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30일 (일)
(녹) 연중 제13주일(교황 주일) 소녀야, 내가 너에게 말한다. 일어나라!

건강ㅣ생활ㅣ시사용어 건강상식ㅣ생활상식ㅣ시사용어 통합게시판입니다.

니힐리즘(nihilism)

스크랩 인쇄

박남량 [narcciso] 쪽지 캡슐

2021-12-21 ㅣ No.5740

                                                                                           니힐리즘(nihilism)




니힐리즘(nihilism)의 니힐(nihil)은 아무것도 없는() 완전한 부정의 상태를 의미하는 라틴어에서 파생되었다.

우리는 허무주의(虛無主義)로 번역되고 있는데, 원래는 절대적인 진리, 도덕, 가치는 없다는 뜻이 니힐리즘(nihilism)이다. 다시 말해, 기존의 신, 구원, 진리로 대표되는 추구해야 할 절대적 가치 및 권위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는 사상을 가리키는 철학적 견해가 니힐리즘(nihilism)이다. 회의주의, 상대주의, 무정의주의도 니힐리즘(nihilism)의 한 종류로 볼 수 있다.

니힐리즘(nihilism)은 절망적 니힐리즘과 능동적 니힐리즘으로 나뉘는데, 전자는 어떠한 주장이나 주의도 무시한 채 어떠한 의미도 찾을 수 없다는 주장이며, 후자는 자유로운 인생을 적극적으로 찾으려 하는 것으로 실존주의가 이에 해당한다.

니힐리즘(nihilism)은 투르게네프(Ivan Turgenev 1818-1883)가 그의 작품 <아버지와 아들 1862>에서 처음 사용한 말이다. 동양의 철학자 니체(Friedrich Nietzsche 1844-1900)는 니힐리즘의 등장을 예언하고 이를 극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니힐리즘(nihilism) 사상은 19세기 후반 니체, 도스토예프스키 등의 사상에 반영되었고 20세기에 들어와서 빠르게 확산되었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953 1

추천 반대(0) 신고

니힐리즘(nihilism),시사용어,시사상식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