’ 역시 하느님께서

보시니 좋은 존재인 것을 잊지 마십시오.

그래야 건강한 나를, 계속 성장하는 나를,

지금을 기쁘게 사는 나를 만들 수 있습니다.

세상에 나보다 뛰어난 사람이 많아 보입니다.

그러나 나 역시 하느님께서 특별한 사랑을

받는 소중한 존재입니다.

절대로 흔들리지도 또 과대한

스트레스를 만들지 말아야 합니다.

이 사랑을 예수님께서는

오늘 복음을 통해 말씀하십니다.

“아버지께서 나를 사랑하신 것처럼

나도 너희를 사랑하였다.”(요한 15,9)

이런 사랑을 받기 위해

“너희는 내 사랑 안에 머물러라.”

(요한 15,9)라고 말씀하십니다.

사랑으로 우리를 만드시고,

사랑으로 우리를 기르시고,

또 이끄신다는 것을 기억하면서

그분의 사랑 안에 영원히

머물러야 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사랑에 대한 굳은 믿음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사랑을 받는

데에만 집중하지 않습니다.

친구를 위해 목숨을 내놓을 정도로

사랑을 실천하는 사람이 됩니다.

나를 진정으로 사랑하는 분이

원하시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사랑받는 나, 그러나 동시에

사랑하는 나가 될 수 있어야 합니다.

세상의 스트레스를 줄여나가고,

대신 기쁨이 충만하게 될 것입니다.

오늘의 명언

사랑할 수 없는 사람을 사랑하시고

용서할 수 없는 사랑을 용서하시는 것이

바로 하느님의 자비입니다.

(세라핌 미칼렌코 신부)

사진설명: 성 마티아 사도.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203 0

추천 반대(0) 신고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