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30일 (일)
(녹) 연중 제13주일(교황 주일) 소녀야, 내가 너에게 말한다. 일어나라!

건강ㅣ생활ㅣ시사용어 건강상식ㅣ생활상식ㅣ시사용어 통합게시판입니다.

감정 환기의 잘못된 귀인(the misattribution of arousal)

스크랩 인쇄

박남량 [narcciso] 쪽지 캡슐

2021-11-18 ㅣ No.5707

                                                           감정 환기의 잘못된 귀인(the misattribution of arousal)




인간은 정말로 복잡한 동물이다. 우리는 감정과 충동을 느끼며, 각종 신체적, 심리적 반응을 보이지만 그러면서도 정작 자신이 왜 그런 반응을 보이는지 모를 때가 많다. 어쩌면 당신은 상대가 좋아서 긴장되고 상대가 싫어서 화가 나며, 상대가 그럴 만한 일을 했기 때문에 흥분하는 것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하지만 자신의 감정의 근원을 오판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이것이 바로 비이성적 현상, 즉 감정이 행동의 영향을 받아 오판하게 되는 경우를 가리켜 감정 환기의 잘못된 귀인(the misattribution of arousal)이라고 부른다.

감정 환기의 잘못된 귀인(the misattribution of arousal)에 대한 연구는 100여 년 전부터 시작되었는데 그 중에서도 캐나다 밴쿠버에 위치한 캐필라노 협곡의 현수교에서 진행된 실험이 가장 널리 알려져 구름다리 효과또는 캐필라노의 법칙이라고도 불린다.

흔들리는 구름다리 중간에 서 있으면 저도 모르게 심장박동이 빨라지고 주의력이 집중되며, 체온이 상승하고, 호홉이 가빠지는데 이러한 신체적 반응은 첫눈에 반했을 때의 반응과 거의 비슷하다. 이때 아름다운 여성이 나타나면 우리의 대뇌는 이러한 신체의 반응을 아름다운 여성에 대한 설레임이라고 오판하게 된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805 1

추천 반대(0) 신고

감정 환기의 잘못된 귀인(the misattribution of arousal),시사용어,시사상식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