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30일 (일)
(녹) 연중 제13주일(교황 주일) 소녀야, 내가 너에게 말한다. 일어나라!

건강ㅣ생활ㅣ시사용어 건강상식ㅣ생활상식ㅣ시사용어 통합게시판입니다.

청중 민주주의(audience democracy)

스크랩 인쇄

박남량 [narcciso] 쪽지 캡슐

2021-12-13 ㅣ No.5733

                                                                            청중 민주주의(audience democracy)




시민이 자신의 의사를 표출하는 주권자이기보다 정치인이 제시한 이미지나 쟁점에 반응하는 수동적인 청중이 되었다는 의미의 개념이 청중 민주주의(audience democracy)이다.

청중 민주주의는 정당 민주주의가 퇴조했다는 것의 다른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이제 시민은 자신의 의사를 표출하는 주권자가 아니라 후보의 이미지나 그들이 제기한 쟁점에 반응하는 수동적 청중이 되었다는 것이다.

청중 민주주의(audience democracy)에서는 정당보다 인물이 정치를 주도하게 되면서 정치적 내용보다는 이미지가 중요해졌다. 서로의 이미지에 상처를 입히는 네가티브 전략이 많아졌고 감정의 언어는 강해졌다. 네가티브 전략은 상대 후보의 실수나 약점 등을 부각해 지지율을 떨어뜨리는 것이다.

청중 민주주의(audience democracy)는 정치학자 베르나르 마넹(Bernard Manin)이 서구 민주주의 변화를 설명하면서 만든 개념으로, 정당 민주주의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정당 민주주의란 투표권을 갖게 된 여성과 노동자들이 대중정당을 조직해 귀족과 부르주아 중심의 의회주의를 붕괴시키면서 만들어졌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1,060 1

추천 반대(0) 신고

청중 민주주의(audience democracy),시사용어,시사상식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