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1일 (토)
(홍) 성 유스티노 순교자 기념일 당신은 무슨 권한으로 이런 일을 하는 것이오?

신앙상담 신앙상담 게시판은 비공개 게시판으로 닉네임을 사용실 수 있습니다. 댓글의 경우는 실명이 표기됩니다.

q Re:하느님께 기도하기 (개신교에서 퍼왔습니다)

인쇄

비공개 [221.159.191.*]

2016-09-07 ㅣ No.11243

 

기도

 

마음으로 바라는 바가 이루어지기를 하나님께 비는 일이나 그 의식.

성도와 하나님과의 교제 혹은 대화.

인간영혼이 진정으로 생명을 얻는 영혼의 호흡이자 영혼 전체로 드리는 예배(시 119:164).

영()이신 하나님은 기도를 통해 인간들이 당신을 가까이하고 당신과 대화하며 당신을 알고,

당신의 뜻을 좇아 살기를 원하신다(빌 4:6; 살전 5:18; 요일 1:9).

따라서 기도는 철저히 하나님 중심의 거룩한 행동이 되어야 하며, 하나님의 뜻을 받들어 섬기는 행위여야 하고,

또 언제든지 하나님의 은혜긍휼하심에 힘입지 않고서는 바른 기도를 드릴 수 없다.

한편, 루터(Luther)는 기도에 대하여 ‘제화공이 신을 만들고 재단사가 옷을 만드는 것처럼

그리스도인은 기도가 매일의 직업’이라고 했다.

 

성경이 가르치는 기도의 특성을 정의해 보면,

 

① 하나님과의 교통이다. 곧, 생명되신 하나님과 친밀한 관계를 가지려는 신앙 행위다

(시 63:1-8; 73:25-26; 눅 6:12; 요일 1:3; 계 3:20).

② 하나님의 위대함과 선하심을 찬양하는 행위다(눅 2:28-32).

③ 하나님의 은총자비인애로 말미암아 하나님께 충성헌신을 다짐하는 감사다(시 103편).

④ 죄에 빠진 인간이 자신의 불순종을 인정하는 고백이다(시 51편).

이웃행복축복을 비는 기원이다(롬 9:1-2; 10:1).

⑥ 마지막으로 기도는 자신의 욕망을 포기하고 자신을 하나님께 내어맡기는 복종 행위다(마 26:39).

기도

기도의 모범

성경에서 기도의 모범을 보인 대표적 인물들로는

 

모세(출 32:11-13, 31; 민 11:11-15; 14:13-19), 아브라함(창 18:22-23), 야곱(창 32:24-30),

엘리야(약 5:17-18), 다윗(시 3, 32편) 등을 들 수 있다.

 

특별히 예수 그리스도께서 보여 주는 기도의 모범은 특별하다.

예수님의 기도는 예수님의 생애와 가르침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했다.

예를 들면, 주님세례받을 때(눅 3:21-22) 열두 제자를 선택할 때(눅 6:12-13),

변화산에서 변화되었을 때(눅 9:29), 나사로무덤에서 불러냈을 때(요 11:41-42),

베드로로 인해 근심되었을 때(눅 22:31-32),

제자의 배반과 십자가 죽음이라는 인류 구속의 큰 사건에 직면했을 때(막 14:32-42),

십자가에서 죽게 되었을 때(눅 23:46) 기도하셨다.

응답받는 기도

하나님께 응답받는 기도의 비결은

믿음으로 할 때(마 17:20; 막 11:23-24; 히 11:6; 약 1:6)

② 예수의 이름으로 할 때(요 14:13; 15:16)

③ 하나님의 뜻에 복종할 때(요일 5:14-15)

성령의 지시와 능력하에서 드려질 때(마 20:22; 요 4:10; 롬 8:26-27; 유 1:20)

⑤ 죄를 고백하고 버릴 때(시 66:18; 잠 28:9; 사 59:1-2)

용서하는 마음으로 드릴 때(마 6:12-15; 18:21-35; 막 11:25-26; 약 5:14-16)

⑦ 조화를 이루는 인간 관계가 이루어질 때(마 5:23-24; 18:19; 벧전 3:1-7)

⑧ 끈기 있게 할 때(눅 11:5-8; 18:1-8)

⑨ 집중적이며 간절한 마음으로 드릴 때(약 5:16-18)이다.

기도의 유익성

정신적 육체고통의 압박하에서 욥은 비관적으로 ‘전능자가 누구이기에 우리가 섬기며 우리가 그에게 기도한들 무슨 이익을 얻으랴’라고 탄식한 적이 있다(욥 21:15). 그럼에도 기도는 두 말할 필요 없이 성도의 영육에 유익하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우선 기도는 하나님의 구속 계획을 이루어 나가는 중요한 수단이 된다는 점에서 소중하다(딤전 2:1-4). 뿐만 아니라 개인적 차원에서도 기도는 하나님과의 교제통한 영혼의 성장과 비전과 능력축복원천이 된다. 결론적으로 기도의 유익성 때문에 우리는 신앙 생활에서 기도의 비중을 높여야 하며, 결코 기도를 멈추지 말아야 한다(눅 18:1; 엡 6:18; 빌 4:6; 살전 5:17; 딤전 2:1). 기도가 부족하거나 기도에 게으른 것은 하나님의 은혜인간 속에 역사하는 것을 막는 사탄술수와 다를 바 없다. 그래서 사무엘은 기도 하기를 멈추는 것을 죄로 간주하기도 했다(삼상 12:23).

유대인들의 기도 습관과 자세

경건히브리인들은 조상들의 신앙 전통을 좇아

매일 규칙적인 기도 생활에 힘썼다(단 6:10).

 

어떤 상황 속에서도 하루 세 번 기도하는 것은 히브리인들의 오랜 전통이었다(시 55:17).

세 번의 기도 시간아침 제사와 관련된 이른 아침 기도(오전 6시경, 시 5:3; 88:13),

낮에 드리는 제구시 기도(오후 3시경, 행 3:1), 황혼 무렵의 저녁 기도(오후 6시경, 단 9:21) 등이었다.

이런 전통은 신약 시대에 이르러서도 계속 지켜져 왔다(행 2:15; 10:9).

한편 하루 세 번의 기도 외에도, 새벽 시간(막 1:35), 정오(시 55:17; 마 20:5), 밤(사 26:9),

밤 시간 내내(눅 6:12) 기도하기도 했다.

 

또한 유대인들은 기도 내용에 따라 기도하는 자세도 다양했다.

 

머리를 숙이거나 땅에 엎드려서(창 24:26; 출 4:31; 34:8)

무릎을 꿇고(스 9:5; 시 95:6; 행 20:36)

③ 손을 펴서 들고(왕상 8:22; 딤후 2:8)

④ 일어서서(출 33:10; 삼상 1:26; 막 11:25)

가슴을 치며(눅 18:13)

하늘을 쳐다보며(요 11:41)

⑦ 낯을 벽으로 향하여(왕하 20:2) 등이다.

유대인들의 기도 습관과 자세
라이프성경사전 이미지
출처
라이프성경사전,

[네이버 지식백과] 기도 [祈禱, prayer] (라이프성경사전, 2006. 8. 15., 생명의말씀사)

 

 

 



1,175 1댓글보기

신고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