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30일 (일)
(녹) 연중 제13주일(교황 주일) 소녀야, 내가 너에게 말한다. 일어나라!

자유게시판

Jules Aleni 신부의 직방외기 서문을 특수 예서체로 쓴 농은공 홍유한 선생 친필의 의미 !

스크랩 인쇄

박희찬 [andreaphc] 쪽지 캡슐

2017-07-10 ㅣ No.213024

                   

   
   Jules Aleni 신부의 직방외기 서문을  특수 예서체로 쓴 농은공 홍유한 선생 친필의 의미 !

  Jules Aleni S.J
. 신부(중국명 艾儒?, 1582~1649)의  많은 저서 중에, 특히, 직방외기는 17세기 중국과 조선 지성인들의 우주관과 세계관에 큰 변화를 가져온 책으로서, 농은공 홍유한 선생 (1726~1785)직방외기를 읽고 얼마나 놀라운 새 지식의 세계를 보았으면, 그 책의 서문을 특수 예서체로 정성껏 써서, 우선 자신이 두고두고 읽었으며, 후손들에게 남겨주었으랴?! 다음은 천진암성지 자료집 제121권 중 - 66권의 - 역사자료 XVIII - 농은공 홍유한 선생 친필 복사본이다.

  알레니 신부의 30여편이 넘는 저서들 중에는, 天主降生言行紀略, 耶蘇言行紀略, 彌사祭義, 悔罪要旨, 萬物眞原, 三山論學記, 耶蘇聖體禱文, 聖體要理, 四字經, 三字經, ??十五端圖像, 西學凡, 幾何要法, 職方外記, 天學初函, 등 명저서들과 편찬서들이, Mischel Ruggieri 신부의 초작 西天竺國聖敎實錄, 등을 보완하여 집대성한 Matteo Ricci 신부의 天主實義와 함께, 우리나라 선인들의 진리탐구에 허기지고 굶주렸던 기갈을 채워주는 생명수의 역활을 하였으며, 더욱이 Aleni 신부의 저서들은 신앙생활, 신심생활을 직접 다루는 지침서로로서 우리나라 천주교 신앙의 밑거름이 되었다. 그런데, 홍유한 선생의 職方外記 예서체나, 이벽 성조(1754~1785)의 덕조 희필(德操戱筆)은 얼핏보기에 추사 김정희(1786~1856)의 필체를 본받았다고 생각하기 쉬우나, 사실은 거꾸러 그 반대이니, 추사 김정희보다 반세기가 앞서는 광암 공의 필치나 농은공의 유묵을 시차면에서 부정할 수 없는 선후의 관계를 인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김정희는 이벽 성조와 홍유한 선생 사후에 출생하는 인물이기 때문이다. 
-Msgr. Byon-


본문이미지
 

본문이미지
 

본문이미지
 

본문이미지
 

본문이미지
 

본문이미지
 

본문이미지
 

본문이미지
 

본문이미지
 

        입력 : 2017.07.10 오전 9:45:50

                    www.변기영몬시뇰사랑방.kr    또는   www.msgr-byon.org   또는   www.msgrpeterbyon.org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2,849 0

추천 반대(0) 신고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