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7일 (목)
(녹) 연중 제12주간 목요일 반석 위에 지은 집과 모래 위에 지은 집

건강ㅣ생활ㅣ시사용어 건강상식ㅣ생활상식ㅣ시사용어 통합게시판입니다.

텔레마코스 콤플렉스(Telemchus complex)

스크랩 인쇄

박남량 [narcciso] 쪽지 캡슐

2022-09-12 ㅣ No.6009

                                                                         텔레마코스 콤플렉스(Telemchus complex)




전통 사회에서 아버지는 권위를 상징했다. 그런데 이제는 권위가 무너졌다. 절대적인 진리 체계라고 생각했던 전통적인 가치관이 무너지고 기존의 사고방식과 가치 체계를 벗어나 새롭고 자유로운 사고와 행동이 요구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세상이다. 당연히 부모의 역할에도, 또 자녀 세대의 경험에도 커다란 변화가 있었다. 이런 변화 가운데 아버지의 위치와 의미도 달라졌는데 이런 변화를 통칭해서 아버지의 부재라고 명명한다.

아버지의 부재가 불러오는 혼란스러운 상황을 겪고 있는 아들의 심리적 장애를 가리켜 텔레마코스 콤플렉스(Telemchus complex)라고 한다. 탈권위적인 시대의 부모와 자녀와 관계 맺는 방식은 권위적 구조로는 더 이상 설명할 수 없다. 그러므로 수평적 관계가 주를 이루는 새로운 시대 상황을 제대로 반영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이론이 필요한데 그것이 바로 텔레마코스 콤플렉스(Telemchus complex)라는 것이다.

텔레마코스는 어머니의 배 속에 있을 때부터 아버지가 트로이전쟁터로 떠나 오랫동안 돌아오지 않아서 스무 살 때까지 한 번도 아버지를 보지 못했다. 그에게 아버지는 간절한 그리움과 기다림의 대상이었다. 텔레마코스는 아버지가 부재한 상황에 수동적으로 갇혀 있지 않았고, 오히려 정당한 상속자로서의 권리를 찾기 위해 과감하게 모험을 떠났다. 그에게 아버지 부재는 혼란과 두려움을 주었지만 반대로 성장과 새로운 질서를 위한 동기가 되기도 했다. 그렇게 적극적으로 자신의 운명을 개척해 나가던 텔레마코스는 아버지와 감격적으로 재회한다. 그리고 둘은 힘을 합하여 아버지로서의 자리, 아들로서의 자리를 회복한다. 텔레마코스에게 아버지의 부재라는 콤플렉스 상황은 성장의 동기로 작용한다. 텔레마코스는 콤플렉스를 극복하고 주체적 자아로 성장해 나간다.

이탈리아의 심리학자 마시모 레칼카티(Massimo Recalcati)<오디세이야> 속 텔레마코스 이야기에 영감을 받아 자신의 책 <버려진 아들의 심리학>에서 텔레마코스 콤플렉스(Telemchus complex)를 주장했다. 마시오 레칼카티는 다음과 같은 의미심장한 문장으로 책을 시작한다. “우리는 아버지의 상징적 권위가 무게와 힘을 잃고 돌이킬 수 없는 방식으로 추락해버린 시대에 살고 있다.” 한마디로 이 시대의 아버지들은 더 이상 권위적이지도 않고 모든 해답을 가지고 있지도 않고 자식에게 삶의 모범이 되지도 않는다는 것이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1,623 1

추천 반대(0) 신고

텔레마코스 콤플렉스(Telemchus complex),시사용어,시사상식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