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30일 (일)
(녹) 연중 제13주일(교황 주일) 소녀야, 내가 너에게 말한다. 일어나라!

건강ㅣ생활ㅣ시사용어 건강상식ㅣ생활상식ㅣ시사용어 통합게시판입니다.

노력 정당화 효과(effort justification effect)

스크랩 인쇄

박남량 [narcciso] 쪽지 캡슐

2021-11-23 ㅣ No.5712

                                                                     노력 정당화 효과(effort justification effect)




어떠한 일을 했을 때 그 결과가 예상한 바와 달리 두 가지 이상의 모순되는 믿음이나 생각, 가치를 동시에 갖게 되면서 겪는 정신적 불편함을 일컬어 인지 부조화(cognitive dissonance)라고 한다.

일부 조직에서는 모순적인 심리를 십분 활용하기도 하는데, 예를 들면 다단계 회사가 그렇다. 처음 회사에 가입할 때, 소위 윗선들은 성공한 선배들이 조기 은퇴를 하고 지금은 세계여행을 즐기고 있다면, 많은 친구가 회사에 들어와 달라진 인생을 살고 있다는 꿈 같은 이야기를 늘어놓는다. 여기에 혹해 관심을 보이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자신에게 투자해야 한다며 지금 투자하는 자금이 나중에는 몇 배 심지어 몇 십 배가 되어 돌아올 거라고 덧붙인다. 그렇게 자금을 투자하고 나면 내가 힘들게 번 돈을 투자한 것만으로도 특별한 가치가 있으니 좋은 물건인 게 분명해!’라는 생각이 싹튼다. 이 역시 인지부조화의 일종인데 사회학자들은 이를 노력 정당화 효과(effort justification effect)라고 부른다.

인지 부조화(cognitive dissonance) 이론에 따르면 이러한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사람들은 흔히 3단 반응을 보이는데, 쳣째 자신의 행동에 대한 인식을 바꾸고, 둘째 자신의 행동을 바꾸며, 셋째 결과에 관한 생각을 바꾼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947 2

추천 반대(0) 신고

노력 정당화 효과(effort justification effect),인지 부조화(cognitive dissonance),시사용어,시사상식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