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9일 (토)
(홍)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사도 대축일 너는 베드로이다. 나는 너에게 하늘 나라의 열쇠를 주겠다.

신앙도서ㅣ출판물 ※ 이미지 업로드 시 파일찾기로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에서 복사하여 붙여넣기 하면 오류가 발생합니다.

12억 가톨릭인에게 전하는 교황의 메시지 <천국과 지상> 출간되었습니다

스크랩 인쇄

김미성 [misungkm] 쪽지 캡슐

2013-06-04 ㅣ No.97


안녕하세요. 율리시즈 출판사입니다. 저희가 이번에 발간하는 신간  <천국과 지상>은 2013년 3월 13일, 제266대 로마가톨릭교회의 교황으로 선출된 교황 프란치스코님의 즉위를 기념하여, 전 세계 동시 출간 프로젝트에 따라 각국에서 동일한 포맷으로 출간 작업중인 책으로, 6월 3일 한국어판이 나왔습니다.
2010년에 아르헨티나에서 출간된 이 책에서 교황께서는 아르헨티나의 추기경 재임 당시, 랍비이자 생물물리학자인 아브라함 스코르카 교수와 21세기 세계가 직면한 종교와 이성, 당면 과제들에 관하여 허심탄회하게 생각을 나누고 계십니다.

하느님, 종교, 근본주의, 정치, 유대인 대학살 같은 민감하고 복잡한 주제뿐만 아니라 죄, 죽음, 노인과 여성, 이혼, 낙태, 동성애, 안락사, 빈곤, 돈 등 개인적인 삶의 문제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주제를 포괄하고 있습니다. 서로 존경을 아끼지 않는 두 사람의 솔직하고 예의바른 대화는 가톨릭 신자뿐만 아니라 종교간의 생산적인 대화를 모색하는 사람들에게도 훌륭한 모범사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종교는 인간 사회에서 벌어지는 모든 일들에 대한 의견을 제시할 의무가 있습니다.
만약 어떤 이가 조언을 구한다면 저는 그것에 답해야 할 의무가 있지요.”
이 책은 우리 모두가 언제든 품게 될 삶의 의문에 대한 프란치스코 교황의 친절한 해답이라 하겠습니다.

정진석 추기경님께서도 추천사를 써주셨습니다. 아래에 붙입니다.

가톨릭교회 역사에 새로운 변화의 바람을 몰고 온 ‘제2차 바티칸 공의회’ (1962년~1965년)에서는 “교회의 창을 활짝 열어젖혀 우리는 밖을 내다볼 수 있고, 사람들은 안을 들여다볼 수 있기를 원한다”라고 선언했습니다. 교회 개혁과 쇄신으로 대변되는 이 공의회에서는 인간 개인의 존엄성과 자유에 대한 인식을 강조함으로써 교회가 사회 정의에 참여하고 가난한 이에게 관심을 가지며 정치․사회․경제적으로 압박받는 계층의 자유 회복에 적극적인 관심을 가질 것을 강조했습니다.
2013년 제 266대 교황으로 즉위하신 프란치스코 교황은 낮은 곳에서 소외된 사람들과 함께하며 가난, 겸손, 나눔을 실천해온 분으로,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메시지를 대표할 수 있는 분이라 생각합니다. 특히 이 책을 보면 가톨릭과 유대교, 나아가 기타 종교와의 대화를 위해 고심하신 흔적을 엿볼 수 있습니다. 신과 악마, 죄, 죽음, 노인과 여성, 이혼, 낙태, 동성애, 안락사, 빈곤, 세계화 등 종교인은 물론 현대를 살아가는 모든 이가 당면한 문제에 대해 솔직하고 강건한 답변을 하고 계십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종교의 역할과 종교인의 의무를 다시 한 번 되새겨볼 수 있을 것입니다.
이 시대에 꼭 필요한 교황님을 보내주신 하느님께 찬미와 감사를 드립니다. 또한 이 땅의 모든 이들과 《천국과 지상》의 독자 여러분에게도 하느님의 자비와 축복을 기원합니다.

이 책의 차례

서문 1
대화와 만남을 주저하지 마십시오-교황 프란치스코

서문 2
진정한 대화라는 것은-아브라함 스코르카

1. 하느님에 대하여
2. 악마에 대하여
3. 무신론자에 대하여
4. 종교에 대하여
5. 종교 지도자들에 대하여
6. 제자들에 대하여
7. 기도에 대하여
8. 죄에 대하여
9. 원리주의에 대하여
10. 죽음에 대하여
11. 안락사에 대하여
12. 노인에 대하여
13. 여성에 대하여
14. 낙태에 대하여
15. 이혼에 대하여
16. 동성 결혼에 대하여
17. 과학에 대하여
18. 교육에 대하여
19. 정치와 권력에 대하여
20. 공산주의와 자본주의에 대하여
21. 세계화에 대하여
22. 돈에 대하여
23. 빈곤에 대하여
24. 홀로코스트에 대하여
25. 1970년대에 대하여
26. 일부 역사적 사실에 대하여_정복, 사회주의, 페론주의
27. 아랍-이스라엘 분쟁과 그 외의 갈등에 대하여
28. 종교 간의 대화에 대하여
29. 종교의 미래에 대하여



2,445 0

추천 신고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